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8 Download: 0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itle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on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ppearance Stress and Depression
Authors
이정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에서 넘어와 다양한 변화와 요구 속에서 외모스트레스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이 신체적,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정신건강 상담시 외모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과 가정안에서 부모의 역할을 돕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녀 청소년들의 섭식장애 예방 및 치료방향을 제시하며 청소년기 외모스트레스에 대한 적응적 대처 능력을 도와 청소년기 우울로의 이환을 예방하고자 하는데 있다. 최근 극단적인 마른 몸을 추구하는 청소년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부적절한 체중감량 시도하는 등의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는 심각한 수준이지만 이에 대한 대처능력은 매우 미숙하여 심리 및 정신건강 부분에서 이차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중 외모스트레스, 왜곡된 신체상, 신체불만족은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이 높고, 청소년은 물론 싱인기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으로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요인으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증감을 설정하였고, 연구모형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 초등학교 4학년 패널자료 중 2008년 조사된 5차 자료로, 중학교 2학년 2,884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1과 AMOS 21을 이용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는 우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외모스트레스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외모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외모스트레스에 대하여 여학생 뿐만 아니라 남녀 모두에게 개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외모스트레스,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며, 구체적인 사회복지적 개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외모스트레스, 우울, 양육태도,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파악함에 있어서 초기 청소년기의 남녀 청소년 모두를 포함시킴으로써 초기 청소년의 신체상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하겠다. 셋째,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방 및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고, 보호요인으로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넷째, 본 연구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외모스트레스로 우울증상을 겪는 학생들을 상담할 때, 내담자가 외모스트레스를 보고할 경우 내담자가 주관적으로 스트레스의 내용, 강도, 대처방법들을 파악하며, 건강한 신체상 확립을 돕고, 이에 대한 대처기능을 교육하며, 보호자 교육을 통하여 가정에서도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년의 우울, 자살, 섭식장애 등 심각한 정신질환으로의 이환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an intervention in appearance stress, in mental health counseling for adolescents who ha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appearance stress in suffering a variety of changes and requirements after passing their childhoods to achiev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health growth, and provide basic data helpful for parents' roles in homes. This study is, therefore, expected to provide preventive and therapeutic direction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eating disorders and prevent their susceptibility to depressions, by supporting their adaptive coping abilities against appearance stress. Although adolescents' appearance stress is serious to the extent that they attempt even inappropriate weight loss,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desire for extreme thin body has been increased, their abilities to cope with it are very poor, so secondary problems have occurred in terms of psychology and mental health. Among them, appearance stress, distorted body images and body dissatisfaction are closely related with adolescents' depression,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as protecting factors affecting adolescence and even adulthood. This study identifi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ego esteem as factors mediating the effect of adolescents' appearance stress on depression, and attempted to verify differences by gender in a study model. Of the data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 panel in Korean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World Associ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Youth, the 5th data collected in 2008 was used to examine 2884 junior high school 2th graders.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1 and AMOs 2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First, adolescents' appearance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worse the appearance stress, the worse the depression.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ppearance stress and depression. Third, male students suffer from appearance stress more seriously than female studen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ntervene in not only the appearance stress of female students, but also that of mal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h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supported the results of preliminary studie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basis of specific social work intervention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appearance stress, depressi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se interests in appearance are gradually increased.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reestablishment of body images in early adolescence, by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early adolescenc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 esteem. Third,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nce again and verified the role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as protective factors. Fourth, the findings may help clients subjectively understand the content and strength of stress and how to cope with it, establish healthy body images, in counseling students who suffer from depressive symptoms due to appearance stress. This study also encourages them to play active roles in their homes, through the education for coping functions and caregivers. It may be important data for preventing adolescents being susceptive to serious mental diseases, such as depression, suicide, eating disorders, et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