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고채도 단색과 배색의 면적비에 따른 안정감

Title
고채도 단색과 배색의 면적비에 따른 안정감
Other Titles
Stability according to area ratio of color combinations and high chroma single colors
Authors
김보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우리의 주변은 수많은 색채로 둘러싸여 있으며, 색채는 다양한 감성과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색채는 전달의 기능을 넘어서 인간의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안정감, 불안함, 즐거움, 우울함 등의 다양한 감정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하다고 생각되는 고채도 단색과 배색의 안정감에 대해 알아보고, 안정감 결과에 따라 고평가, 저평가된 배색을 선정하여 고채도 배색의 면적비에 따른 안정감을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안정감뿐만 아니라 안정감과 관련 있는 어휘(편안하다, 부드럽다)에 대해서도 함께 비교 분석하고, 기존의 색채 이론에 대한 현대인 대상의 감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채도 단색과 배색의 안정감 평가에서 ‘안정적이다’라고 평가된 단색은 G, B, PB 색상, ‘안정적이지 않다’라고 평가된 단색은 R, YR, GY, RP 색상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안정적이다’라고 평가된 배색이 G, BG, B 색상을 기준으로 제작한 배색에서 많았고, ‘안정적이지 않다’라고 평가된 배색이 R, YR, GY, RP 색상을 기준으로 제작한 배색에서 많았다. 또한, 고채도 배색에서 색상, 명도가 유사관계인 경우 더 안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명도보다 색상이 유사관계인 경우 더 안정적으로 평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채도 배색의 면적비에 따른 안정감 평가에서 동일한 톤으로 구성된 고채도-고채도 배색이 고채도-중채도로 구성된 배색보다 안정감이 높은 샘플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채도 배색의 면적비에 따른 영향에서 고평가된 배색보다 저평가된 배색, 고채도-고채도 배색보다 고채도-중채도 배색, ‘부드럽다’어휘에서 면적비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배색에서 채도가 높은 색은 작게, 채도가 낮은 색은 크게 했을 때, 어휘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 색의 채도차가 크면, 면적비의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색채 이론을 현대인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 고채도 단색과 배색의 안정감, Ⅳ장 고채도 배색의 면적비에 따른 안정감의 평가 결과를 비교해보면, 고채도 배색에서 면적비는 안정감뿐만 아니라 안정감과 관련 있는 어휘(편안하다, 부드럽다)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고채도 배색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색이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하다고 생각되는 고채도 단색과 배색의 면적비에 따른 안정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기존의 색채 이론에 대한 현대인 대상의 감성을 확인해보는데 의의가 있다. ;Humans are surrounded by numerous colors, which are used as communication elements to convey various emotions and messages. Also, colors affect human emotions and behaviors beyo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cause various feelings such as stability, anxiety, pleasure, and depression. This study examined the stability of high chroma single colors and color combinations that are generally considered unstable, and selected high-valued and under-valued color combinations based on the stability results to identify the area ratio of high chroma color combinations (high chroma & high chroma color combinations comprised of identical tones versus high chroma & mid chroma color combinations comprised of different tones). In detail, this study aimed to compare not only the sense of stability but also the relevant vocabulary (comfortable, soft) and to identify the sentiments of modern people in terms of the existing color theory. As a result of the stability evaluation of high chroma single colors and color combinations, single colors evaluated as ‘stable' included G, B and PB hues, and single colors evaluated as ‘non-stable' included R, YR, GY, RP hues. Moreover, in terms of color combinations, samples based on G, BG, and B hues were mainly evaluated as ‘stable', while those based on R, YR, GY, and RP hues were mainly evaluated as ‘non-stabl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and Value with similarity was evaluated to be more stable in the high chroma combination, while it was evaluated to be more stable when color rather than Value had similarity. As a result of the s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rea ratio of high chroma color combinations, it was found that the color combination samples composed of high chroma & high chroma (identical tones) had higher stability than the color combination samples composed of high chroma & mid chroma (different ton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depending on the area ratio per vocabulary in high chroma & high chroma (identical tones) and high chroma & mid chroma (different tones) color combinations, greater effects of area ratio were found in the under-valued color combinations than high-valued color combinations, in the high chroma & mid chroma (different tones) color combinations than the high chroma & high chroma (identical tones) color combinations, and in the vocabulary ‘soft'. Also, with respect to color combination, the vocabulary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when the color with high chroma had a smaller ratio and the color with low chroma had a larger ratio. Therefore, the existing color theory was supported in this study targeting modern people. To compare the evaluation results from chapter Ⅲ and chapter Ⅳ, with respect to the high chroma color combinations, the area ratio was an influential factor not only for stability but also for the stability-relevant vocabularies (comfortable, sof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s of each single color that constituted the high chroma color combinations were great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examine the sense of stability according to the area ratio of high chroma single colors and color combin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unstable in general, and to explore the sentiments of modern people to the existing color the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