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8 Download: 0

성인 초기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Title
성인 초기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Early Adulthood Woman : Mediating Effect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Authors
정수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성인 초기 여성의 섭식문제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섭식과 관련된 문제행동이 유발되기 전까지의 구조적인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18세에서 29세의 성인 초기 여성 38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이상섭식행동,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 객체화된 신체의식, 외모 거부민감성 간의 정적 상관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를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에서 외모 거부민감성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직접 경로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객체화된 신체의식의 단순매개효과와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순차적인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외모 거부민감성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인 초기 여성들의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이 이상섭식행동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객체화된 신체의식 수준을 높이고 외모로 인한 거절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성을 높임으로써 섭식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는 외모에 대한 이상적인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이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를 객체화함으로써 감시하도록 하며, 끊임없는 신체 비교를 통해 신체적 외모에 대한 수치심을 경험하도록 만든다. 그러한 영향으로 매력적이지 않은 자신의 외모는 타인에게 수용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부적응적인 민감성을 발달시켜 자신의 외모를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섭식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이 이상섭식행동에 기여하는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상섭식행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SNS를 통한 획일화된 미의 기준으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신체적 외모의 가치를 인정할 수 있도록 인식을 개선하는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좀 더 근본적으로 자신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 사랑하는 ‘자기 몸 긍정주의(body positivity)’를 실천함으로써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지고 자기 스스로 당당해질 수 있도록 하여 성인 초기 여성들의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processes before eating-related problem behavi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ating problems and th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in early adulthood wome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as examined, and mediating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as identified.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of 385 early adult women aged 18 to 29 years was adopted for the study. From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were carried out,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ident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ubsequently, the mediating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of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as examine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up a research model that mediated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s a result, the path to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all other direct paths were significant. Third, bootstrapping was adop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s a result,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 the relation of the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appearance rejection was not significant. Taken together,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in early adulthood women not only directly predicts disordered eating behaviors, but also raises the level of objected body consciousness and increases the tendency to sensitively accept appearance-based rejection appearing eating problems. In addition, SNS constantly applies pressure to internalize the ideal value of appearances, monitors by objectifying one's body to reach it, and leads to experiencing the shame of physical appearance through constant body comparison. In response, maladaptive sensitivity that one's appearance may not be acceptable to others developed, and eating problems occurred in an effort to change one's appearance. Through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contributes to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as identified, and in the process, mediating effect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ere identified. As such, to prevent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various physical appearances that deviate from the standard of uniform beauty in SNS.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by promoting 'body positivity', which is more fundamentally affirming and loving oneself as it is, it will help to improve the physical health of early adult women by free from the eyes of others and become self-confid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