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Title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the Fertility Intentions of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Authors
SONG, YUE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With increasing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changing public views on marriage and child care, decreasing fertility has emerged as a worldwide concern. This problem is especiall important to South Korea for its low level of fertility. Although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is problem recent years, most prior studies of fertility intentions focus exclusively on Korea-born women. Compared with natives, immigrant women are more likely to contend with additional challenges such as cultural barriers, limited language proficiency and policy resources, inequality of work opportunity. These struggles faced by migrant women can influence their sense of security which is linked with well-being and fertility intentions. To better understant migrant women’s attitudes toward childbearing decision in South Korea, four research questions are developed as follows: Question 1: Do individual factors affect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Question 2: Do family-related factors affect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Question 3: Do perceptions of social system or public policy affect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Question 4: What are the factors that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order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170 respondents were recruited from September 12 to October 29, 2019.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s survey and a total of 131 ca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questionnaires containing missing respinses. In this study, SPSS 21 was used for performing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lineal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below. First, fertility intension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 and religion. Regarding different age groups, 10-20 age group showing the highest mean score (M=3.84). Post hoc comparison reflected that the mean for the 10-20 age group was signigicantly higer than 40 and older age group. In the case of different religion, Buddhist migrant women are more likely to have a child than other religious group. But post hoc Scheffe test did not properly explain the source of differences. Second, individual factors, particularly migrant women’s perceived values of having children and values of raising children were positively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s. Specifically, those who expressed a greater desire to become parents and hold a nontraditional sex-role attitudes towards child-rearing were more likely to have children. Third, even though migrant women’s fertility intention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unaffected by the family-related factors, addition improved the model 2 with a small increase in R² 29.6% to 30.3% when family-related factors were incorporated to the hierarchical lineal regression analysis. Next, the final model incorporated perceptions of social systems and perceptions of public policy in the analysis, while only perception of social systems was positively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migrant women. This addition also improved the overall model with a increasing in R² 30.3% to 33.3%. This implies that the additional 0.3percent of variation in fertility intensions was explained by perceptions of public systems. It also suggests that public support from social policy for the ‘immigrant women’ are required. Lastly, additional to the demographics, 10-20 age group, values of having children and values of raising children, and perceptions of social syst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predictors of migrant women’s fertility intensions. Consequentlly, results reflected that individual values of having children and values of raising children, and perceptions of social systems were dominant factors related to migrant women’s fertility intensions. In addition, married immigrant women’s perceived values of raising children made the strongest contribution to explaining the fertility intensions, which suggest that changing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s are important. It also provide insights that equality child care programs reflecing their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 such as age, occupation, and religion are required. ;여성에게 출산은 모성의 중요한 발달 단계이자 어머니로서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경험이지만, 여성의 경제력 상승과 결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인하여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 거주 중인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인데, 먼 타국에서 결혼이민여성이 자녀를 출산하는 것은 삶의 안정감과 기초, 그들의 삶의 존재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결혼이민여성은 자국과 다른 한국의 문화적 괴리, 배우자를 비롯한 가족구성원과의 관계, 언어장벽 등 다양한 문제점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결혼이민여성의 출산과 삶의 안정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그들의 출산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결혼이민여성의 개인요인은 출산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요인은 출산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결혼이민여성의 사회제도(정책)요인은 출산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인구사회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결혼이민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2019년 09월 12일부터 2019년 10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한 설문자료 중 불성실하며 무응답의 설문자료를 제외하여 총 131부의 설문을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의 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와 Scheffe 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결혼이민여성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출산의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과 종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의 경우 10∼20대의 평균이 3.84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10∼20대 집단의 평균이 40대 이상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 결혼이민여성의 연령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경우 불교의 평균이 3.95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불교를 믿는 결혼이민여성들이 다른 종교를 믿는 결혼이민여성들에 비하여 출산을 하려는 의도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교 집단에 따른 출산의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개인적 가치관의 하위요인인 양육가치관과 자녀가치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양육가치관이 자녀가치관보다 출산의도에 더욱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더불어 결혼이민여성의 자녀 및 양육에 대한 가치관이 출산의도와도 직결될 수 있다는 결론으로 귀결될 수 있다. 이상으로 결혼이민여성의 개인요인 중 자녀가치관과 양육가치관만이 출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요인은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변수로 나타났으나, 위계적 회귀분석의 모형에서 가족요인을 독립변수로 추가로 투입하였을 때 모형의 설명력이 29.6%에서 30.3%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이민여성의 가정과 관련한 요인은 출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제도(정책)요인은 국가사회제도인식으로 나타났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의 모형에서 사회제도(정책)요인을 독립변수로 추가로 투입하였을 때 모형의 설명력이 30.3%에서 33.3%로 더욱 증가하였다. 이는 국가지원과 관련한 정책요인이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나,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를 장려하기 위하여 출산에 관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장려에 대한 지원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이며 장기적으로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인구사회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설정한 뒤, 결혼이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중 10∼20대의 통제변수와, 개인요인 중 양육가치관 및 자녀가치관에서, 사회제도(정책)요인 중 국가사회제도인식의 독립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제변수인 연령과 사회제도(정책)요인인 출산지원 및 보육 서비스가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출산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받는 것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결혼이민여성의 개인요인과 사회제도(정책)요인은 출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출산에 대한 개인적 가치관과 국가적인차원에서 출산의 사회제도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결혼이민여성의 양육에 대한 가치관이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므로, 결혼이민여성들이 출산 후 양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안의 수립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 자녀의 양육방법에 대한 부모동반 참여교육과 관련 상담 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결혼이민여성의 연령과 취업, 종교 등과 같은 인구사회적 특성을 세분화하여, 이 특성에 따른 부모동반을 중심으로 한 자녀의 양육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된다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