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안현정 작곡 세 대의 거문고를 위한 ‘新흥보가’ 분석 연구

Title
안현정 작곡 세 대의 거문고를 위한 ‘新흥보가’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 study on "New Heungboga" poetic song for three Geomungos composed by Ahn, Hyun-Jung
Authors
김나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논문은 안현정 작곡의 세 대의 거문고를 위한 '新흥보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세 대의 거문고를 위한 '新흥보가'는 2014년 9월 2일에 THE현 첫 번째 음악 '自出(자출)-스스로 울림' 연주회에서 거문고 앙상블 THE현에 의해 위촉 초연된 곡이다. 본 곡은 박녹주가 부른 판소리 <흥보가>를 기초로 하여 새롭게 작곡된 곡으로, 본 논문의 필자는 본 곡에서 원곡 판소리 <흥보가>의 음악적 소재를 살펴보고 분석하여 성악곡이 거문고 기악곡으로 재구성되는 방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곡은 제1악장 "흥보가 둘째 박을 타는데"와 제2악장 "화초장 타령" 그리고 제3악장 "놀보가 제비 후리러 나가는데"로 총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곡의 분석을 위해 각 악장을 단락별로 나누고 부분으로 세분화하여 구조와 선율 그리고 거문고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악장은 제1마디부터 제92마디까지 총 92마디이고, A단락(개시악절-a-b-a'), B단락(c-c'-d-종결부분), 그리고 A'단락(a"-d'-종결악절)으로 구성된다. 박자는 진양조 장단으로 6/8박자와 9/8박자가 순차적으로 등장하며 변박되고, 빠르기는 6/8박자에서 = 45로 연주하고, 9/8박자에서 = 5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E♭, F, G, 그리고 B♭음이 주요음으로 나타난다. 제1악장은 판소리 <흥보가> 중 "박타령(2)" 대목에서 나타나는 4도 상행음정과 4도 하행음정을 음악적 소재로 사용하여 주요 음정관계를 가진다. 개시악절로 시작하여 세 개의 거문고 성부가 고정된 주제선율을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하며 대위적인 작곡기법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악장 도입부에서 등장하는 개시악절로 시작하고 종결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개시악절과 종결악절의 사용은 제1악장이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제1악장의 거문고 연주법은 뜰살(22회), 스르렁(14회), 자출(1회), 대점(12회), 추성(4회), 그리고 꺾는 음(7회) 연주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뜰살 주법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둘째, 제2악장은 제1마디부터 제56마디까지 총 56마디이고, A단락(a-b-c-d-종결부분)과 B단락(a'-e-종결악절)으로 구성된다. 박자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12/8박자이고, 빠르기는 A단락인 제1마디부터 제32마디까지 = 68로 연주하고, B단락인 제33마디부터 제56마디까지 = 76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E♭, F, G, 그리고 B♭음이 주요음으로 나타난다. 제2악장은 판소리 <흥보가> 중 "화초장타령" 대목에서 나타나는 선율을 음악적 소재로 사용하여 주제선율이 구성된다. 악장 도입부에서 등장하는 주제선율을 각 단락의 시작부분과 종결악절에서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제2악장이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하며, 이러한 대칭성은 전체 악곡내의 통일성을 보여준다. 제2악장의 거문고 연주법은 뜰살(10회), 트레몰로(17회), 스르렁(17회), 대점(11회), 꺾는 음(1회), 그리고 추성(1회) 연주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트레몰로와 스르렁 주법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셋째, 제3악장은 제1마디부터 제58마디까지 총 58마디이고, A단락(a-b-c)과 B단락(a'-b'-종결악절)으로 구성된다. 박자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12/8 박자이고, 빠르기는 = 7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E♭, F, G, 그리고 B♭ 음이 주요음으로 나타난다. 제3악장은 판소리 <흥보가> 중 "놀보가 제비후리러가는 대목"에서 나타나는 음정과 리듬을 음악적 소재로 사용하여 폭넓게 등장하고, 작곡가 자신만의 음악적 소재를 주제선율로 결합하여 발전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악장 종결부에서 종결악절을 사용하여 종결함으로써 본 곡이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있음을 보여준다. 제3악장의 거문고 연주법은 뜰살(7회), 꺾는 음(12회), 추성(8회), 그리고 스르렁(3회) 연주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꺾는 음 주법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작곡가 안현정의 세 대의 거문고를 위한 '新흥보가'는 원곡 판소리 <흥보가>의 음악적 소재와 작곡가 자신만의 음악적 소재를 주제선율로 결합하여 독창적인 주제발전 기법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각 악장은 주제의 발전과 주제 발전방법에서 상호 보완적이고 유기적인 특징을 가진다. 특히, 제1악장의 도입부에서 나타나는 개시악절의 사용과 제3악장의 종결부에서 나타나는 종결악절의 사용은 본 곡이 음악적 측면에서의 통일성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 대칭적인 구조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본 논문을 통해 성악곡이 거문고 기악곡으로 재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파악하여 세 대의 거문고를 위한 '新흥보가'를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이 곡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 연주에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This thesis presents an analytic results on the poetic song composed by Ahn, Hyun-Jung, "New Heungboga" for three Geomungos. The work "New Heungboga" for three Geomungos premiered by the Geomungo ensemble "THE hyun" in the concert named '自出(Jachul)-self opening (auto tremor)' which was THE hyun's first offering in Sept 2. 2014. The song is a creative work based on the sung by Park, Rok-Joo. This thesis first examined the original form of to uncover the musical elements in the song and analysed them to discover a methodic structure that readers the transformation of vocal music into Geomungo string music. The consists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is "Heungboga duljjae bag-eul taneunde (Heungbo is going to cut second pumpkin)," the second movement "Whachojang taryeong (Carved wooden cabinet song)," and the third movement "Nolboga jebi hulileo naganeunde (Nolbu is going to chasing swallow)." To lay out an analytic preparation, each movement of the song is first divided into several paragraphs, then each paragraph is decomposed into several sections. Analysis on the flow of decomposed elements gave to the discoveries on the musical structures, melodies, and technical variations of play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movement consists of 92 measures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gambit phrase-a-b-a'), B paragraph (c-c'-d-closing section), and A' paragraph (a"-d'- closing phrase). The beats appear in an alternate sequence of 6/8 time and 9/8 time, which is called "Jinyangjo jangdan", beats happen in irregular time so that with 6/8 time it is played in = 45 speed units, and with 9/8 time it is played in = 50 speed units.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and B♭. The first movement uses ascending 4 degrees and descending 4 degrees that are found in the part "Bak taryeong (Pumpkin cutting song)" of the original music and the two progressions form interval relations. The music begins with an gambit phrase and it develops into a repetitive and independent  melodic progression of the three melodies for each of the three instruments in countrapuntal techniques. The gambit phrase of introduction is also used as the closing phrase, which signifies the music tries to build a unified symmetry over the whole movement. As to the techniques of playing Geomungo, Ddulsal method occurs most frequently by 22 times, as Srurung is used in 14 times, Jachul in 1 time, Daejum in 12 times, Chusung in 4 times, and Kucki in 7 times. The second movement is made of 56 measures and have A paragraph (a-b-c-d-closing phrase) and B paragraph (a'-e-closing phrase). The beat is 12/8 time as a Jungjungmori jangdan where the speed is = 68 speed units from the bar 1 in A paragraph to bar 32, and is = 76 speed units from the bar 33 to bar 56 which belongs to the B paragraph.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C, E♭, F, G, and B♭. As a primary theme, the second movement makes use of the melodic components that underline "Whachojang taryeong" in the . The symmetric structure is explicitly expressed by using the primary theme at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movement. The symmetry helps build unified and consistent theme passage. The most frequent playing technique is tremolo and Srurung that occur by 17 times whereas Ddulsal in 10 times, Daejum in 11 times, Kucki in 1 time, and Chusung in 1 time. The third movement has 58 measures and consists of two paragraphs A (a-b-c) and B (a'-b'- closing phrase). The beat of the third movement is 12/8 time as a Jungjungmori jangdan, and its speed is = 70 speed units. The tonality is C minor and primary tones are C, E♭, F, G, and B♭. The melodic structure of the movement is developed from the materials of the "Nolbu is going to chasing swallow" song in the . The melody is expanded by the composer and develops into richer thematic depth and flow. As in the other two movements, the third movement ends in symmetry as the closing phrase is a variation of the previous one. The kucki technique takes place most frequently in the third movement, which differentiates the movement from the other two. Ddulsal occurs in 7 times, Chusung in 8 times, and Srurung in 3 times. The music "New Heungboga" by Ahn, Hyun-Jung is a unique recreation of the original as a combination of the original melodic lines of and the genuine ideas of the composer. In particular, the strong structures such as counterpunctuality and symmetry highlight the creative melodic developments. Each movement complements the others in the developments of themes and the methods to induce the developments organically. The symmetric strength of the music is derived from the use of gambit phrase in the beginning of the first movement and the closing phrase at the ending of last movement. It signifies the unified stability of the whole piece and musical consistency throughout the developments of the music. The thesis is an analytic result of how vocal music can be transformed into the music Geomungo instruments, and will contribute to the methodic approaches to compose Geomungo musics. The insights from the thesis will also help the players of the music "New Heunboga" for three Geomungos to understand the music structurally and to produce deeper interpretations of their ow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