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디자인 모형 연구

Title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디자인 모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tair-Shaped Open Space Design as a Reinforcement Element of Museum Publicity
Authors
고혜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정아
Abstract
This research has recently transformed the role of cultural space in cities into an open public space where people can easily access culture in their daily lives in order to realize cultural public nature. In addition, the museum, which was previously closed, is drawing attention as an open cultural space, an artisan of cultur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for the public.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blic domain of the museum, the museum is expanding its open space and using the open space in stairways. Researchers conducted a step-by-step open space design trend study as a component for enhancing the public character of the museum through the Academic Journal. In this study, based on academic journal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study with the aim of suggesting design for a step-by-step open space model as an element of strengthening the public nature of the museum after incense.To this end, we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museum's public character and stepped open space through a website specializing i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architecture in Chapter II to discuss the step-by-step open space for the enhancement of the museum's public character. In addition, the typ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airs were compiled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pped open space for enhancing the public nature of the museum were compiled by compi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p-by-step open space for enhancing the public nature of the museum through the accessibility and comfort of physical opening in terms of space composition and the spatial utilization. The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advanced countries of foreign culture in Chapter III,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terraced open space were identified. First, the museum’s cascade open-space is easing the fatigue of the museum by introducing external natural elements into the visual transparency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eilings, creating an atmosphere as a convenience space for relaxation. Second, it is usually used as a convenience space for relaxation and is used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public domain of the museum as it is used as an exhibition space and an educational space in avariable manner. Third, the museum’s terraced open space is used as a venue for the museum building’s center of travel and variable space programs, providing visitors with a natural visual recognition and daily access. Fourth, this enables the variable use of exhibition space and educational space to create a dynamic atmosphere in space and to stay on a constant basis. In Chapter IV, the design model was developed by selecting the target site to carry out the design model study and applying the design concept to the target context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step open space derived from the preceding th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The researchers wanted to expand the public space by adding and renovating stairs to open space, a newly built destination, as an open museum. In Chapter V, the proposal for step-by-step open space model design is as follows. First, it is recommended that the museum stair open space vertical wall be designed with open or semi-open stairways to expand visual openness outward and introduce natural elements by utilizing transparent materials. On a horizontal scale, the design is designed in an additive step format to support the openness of space. Second, the museum stair-type open-space is recommended to be adjacent to the convenient, educational and exhibition spaces located by the museum floor, and can support the public domain and functional connection of the museum by floor. Third, it is recommended to be located in the entrance space or the main space of the museum. The museum’s open central movement space can make it easier for visitors to access. Fourth, it is recommended to use a clear vertical wall and horizontal ceiling surface for the museum’s stepped open space. By forming a dynamic space that is aesthetically pleasing, it can be used as a convenience space to support the comfort of spac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ep-by-step open-space model design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seum’s public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nature of the museum, it was understoo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that the stepped open space is being used as a medium as a physical element that can strengthen it. Therefore, the researchers deriv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the stepped open space, proposed a plan to design the stepped open space model, and hope that the cascade open space will be used as a physical element for enhancing public character.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posing the design of a step-by-step open space model as a physical element to enhance the public character of the museum. After the incense burner, we will finish this study in anticipation of a follow-up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useum-stairing open space at home and abroad.;최근 도시의 문화공간이 문화적 공공성 실현을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개방된 공공공간으로 역할이 변모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과거폐쇄적이던 뮤지엄은 대중을 위한 문화교류와 소통의 장인 개방적인 문화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뮤지엄 공공영역을 강화하기 위해 뮤지엄 내 오픈스페이스를 확대하며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하는 추세다.연구자는 학회 저널을 통해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구성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디자인 경향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후 학회 저널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 후 뮤지엄 공공성 강화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모형을 위한 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 Ⅱ장에서 국내 · 외 문헌연구와 건축 전문 사이트를 통해 뮤지엄 공공성과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여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계단의 유형 및 공간적 특성을 정리하고, 공간 구성 측면에서 공간의 개방성과 기능의 연계성, 공간 이용 측면에서 물리적 개방의 접근성과 공간의 쾌적성으로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특성을 정리하여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이 후 제 Ⅲ장에서 해외 문화 선진국들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공공영역의 공간프로그램, 계단의 유형 및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규모, 층별 공간의 기능을 분석하여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공공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사례 분석 결과 첫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수직 벽면과 수평의 천장면의 시각적 투명성은 외부 자연요소를 유입해 휴식의 편의공간으로서 분위기를 형성하여 박물관 피로감을 완화하고 있다. 둘째, 이는 평소엔 휴식을 위한 편의공간으로 이용되며 가변적으로 전시공간, 교육공간으로 활용되어 뮤지엄 공공영역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셋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뮤지엄 건물의 중심 이동공간과 가변적 공간프로그램의 장소로 활용 되어 관람객들에게 자연스러운 시각적 인지와 일상적 접근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이는 전시공간과 교육공간의 가변적인 활용은 공간에 동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지속적인 체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계단형 오픈프페이스가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요소로 활용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제 Ⅳ장에서는 디자인 모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고 앞 선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에서 도출한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특성인 공간 구성 측면에서 공간의 개방성, 공간간 기능의 연계성, 공간 이용 측면에서 물리적 개방의 접근성, 공간의 쾌적성의 디자인 개념을 대상지 맥락에 적용하여 디자인 모형을 전개하였다. 연구자는 기존 열린 뮤지엄으로서 신축된 대상지 오픈스페이스에 계단을 추가 및 리노베이션하여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를 통해 공공공간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 장에서 뮤지엄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측면에서 구체적인 모형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 Ⅴ장에서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모형 디자인에 대한 제안은 이와 같다. 첫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수직벽면은 투명한 소재를 활용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외부로 확장시키고 자연요소를 유입하기 위해 개방형 혹은 반개방형 계단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좋다. 수평적으로는 부가형의 계단형태로 디자인하여 공간의 개방성을 지원할 수 있다. 둘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뮤지엄 층별 위치한 편의공간, 교육공간, 전시공간에 인접하는 것이 좋으며 층별 뮤지엄의 공공영역과 기능적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이는 뮤지엄의 입구공간이나 중심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좋으며 뮤지엄의 개방된 중심이동공간으로 관람객들의 접근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투명한 수직벽면 및 수평 천정면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심미적으로 쾌적한 동적인 공간을 형성하여, 편의공간으로 활용되어 공간의 쾌적성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뮤지엄 공공성 관점에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모형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근 공공성에 대한 개념이 중요한 담론의 대상이 되며 문화공간은 누구나 문화활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화적 공공성을 확대하기 위해 열린 문화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 중 뮤지엄은 이런 공공성 실현을 위해 도시의 개방된 문화공간으로 대중을 위한 문화교류와 소통의 장, 도시의 휴식과 편의를 위해 열린 공공공간으로 개방되는 추세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뮤지엄의 공공성 관점에서 이를 강화 시킬 수 있는 물리적 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가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음을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공공적 특성을 도출하였고 계단형오픈스페이스 모형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며 뮤지엄에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가 공공성 강화를 위한 물리적 요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뮤지엄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물리적 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모형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향 후 국내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비교분석에 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하며 본 연구를 마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