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중년 근로자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Title
중년 근로자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of middle-aged workers :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Retirement anxiety
Authors
황예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인생의 전환기를 맞이하는 중년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고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장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인내와 열정으로 정의되는 그릿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동기인 의미추구와 자신의 삶이 의미 있다고 느끼는 의미발견, 그리고 은퇴를 앞두고 혼란스러운 정서를 경험하는 은퇴불안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50-65세 중년기 근로자 140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주요 변인 차이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경로를 확인한 후,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은퇴불안, 그리고 의미발견과 은퇴불안의 이중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 검증결과, 성별과 결혼여부 및 종교는 주요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정의 월평균 소득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은퇴불안과 정신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미만의 집단은 600만원 이상의 집단에 비해 은퇴불안이 높았고, 주관적 건강이 좋은 집단에서 은퇴불안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은 집단에 비해 좋은 집단에서 정신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월평균 소득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변인으로 삼았다. 둘째,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삼원 그릿, 삶의 의미, 정신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은퇴불안은 정신적 안녕감, 삼원 그릿, 삶의 의미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은퇴불안이 이중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Process Macro model 80을 이용하여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10,000번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은퇴불안과 정신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월평균 소득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통제변인으로 삼았다. 그 결과,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과 은퇴불안의 단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의미추구의 단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그릿이 의미추구와 은퇴불안, 그리고 의미발견과 은퇴불안을 거쳐 정신적 안녕감에 이르는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중년 근로자의 그릿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을 아우르는 정신적 안녕감을 직접 예측할 뿐만 아니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은퇴불안을 직접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릿은 의미발견과 은퇴불안을 통해 정신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의미추구를 통해 정신적 안녕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릿은 삶의 의미(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은퇴불안을 거쳐 정신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때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은퇴불안을 예측하는데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동기인 의미추구는 은퇴불안을 높이며, 자신의 삶이 의미가 있다고 느끼는 의미발견은 은퇴불안을 낮추었다. 본 연구는 중년기 근로자의 그릿이 정신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일생 동안 형성되어온 끈기와 열정의 성격특성인 그릿이 다양한 변화에 맞서 적응적인 대처가 필요한 중년기에 어떤 역할과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삶의 의미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으로 나누어, 은퇴불안과 정신적 안녕감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된 구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릿과 의미발견이 은퇴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중년기 근로자의 은퇴불안을 낮출 수 있는 개입점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생의 전환기를 맞는 중년기의 위기를 극복하고 건강한 노년기를 준비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자료가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Grit, a personality trait of perseverance and passion, as a factor that can aid in the healthy development and enhance the sense of well-being of middle-aged people in various ways.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arch for meaning(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presence of meaning(feeling that there is meaning in life), and retirement anxiety(a feeling of anxiety as one faces retir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To that en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40 workers who were aged between 50 to 65.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Differences among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identifying the paths of the variables, we tested the significance of dual mediation effects of search for meaning and retirement anxiety, and presence of meaning and retirement anxie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fferences among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between gender, marital status and religion,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household monthly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in terms of retirement anxiety and mental well-being. Family groups whose average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3 million won showed more retirement anxiety than those whose average monthly income was more than 6 million won, and retirement anxiety were lower in groups with bet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Furthermore, mental well-being was reported to be higher in groups with high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compared to groups with low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erefore, a household’s average monthly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ere taken as control variables in this study. Second, triarchic model of grit, meaning in life, and mental well-being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Additionally, retirement anxiety showed negative relations(correlations) with mental well-being, triarchic model of grit, and meaning in life. Third, a model was set in which meaning in life(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and retirement anxiety double-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and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model 80. 10,000 bootstrapping methods were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s,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at affect the retirement anxiety and mental well-being were controlled. As a result, the simple mediation effec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or retirement anxiety and presence of meaning, while nonsignificant for search for meaning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Moreover,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arch for meaning and retirement anxiety, and presence of meaning and retirement anxie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To sum up the results, a middle-aged worker’s grit was found not only to directly predict mental well-being that encompasses the sense of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but also to directly predict the search for meaning, presence of meaning, and retirement anxiety. Also, through meaning in life(search and presence) and retirement anxiety, grit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well-being, while search and presence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predicting retirement anxie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rit on mental well-being in middle-aged workers, and identified the role and function of grit, a personality trait formed throughout one’s lifetime, in a time which requires adaptive responses against various changes. Furthermore, we also divided meaning in life into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confirming that the two are separate concepts that affects the retirement anxiety and mental well-being differently. Identifying that grit and presence of meaning have a negative effect on retirement anxiety, this study suggested an intervention point that could lower the retirement anxiety levels of middle-aged worker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exploring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in order to overcome the midlife crisis and prepare for a healthy old-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