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서지은-
dc.creator서지은-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04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0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1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15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9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지역사회인식이 자아탄력성과 부모지도감독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인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더 나아가 개인요인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가정 요인인 부모지도감독이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 이하 “KCYPS 2010”)를 사용하였다. 그 중에서도 초등학교 4학년의 7차년도(2016년)의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4학년의 7차년도는 고등학교 1학년(2016년기준, 17세)에 해당하는 연령이다. 고등학교 1학년 중 주요 변수에 대하여 결측값이 없는 1,965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으로, SPSS 25.0를 활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2.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성 검증 및 연구모형 적합도를 파악하여 변인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는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청소년이 지역사회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교적응이 높아졌다. 둘째, 청소년의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청소년의 지역사회인식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지고, 자아탄력성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청소년의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모지도감독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부모지도감독은 자아탄력성과 마찬가지로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자아탄력성과 부모지도감독 중에서도 자아탄력성이 부모지도감독에 비해 더 높은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지역사회인식은 비행과 다르게, 학교적응에는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 학교적응을 위해 지역사회차원의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개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비공식적 통제와, 애정 등이 증가된다면, 청소년들이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나, 지원이 필요할 경우 가족과 학교 외의 자원으로써 작용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모지도감독이 매개효과를 밝혀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사회가 청소년들의 보호체계로써 작용한다면, 가정과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이 지역사회를 통한 예방적 차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모와의 접촉이 줄어드는 청소년기(황영애ㆍ정규석, 2016)에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일탈 행위에 대한 또 다른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인식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학교적응에 있어서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지역사회인식이 향상됨으로써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향상되고, 향상된 자아탄력성을 기반으로 하여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지역사회인식이 향상될수록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청소년 개인의 자아탄력성과, 가정의 부모의 지도감독이 향상됨으로써, 지역사회에 개입하는 것이 개인적 요인과 가정 요인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사회복지 실천 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 재원적 한계에도 보완점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on of ego-resilience and parental monitoring. Moreover, it also attempted to investigate what an mediating effect adolescents’ego-resilience, an individual factor and parental monitoring, a home factor ha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sed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It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secondary data of the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7th year (2016). The 7th year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the subjects, is high school 1st grad (17 years old in 2016). Among high school 1st graders, 1965 students without missing data of main variab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with the study method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 addi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ation of was a measurement model conducted by using AMOS 22.0, and a path analysis of variables was implemented by understanding the fitness of the study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e better the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the better the school adjustment. Second, adolescents’ ego 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The better the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the better the ego resilience, and ego-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rd, parental monitor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As with ego resilience, parental monito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seemed to be stronger than that of parental monitor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different from delinquency,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a local community to develop social work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for their school adjustment. Increased informal control and affection of members in a local community can act as resources in addition to families and schools, in the case of adolescents’ poor school adjustment or lack of support. Second, 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cla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In this regard, a local community can take a preventive measure for adolescent who have difficulties in families and schools, if it acts as a protection system for them. In addition, members in a local community may serve as protectors against delinquency, in the adolescence in which their contact with parents is decreased (Hwang Yeongae and Jeong Gyuseok, 2016). Third, 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on of ego resilience. When adolescents have difficulty in school adjustment, individual ego resilience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lea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ir school adjustment, based on enhanced ego resilience. Finally, 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verified that the better the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the better adolescents’ individual ego resilience and parental monitoring in homes, indicating that a local community’s intervention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and home factors. This also may complement temporal and financial limits possibly occurring in practicing social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Ⅱ. 이론적 배경 6 A. 이론적 고찰 6 1. 사회유대이론 6 2. 사회해체이론 10 B. 개념적 논의 13 1. 지역사회인식 13 2. 학교적응 15 3. 자아탄력성 15 4. 부모지도감독 16 C.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의 관계 17 D.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에서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18 E. 지역사회인식과 학교적응에서의 부모지도감독의 매개효과 19 F. 통제변수 22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3 B.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24 C.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5 1. 종속변수: 학교적응 25 2. 독립변수: 지역사회인식 26 3. 매개변수 27 4. 통제변수 28 D. 분석방법 29 Ⅳ. 연구결과 30 A.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30 B. 상관관계 분석 33 C. 측정모형 검증 35 D. 기본모형 검증 38 E. 매개모형 검증 39 Ⅴ. 결론 및 논의 44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44 B. 함의 48 C.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52 참고문헌 54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84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소년의 지역사회인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부모지도감독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Effect of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Local Community on School Adjustment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Ego Resilience-
dc.creator.othernameJI-EUN, SEO-
dc.format.pageiv,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