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8 Download: 0

청년과 중장년층의 사회적고립이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년과 중장년층의 사회적고립이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f Young and Middle-Aged Generation on Perception and 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uthors
박민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isolation of young and middle-aged generation affects perception and a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nd whether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ct 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found, the study suggests ways to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nd promote social integration. For the study, research tools and results of the “2018 Ages Integration Survey”conduc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SSK) under the fund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used.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346 young adults aged 20 to 39, and 487 middle-aged adults of 40 to 64 living in 15 regions of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egree of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against the elderly of both young and middle-aged i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By age group, discriminatory acts against the elderly is found to be higher among the middle-aged adults. On the contrary, discriminatory perception on elderly is higher among the young. Secondly, a positiv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perception and a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is found in bo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weaker one’s social ties and intimacy are, the higher his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are. Lastl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against the elderly, was partly examin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o begin with, considering the result that the level of discriminatory behavior among middle-aged people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 people, support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age groups needs to be made. In addition, a positive relation of social isolation and perception and a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was found in the study. Thus, an intervention to ameliorate social isolation is in need. Furthermore, a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a factor effecting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on the elderly, as well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Therefore,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must be implemented. Finally, social effort to increase intergenerational harmony as well as social trust will b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과 중장년층의 사회적고립과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의 관계에서 세대갈등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차별을 사전에 예방하고 사회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2018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의 조사도구와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20-39세의 청년층 346명, 만 40-64세 중장년층 487명으로 총 833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청년집단과 중장년집단에서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차별인식 수준 모두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고, 연령집단별로 살펴봤을 때 노인차별행동은 중장년층이 더 높고 노인차별인식은 청년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집단과 중장년집단 모두 사회적고립은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차별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타인과의 상호 간 관계가 약화되고 정서적 친밀감을 느끼지 못할수록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과 차별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고립과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및 인식의 관계에서 세대갈등인식이 사회적고립과 차별행동 및 인식 간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에 비해 중장년층의 차별행동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고려하여 연령집단의 특성에 맞는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청년집단, 중장년집단에서 사회적고립과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이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사회적고립을 해소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세대갈등인식은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자 사회적고립과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세대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세대 간 협력과 상호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세대 집단 간 수용적이고 포용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회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