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중국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관한 요인 분석

Title
중국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관한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precarious work in China's young migrants-workers : Focusing on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capital
Authors
LIU, YU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윤
Abstract
This stud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carious word of China's young migrants-workers, focusing on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capital, for the purpose of uncove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precarious work and improving the precarious work of China's young migrants-workers. The study conducts by utilizing the raw-data of the Panel Survey of China Labor-force Dynamics Survey in 2014 and 1252 young migrants-workers aged 16 to 35 were surveyed. In research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precarious work that meet all criteria for wage instability, employment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job characteristics(type of industry, type of the work unit, size of enterprises) and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period of senior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sex, age, birthplace). The analytical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d ideal logistic regression.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c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65.8% of the total young migrant-works are in wage instability, 87.8% of those who are in employment instability, and 41.6% of those who are in socialinsurance insta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unstable and non-unstable group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stable and non-unstable group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age, birthplace), job characteristics (type of industry, type of the work unit, size of enterprises),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period of seniority). Thir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migrants-workers showed type of industry, type of the work unit, size of enterprises,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period of seniority, sex, age, birthplace affected.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young migrants-workers in constriction industry, social and individuals service industry, enterprises with less than ten employees and all the type of the work uni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precarious work. I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the academic background or period of seniority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carious work, the higher of the education and as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precarious work declined. Also if they do not have a certificate, young migrants-workers are more likely to be in precarious work.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men and the local migrants-worker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precarious work, and the older they are the less likely they are belong to precarious work.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ecarious working conditions of young migrants-workers are as follows: First, policy support is needed for young migrants-workers who employed in non-cooperative units such as construction, social, personal service, private and private enterprises, and work in small workplaces with less than ten employees and services, sales, and elementary job which have concentrated labor instabilit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measures to lower the tax exemption and the rate of payment of social insurance companies. Also public welfare job creation policies should be extended to large corporations. Second, human capital development and career maintenance policies are needed to improve precarious work in young migrants-workers. There is a need to actively provide basic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to provide a variety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specifically tailored to the skills of young migrants-workers, including centr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industry associations and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ocational training system connected with the government and provide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to young migrants-workers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 development. Also in order for young migrants-workers to maintain their careers, active labour market policies should be sought to secure employment stability for young migrants-workers. Third, individual support for young women migrants-workers, low age young migrants-workers and local migrants-workers is needed. Develop appropriate job training programs to provide customized employment programs for young women migrants-workers, create jobs, and develop skills for low-age youth migrants-workers, and provide local migrants-workers, with policies such as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reemployment support for urban citizens and indiscriminate people. Fourth, in the social security institutional aspect, a social security system featuring fairness in urban and rural area should be establishment,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n which migrants-workers moved social insurance together when they moved between regions should be simplified. There is also a need to continue to expand social security spending. Fifth,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household registration(户籍制度) system, which provides a deep rooted cause for the unstable labor problem of youth migrants-workers. To correct the inequality caused by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let the system return to the original features of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migrants-workers by conducting study on young migrants-workers in the face of lack of study on young migrants-workers. Second, unlike the previous analysis, the study consists of three aspects of wage instability, employment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is significant. Third, this study uses and analyzes recently collected data nationwide, which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most existing researches in a few regions and is easy to generalize. Four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result in a new economic growth model without people, and the youth migrants-workers who are engaged in simple labor due to the large-scale decrease in jobs are likely to suffer first, and the instability is even wor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crisis prevention in that it has conducted research on unstable labor of young migrants-workers. Fifth,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discuss and present proposals to the government to improve the instability work of young migrants-worker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capital on the instability work of young migrants-work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migrants-workers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migrants-workers and the youth, 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m with the youth urban works, the migrants-workers middle aged, migrants-workers elderly.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migrants-workers by comparing them with youth urban works, the migrants-workers middle aged, migrants-workers elderly. Seco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limited.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area of ​​youth migrants-workers can only distinguish between local and foreign origin can't be compared with the specific origin and employment area, and there is a limit that the hourly income cannot be calculated because there is no question about working hours per week on the questionnaire. Third, precarious work is very precarious, precarious, somewhat precarious, non-precarious, but there are various forms.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classifying and analyzing it into precarious, and non-precarious, labor groups. Fourth, in this study, we controlle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to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of precarious labor of young migrants-workers, but there is also a limited that the analysis of other institutional factors is insufficient.;본 연구는 청년 농민공 불안정노동의 영향요인을 밝히고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 개선 정책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자리 특성과 인적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중국노동력동태조사(中国劳动力动态调查)의 데이터를 이용했으며, 연구대상은 노동시장에서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만 16-35세의 청년 농민공 1252명이다. 연구설계에서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은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 3개의 기준에 모두 해당할 경우로 정의하여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일자리 특성(업종, 단위(单位) 유형, 사업체 규모)과 인적자본 특성(학력, 직업훈련/자격증 유무, 경력)이며,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출신지역)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카이제곱 검정, 이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농민공 불안정노동의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청년 농민공 중 임금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이 65.8%, 고용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이 87.8%, 사회보험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이 60.4%로 나타났으며,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 3개 기준에 모두 해당하는 비율은 41.6%로 나타나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불안정한 노동집단과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출신지역을 포함한 개인적 특성, 업종, 단위(单位) 유형, 사업체 규모를 포함한 일자리 특성, 학력, 자격증 유무, 경력을 포함한 인적자원 특성 모두에서 불안정노동집단과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자리 특성인 업종, 단위(单位) 유형, 사업체 규모, 인적자본 특성인 학력, 자격증 유무, 경력, 개인적 특성인 성별, 연령, 출신지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특성 중 업종인 건설업과 사회.개인서비스업, 모든 단위(单位) 유형, 10인 미만의 사업체의 청년 농민공이 불안정노동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인적자본 특성 중 청년 농민공의 학력이 높을수록, 경력이 길수록 불안정노동에 속할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격증 보유하지 않는 청년 농민공이 불안정노동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 여성과 현지출신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많을수록 불안정노동에 속할 확률이 감소하였다. 앞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노동 불안정성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건설업과 사회, 개인 서비스업, 민영, 사영기업을 비롯한 비공유제 단위(非公有制单位)와 10인 미만의 소기업에서 취직한 청년 농민공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세금면제와 사회보험 기업 납부율을 낮추는 방안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익적 일자리(社会公益岗) 창출 정책을 대기업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둘째,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을 개선하기 위해 인적자본 개발 및 경력 유지 정책이 필요하다. 농촌 지역의 기초 교육과 직업교육(职业教育)에 대한 적극적으로 투입하되, 특히 청년 농민공의 숙련 형성에 맞춘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중앙 정부, 지방정부, 각 업종협회 및 기업들과 연결된 직업훈련 체제를 세우고 지역별 특성과 산업발전에 맞춘 직업훈련 서비스를 청년 농민공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 농민공의 경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극적인 고용 지원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청년 여성 농민공, 저연령 청년 농민공과 현지출신 농민공에 대한 개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청년 여성 농민공에게 맞춤형 취업 프로그램 제공과 일자리 창출, 저연령 청년 농민공의 숙련 형성을 위해 적절한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현지출신 청년 농민공에게 도시 시민과 다르지 않은 교육, 직업훈련, 재취업 지원 등의 정책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보장 제도적 측면에서 도농평등(城乡平等)을 위해 농민공이 배제될 수 있는 잠재적 조건을 폐지하고 전국적으로 통일한 사회보험체제를 세우고, 농민공의 지역 간 이동에서 사회보험 이전에 필요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보장 지출을 계속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청년 농민공 불안정노동 문제에 뿌리 깊은 원인을 제공하는 호구제(户口制)를 개혁해야 하며, 중국 호구제개혁의 기본방향은 호적에 부가된 각종 복지를 점차적으로 벗겨내어 호적등기기능(户口登记职能)을 복귀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청년 농민공 불안정노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청년 농민공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둘째, 기존의 단일한 차원에서 분석한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을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 3개 측면으로 구성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불안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최근에 전국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고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일부 지역만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사용한 대다수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일반화할 수 있다. 넷째, 4차 산업혁명으로 사람 없는 새로운 경제성장 모델이 나타나면서 발생한 일자리의 대규모 감소로 인해 단순노동에 집중적으로 종사한 청년 농민공이 먼저 피해를 당하고 불안정노동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위기 예방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다섯째, 일자리 특성과 인적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요인을 분석하여 청년 농민공의 불안정노동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논의하고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인 청년 농민공은 청년과 농민공의 이중적인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연령층의 농민공 및 비농민공 집단의 청년과 비교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둘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의 제한으로 인한 분석의 한계가 있다. 청년 농민공의 출신지역을 현지출신과 외지출신만으로 구분할 수 있어 구체적인 출신지역과 취업지역과 비교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고, 설문지에 주당근로시간에 관한 문항이 없어 시간당 소득을 계산할 수 없다는 한계도 있다. 셋째, 불안정노동은 매우 불안정, 불안정, 다소 불안정, 불안정하지 않음으로 여러 가지가 형태가 있지만 본 연구는 불안정노동 집단과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으로 구분하고 분석한다는 한계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청년 농민공 불안정노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로, 개인적 특성을 통제하고 일자리 특성과 인적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영향요인 분석을 진행하였지만, 그 외의 제도적인 특성 등 보이지 않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