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공공미술로서 조형물 색채관리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연구

Title
공공미술로서 조형물 색채관리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cess for Improving Color Management of Sculpture as a Public Art
Authors
손연홍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공공미술로서 조형물의 색채는 도시경관의 이미지 형성 및 미적기능의 요소이므로 작품설치 이후 작품의 수명주기 동안 색채관리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미술 설치 및 관리 프로세스를 조사하고 각 단계의 색채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공미술 관리 방안의 일환으로 색채관리 기능의 강화와 체계화를 이룬 조형물 색채관리 프로세스를 수립하기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존 서울시 공공미술 설치 및 관리 프로세스의 색채관리 현황을 토대로 서울시 공공미술 색채관리 프로세스를 색채계획. 색채평가, 제작 및 설치, 유지 및 관리 단계의 4단계로 분류하였다. 기존의 프로세스에서는 색채 기록화과정이 미흡하였고, 작품의 객관적 색채측정의 단계가 결여되었다. 또한 작품에 사용된 도료 및 복원용 재료에 대한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원작의 색채를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색채관리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개선점을 반영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색채계획 단계에서는 작품 설치공간의 환경색채 분석에 근거한 작품 디자인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환경색채분석표, 유지·보존계획을 위한 작품 제작용 도료 기록서, 작품 보존용 재료 기록서를 제시하였다. 색채평가 단계에서는 기존 미술작품 심의채점표의 색채관련항목의 구체화를 위해 작품 색채평가, 작품 도료의 적합성 평가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제작 및 설치 단계에서는 작품색 견본 제작과 작품 측색 및 광택 기록서를 제시하여 원작의 색채와 손상된 작품 간의 색채를 정확히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유지 및 관리단계에서는 이전의 단계에서 제시한 작품 측색 및 광택 기록서를 활용하여 작품 색채와 광택 변화에 대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색 복원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색채계획 단계, 제작 및 설치 단계에서 제시한 서식을 참고하여 작가의 색채사용 의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원작의 색채와 비교할 수 있는 척도에 근거하여 색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lor of sculptures is an element to form image of the city landscape and to perform aesthetic function as a public art. Therefore, color management is essential during the life cycle of works once they are installed. According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process of public art in Seoul,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lor management at each stage and to establish the color management process of sculptures to strengthen and systemize color management functions as a part of public art management. The public art color management process of the city of Seoul was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such as color planning, color evaluation, production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 management based on the color management of the existing Seoul public artwork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process. The existing process lacked the color recording and the objective color measurement process.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ation to reproduce the original color because it did not keep records of paints and restorative materials used in the work and it decreased the efficiency of color management. Conclusions reflecting the improvement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 the color planning stage, an environmental color analysis table, a paint record for the production of works for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plan, and a material record for the work preservation were presented so that the work design process could b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olors of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color evaluation stag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olor evaluation of works and the suitability of paints were presented to specify the color-related items in the existing artwork evaluation criteria. In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stage, sample colors of the work were produced, and records of color and gloss of works were presented so that the colors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damaged work could be accurately compared.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age, the color restoration plan can be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color change of the work using the colorimetric record presented in the previous stage. In addition, we make it possible for the color restoration to be made based on a scale comparable to the original color based on the artist’s intention of using the color, referring to the form presented at the color planning,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st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