View : 1495 Download: 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자본 잠재프로파일유형과 진로탐색

Title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자본 잠재프로파일유형과 진로탐색
Other Titles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Immigrant Youth’s Social Capital and Career Exploration
Authors
유가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Although career exploratio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issues facing multicultural youths, who are often more vulnerable to this when compared to non-multicultural youths, there is limited knowledge pertaining to the differences and intersections of career exploration within the multicultural youth pop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istence of various social capital types and the differences in career exploration by social capital subgroups in a sample of multicultural youths across South Korea (n =1311).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the 6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6. Employ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multicultural youth’s social capital, the study identifies the subgroup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are us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s by social capital subgroups. This study then conducts one-way ANOVA on the data to ascertain if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decidedness depending on the latent profile type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career barriers. The primar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distinct patterns within multicultural youth populations concerning social capita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group, the group was divided into ‘high overall social capital (24.9%), average social capital (65.7%) and weak school social capital (9.4%) and identified as a heterogeneous group with different social capital patterns. Secon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idential area, the size of the residential area, the family structure, the parents’ subjective financial status, and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parents. Thirdly,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decidedness and career barriers by social capital subgroups. Overall the high social capital group(group 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average social capital group(group b) and the weak social capital outside of the family group(group c) in career decidedness and less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ree types of career barri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social service and policy for multicultural youth in Korean society. First, in designing various services or policies for multicultural youths, it is necessary to take a differentiated approach rather than support them in a single way. Second, access to multicultural youth needs to expand beyond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to the community and school level. Third, at the school level, it could be required to promote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youths, with the focus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an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 teacher-student, and school social worker-student. Fourth, as for the weak school social capital group, provision of information on career paths, and intervention in financial difficulties and self-understanding are generally required. Fifth,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of multicultural youth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area.;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자본의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각 잠재집단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탐색한 후, 잠재집단별 진로탐색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다문화 청소년 내부에 존재하는 사회자본 유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청소년 시기의 중요한 과업인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에 있어 나타나는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자본(가정 내 사회자본·가정 외 사회자본)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가장 적절한 잠재집단 수는 몇 개 인가?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자본(가정 내 사회자본·가정 외 사회자본) 잠재집단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자본(가정 내 사회자본·가정 외 사회자본) 잠재집단 분류에 따른 진로탐색의 차이가 존재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다문화 청소년 총 1,311명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6차 연도(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자본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잠재집단별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을, 잠재집단별 진로결정성 및 진로장벽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자본 유형은 가정 내 사회자본, 지역사회 사회자본, 학교 사회자본 각각에 따라 3개의 잠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 집단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반적 고사회자본형(24.9%)’, ‘사회자본 평균형(65.7%)’, ‘학교사회자본 취약형(9.4%)’으로 구분되었고 상이한 사회자본 패턴을 가진 이질적인 집단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각 사회자본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및 어머니 출신 국가, 이주 부모 한국 거주기간,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거주지역, 지역 규모, 가족구조, 부모의 주관적 경제 수준, 부모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교사회자본 취약형에 속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서울·경인 지역, 중소도시, 가족구조가 한부모인 경우, 부모의 주관적 경제 수준이 어려운 편인 경우, 부모 학력이 둘 다 고졸 이하이거나 둘 다 대졸인 경우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자본 유형별로 진로 탐색에 있어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형별로 진로결정성, 진로장벽 하위 요인들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반적 고사회자본형의 진로결정성이 사회자본 평균형과 학교사회자본 취약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진로장벽을 살펴보면, 자기이해부족에서는 전반적 고사회자본형이 사회자본 평균형, 학교사회자본 취약형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고, 정보부족과 경제적 어려움 진로장벽에서는 학교사회자본 취약형, 사회자본 평균형, 전반적 고사회자본형 순으로 진로장벽을 유의미하게 낮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및 정책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나 정책을 설계함에 있어, 일원화된 방식으로 지원하기보다는 차별화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접근이 부모 자녀관계 개선을 넘어 지역사회와 학교 차원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차원에서는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를 중심으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문화적 유능성 증진 및 직접적인 교사-학생, 학교사회복지사-학생 간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사회자본 취약형에 대해서는 자기이해, 진로 관련 정보 제공,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개입 등이 전반적으로 요구된다. 다섯째,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자본 축적을 촉진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