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설경옥-
dc.contributor.author권혜중-
dc.creator권혜중-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45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4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1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13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7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계층감과 사회적 통합감의 관계에서 공적 사회 참여와 상대적 박탈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30대, 40대 성인 남녀 46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로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계층감, 사회적 통합감, 공적 사회참여는 서로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으며,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계층감, 사회적 통합감 그리고 공적 사회참여와 부적인 상관 관계에 있다. 둘째, 공적 사회참여는 주관적 계층감과 사회적 통합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계층감과 공적 사회참여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넷째, 주관적 계층감에서 공적 사회참여를 매개로 사회적 통합감으로 가는 간접효과를 상대적 박탈감이 조절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상대적 박탈감의 수준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으며, 특히 상대적 박탈감의 크기가 평균보다 높은 경우에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주관적 계층감이 높을수록 공적 사회참여를 더 많이 함으로 사회적 통합감이 증가한다. 그리고 공적사회참여와 상대적 박탈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상대적 박탈감이 큰 경우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관적 계층감이 높은 사람이 더 많은 공적 사회참여를 통해 사회적 통합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는 오직 상대적 박탈감이 너무 높지 않은 경우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대적 박탈감이라는 변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개인의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배제된 이들이 국가적인 정치 사안에 참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적으로는 개인의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하기 위한 상담을 제공하고, 시민 교육을 통해 타인과의 사회비교를 줄이고 분노와 우울을 다스리는 방법을 제공하는 등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안한다. 또한 집단 수준의 상대적 박탈감을 높이는 것은 불공정한 사회체제에 대한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추진력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소속감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적 박탈감이 큰 개인들의 커뮤니티 형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between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social integration. Regarding this, 468 men and women in their 30’s or 40’s in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a survey.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was used to analyz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social status,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ne-another, and relative deprivation was in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social status,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Second, social participation prove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social integration. Third, relative depr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social participation.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subjective social status mediated by social participation towards social integration turned out to be moderated by relative deprivati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lative deprivation, showing no effect when relative deprivation was above averag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subjective social status have higher levels of social integration as they participate more in society. Also,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was not significant when relative deprivation was above average. This means that individuals with high subjective social status can enhance their social integration level through more social participation, but only when their relative deprivation is not that high. Therefore, in order for individuals with low subjective social status to feel less deprived, there needs to be practical measures that allow those who are neglected from society to participate more in politics. Locally, there needs to be counseling services to alleviate individuals’ relative deprivation, and provide other social-psychological support such as civil education to reduce social comparisons and control one’s anger or depression. In addition, not only increasing relative deprivation as a group may act as a drive towards social participation against unjust systems, but it can also increase the sense of belonging. Therefore one suggests forming communities for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relative depriv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문제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주관적 계층감 5 1. 주관적 계층감과 객관적 사회계층 5 2. 주관적 계층감의 선행연구 6 B. 사회적 통합감 9 1. 사회적 통합감 9 2. 사회적 통합감과 사회계층 11 C. 공적 사회참여 13 1. 공적 사회참여 13 2. 공적 사회참여와 주관적 계층감 14 3. 공적 사회참여와 사회적 통합감 15 D. 상대적 박탈감 17 1. 상대적 박탈감과 주관적 계층감 17 2. 상대적 박탈감과 공적 사회참여 19 3. 상대적 박탈감과 사회적 통합감 20 Ⅲ.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 22 A. 연구 모형 22 B. 연구 가설 23 Ⅳ.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4 B. 측정도구 25 C. 자료 분석 방법 30 Ⅴ. 연구결과 및 해석 31 A.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1 B. 측정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3 1. 측정 변인의 기술통계 33 2. 측정 변인 간 상관관계 33 C. 공적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36 D. 상대적 박탈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37 1. 주관적 계층감과 공적 사회참여의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조절효과 검증 37 2. 주관적 계층감과 공적 사회참여, 사회적 통합감의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39 Ⅵ. 논의 41 A. 결과 요약 및 해석 4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3 참고문헌 50 부록1. 설문지 67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69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주관적 계층감과 사회적 통합감의 관계에서 공적 사회참여와 상대적 박탈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Social Integra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