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9 Download: 0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Social Stigma in Out-of-School youth : Focus on Differences of gender
Authors
김미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구조적 취약성으로 문제 집단으로 인식되어 낙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줄이는 방안을 통해, 부정적인 자아형성을 예방하여 청소년의 발달을 돕고 사회 문제해결에 필요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학업중단청소년 패널의 2차년도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성별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활용한 분석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회귀분석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성별 간 연구 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학력에 대한 인식과 부모 애착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대한 인식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부모 애착은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변수들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은 나이, 경제 수준, 부모 애착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력에 대한 인식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이는 부모 애착과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경제 수준은 자아존중감, 부모 애착, 지역사회통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력에 대한 인식, 낙인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낙인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력에 대한 인식은 낙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부모 애착은 또래 애착. 지역사회통합과 정적으로, 낙인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래 애착은 낙인과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낙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부모 애착, 또래 애착이 부적(-)으로 유의하였고, 학력에 대한 인식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자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부모 애착, 또래 애착이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학력에 대한 인식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여자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부모 애착이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학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성별에 따라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전체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와 남자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와 달리 또래 애착은 여자 청소년의 낙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통해 제언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은 낙인을 상쇄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아동, 청소년들이 성장 과정에서 지각하게 되는 낙인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유지된다는 측면에서, 조기에 낙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 대처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스스로를 옹호하고 사회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낙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이 자신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평가를 인식하더라도 이를 내면화하지 않도록 학교 밖 지원센터에서 자아존중감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은 개입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력에 대한 인식은 높을수록 낙인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에도, 학력주의는 낙인을 부여하는 강력한 기제로 작동하여 학력주의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현 교육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력주의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학교 교육은 사회의 개방성을 가로막거나 개인의 출세의 발판으로 이용하거나 출세의 기회가 차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현 사회에서 제도권에서 행해지는 학교 교육은 직업에 필요한 기술이나 전문소양보다 지위집단 형성에 필요한 기술을 길러주는 수단이자 유지하는 장치에 불과하다. 학력주의가 새로운 귀속주의로 작동되면서 학교 교육에서 스펙위주, 과잉경쟁 등의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기에 지위를 얻기 위해 학력을 추구하는 문화를 탈피하고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문화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김안석, 2017). 학력주의 사회를 극복하면서 교육의 변화를 통해 학습 자체를 목표로 하는 교육으로 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변화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6년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민간위탁형 공립 대안학교 설립 및 시범운영’은 제도권 교육의 개선을 위해 대안학교의 가치와 이념을 제도권 교육에 접목시킨 제도이다. 이와 같은 제도권 교육의 개선을 향한 노력과 함께 교육 복지 차원에서 대안학교의 육성은 청소년들의 다양한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며 학력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한 방안이 될 것이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는 낙인에 영향을 미치며 낙인에 있어 주요한 지지자원임을 확인하였다. 자녀의 학업중단을 반대한 부모가 50% 수준이다(윤철경, 2018). 학교중단을 이유로, 부모와 관계 곤란을 겪는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참여형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부모 애착 및 관계개선에 도움이 있을 것이다. 가족 지지는 청소년에게 있어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학업을 중단했을 때 중요한 지지자원으로 기능하며 부모의 이해는 청소년의 정신적 문제에 있어 큰 기여를 한다. 이에 부모가 자녀의 교육적 위기에 대한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부모의 고통을 이해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자녀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모 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학업중단 숙려제를 통한 전문 상담이 있다. 하지만 이 제도는 학업을 그만두기 전 2주 이상의 숙려기간 동안 해당 학생 및 학부모가 외부의 전문 상담을 받으면서 학업중단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할 수 있도록 돕고, 학업중단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어 성격을 달리한다. 현재 상황이 자녀의 탓이라기보다 경쟁 위주의 학교와 사회문화, 다양한 재능을 발휘할 기회가 부족한데서 흥미와 동기 상실일 수 있음을 상기시키고 반드시 자녀가 잘못했거나 부모가 잘못해서 일어난 일이 아님을 이해시킬 수 있는 부모 상담이 필요하다. 여성가족부에서는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해 모든 부모를 대상으로, 복지부에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영유아기 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부에서는 학부모지원센터에서 학부모 대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 밖 청소년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또한 필요하며, 교육을 맞춤화하여야 한다. 학업중단숙려제 등을 통하여 대상 부모들에게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홍보를 통해 실질적으로 많은 부모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부모 상담, 교육과 가족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 성장에 있어 부모가 중요한 파트너임을 인지하고 중요한 지지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친구 관계 또한 긍정적인 역할을 미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래가 모여서 같이 활동하는 프로그램들을 다양하게 마련한다면 서로 고민을 나누는 자리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래 상담을 함께함으로써 일회성이나 단기 프로그램이 아닌 상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낙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또래 애착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르게 기능함을 볼 수 있었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 또래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고 볼 수 있어, 성별 차이를 반영한 차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 개인 상담을 제공함으로써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1:1 멘토링 프로그램과 같은 개별적인 프로그램 개입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 집단상담프로그램을 통해 또래 역동과 압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면 실질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지역사회통합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는 지역사회의 기능 자체가 학교 밖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지역사회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거나, 현재 지역사회 기관 센터에서하는 프로그램들이 학교 밖 청소년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보인다. 우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확장해나가야 하며, 더 많은 학교 밖 청소년들이 꿈드림 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SNS, 유투브, 방송, 리플렛 등을 통해 홍보채널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다양한 활동프로그램 및 새로운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새로운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들의 어려움으로 일차적으로 관계적 존재로서 소속감 결여를 통한 관계의 단절(성윤숙 외, 2016) 호소하고 있다.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관계망 형성을 돕는 관계기관의 노력이 필요하며 지역사회 시설이나 복지시설 혹은 상담기관 등 자원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커뮤니티 형성, 그룹형성을 통해 소속감을 부여하거나, 대안학교 학생들의 연대처럼, 탈학교 학생들의 연대를 이어주는 방안도 가능하다. 학교 밖 지원센터에서 청소년의 특성에 맞게,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 수 있는 커뮤니티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안정감과 소속감을 주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정서적 지지나 정서적 교감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지원해야 한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느끼는 낙인, 차별, 그로 인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까지 극복할 수 있도록 교육사회복지사들의 세심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이들의 다름을 이해하고, 차별 없는 사회에서 긍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장해나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사회적 차원에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낙인을 낮추기 위해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인식개선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을 개인 차원에서 줄이려는 방안만큼 사회적 차원에서 인식개선을 위한 노력 또한 필요함을 제언한다. 학교 밖 청소년의 인권과 관련해서 이들이 겪는 차별과 편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행태를 금지하기 위한 다양한 지침을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줄일수 있는 방안으로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금명자 외(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밖 청소년들이 실질적으로 바라는 국가 정책으로 51.5%가 학교 밖 청소년들을 문제 있는 청소년이라고 바라보는 편견을 없애야 한다는 점을 제언한 바 있다. 학교 밖을 선택한 것은, 학교나 학업을 포기한 청소년이 아니라 새로운 도전에 나선 청소년으로 인식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 밖에서의 배움과 진로에 있어서 선입견이나 편견 없이 학교 밖 청소년 또한 사회의 같은 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mpacting the stigma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who have the high possibility to experience and be stigmatized as a delinquent group due to the vulnerabilities of social structure.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reduce their stigma, prevent negative (+) ego formation, help adolescents’ development, and provide a practical implication to resolve social problems. Using SPSS 22.0, the study analyzed the second-year data of school dropout adolescent panel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s on the stigma of school dropout adolescent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by group.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tudy variables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gender, the perception on the level of education and parents’ attachment according to gend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emale adolescents’ perception on the education level had a higher score than that of male adolescents, and parents’ attachment was higher in male adolescents than female adolescents. Other variabl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showed that gend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age, economic standard, and parents’ attachment, while perception on the level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gender. Ag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with parents’ attachment; economic standar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steem, parents’ attachment, and community integration but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stigma and perception on the level of education.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parents’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but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stigma. Perception on the level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stigma, and parents’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peer attachment and community integration but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stigma, while pe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stigma.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elf-esteem, parents’ attachment,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negatively (-) impacted the stigma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while the perception on educ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Fourth, self-esteem, parents’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had negative (-) significant impacts while the perception on education level had a positive (+) impact on the stigma of male adolescents’ stigma. Fifth, self-esteem and parents’ attach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 impacts on female adolescents’ stigma, while the negative perception on the level of education had a positively (+) significant impact. Sixth, unlike the analysis results of entire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the analysis results of male adolescents only, peer attach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emale adolescents’ stigma, which confirmed the differences across gender in the analysis of factors impacting stigma.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at self-esteem offset stigma. This proves that an intervention is needed to decrease stigma in the early stage since it does not disappear easily and is maintain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nce it is perceived. This study present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a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is needed to cultivate their individual coping skill, along with an empowerment program for adolescents to advocate for themselves, respond appropriate to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decrease their stigma. A program to strengthen their self-esteem so that they do not internalize the negative social evaluations on adolescents can be an intervention method. Seco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n the level of education was, the higher the stigma became. School dropout adolescents were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academic elitism because it acted as a strong mechanism to stigmatize them, which suggests the need to change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In a society dominated by academic elitism, school education blocks the openness of society, is used as a foothold for an individual’s success and advancement, and prevents equal opportunities to rise higher. In today’s society, school education is no more than a means and device to develop and maintain skills needed to form a status group rather tha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r skills needed for jobs. Similarly, as academic elitism acts as a new attribution, various problems such as qualification-centered, excessive competition have appeared (Ahn-seok Kim, 2017). Thus,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culture of strictly pursuing elite education to gain status and find self-realization.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eek learning itself through educational changes while overcoming the society of academic elitism, change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as well. For example, the “Establishment and Trial-operation of a Private-Trust Public Alternative School’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6 is a system applying the values and ideology of alternative school to institutional education for its improvement. With efforts to improve institutional education, nurturing alternative school to meet the various education needs of adolescents will be a method in terms of education welfare. Thir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an impact on stigma and was an important support resource for stigma. 50% of parents opposed their children’s decision to drop out of school (Cheolkyeong Yoon, 2018). If a family-participatory program is carried out to families facing difficulties in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due to school dropout, it will help improve the attachment of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Next, family support functions as an important support resource when a student drops out of school, as it has a high impact on adolescents. Parents’ understanding contributes greatly to adolescents’ mentality, and thus they should accurately underst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crisis. In line with this, a parental counseling program is needed to understand parents’ pain and to help them objectively examine their children’s situation. A professional counseling program is conducted on the parents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through the careful deliberation of school dropout. However, this program has a different purpose because it helps students and parents to carefully consider dropping out of school during the two-week deliberation period, and aims to prevent school dropout. A different parental counseling program is needed to remind parents that school dropout is not to be blamed on the students or parents at all but due to the competitive school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e, with lack of opportunities for them to demonstrate their talent, which leads to the loss of interest and motivatio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rovides education to all parents through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inistry of Welfare to parents with infants through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vides education to parents through the School Parent Support Center. Yet, a customized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is also needed. In addition, a service to visit the target parents through the school dropout deliberation period or a practical method for many more parents to participate must be arranged through a promotion. The Support Center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s should give social support for parents with school dropout adolescents through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Efforts are needed to recognize that parents are important partners in adolescents’ growth and provide crucial support resources through such parental education and family-participatory programs. Fourth, it is noteworthy fact that peer relationship also plays a positive (+) role. With a variety of regular, not one-time or short-run, activity programs, school dropout adolescents will participate with their peer students and gain more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peer counseling and sharing concerns together However, peer attachment did not impact female adolescents’ stigma, showing that its function varied by gender. Thus, a differentiated program reflecting gender difference is needed because female adolescents are impacted less by their peers. Individual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to them instead to prevent their deviation in advance, and individual interventions such as 1:1 mentoring program can also be an appropriate means. For male adolescents, a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be effective if they are made to demonstrate peer dynamics and pressure. Fifth, whereas community integr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impact, this may imply that the functions of community itself did not have any impact on school dropout adolescents. For adolescents to settle in their life stably and live without stigma even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activity and support programs are arranged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s from support centers and adolescent organizations. It is usually not easy for them to approach the community and search for these supporting institutions on their own after they drop out of school. Thus, opportunities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s to access these support centers easily should be expanded and promotion channels should be diversified through SNS, YouTube, broadcasting, and leaflets. As school dropout adolescents have expressed concerns over loss of relationships and sense of bonding (Yoonsook Seong et al, 2016), efforts by related institutions to help them build a new network of relationship are needed. A system for counseling institutions,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and other resourc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should also be built. In specific, a sense of bonding can be given to school dropout adolescents through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r group or by connecting their solidarity as students in alternative school. To fit adolescents’ characteristics, a community across online and offline platforms regardless of space can be provide for them to develop a bond of sympathy, stability, and a sense of affiliation, along with the opportunity to relieve their stress through emotional support or communion. Likewise, educational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offer a careful intervention to school dropout adolescents in a community. Above all, perception change is needed at social level. In order to decrease the stigma on school dropout adolescents, this study proposes that efforts are needed to actively improve perception on them both at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iscrimination and biases against them with regards to the human rights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create various guidelines to prohibit such behaviors. It will be helpful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school dropout adolescents to the public in order to reduc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Myeong-ja Keum, et al (2004) proposed in their study that a national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decrease the bias that 51.5% of the public views school dropout adolescents as problematic, delinquent adolescents. Their choice to dropout from school does not mean that they have given up on school or academics but that they have decided to take a new challenge, which is how the perception should improve. Final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school dropout adolescents without any prejudice or bias toward their learning or career so they can also grow as health members of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