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원-
dc.contributor.author이지숙-
dc.creator이지숙-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41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4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0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08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56-
dc.description.abstract정서는 주의, 기억 등 인지와 행동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서단어는 다양한 정서 연구에서 활용되는 주요 재료이다. 그러나 현 단어 모형에 정서 요인은 누락되어 있고, 정서단어를 주제로 한 연구도 정서 단어의 목록 구성 이 다양한 언어권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을 뿐이다. 이러한 정서단어 목록에는 정서를 지칭하는 정서지시단어(슬픔, 기쁨 등)와 지시적 의미가 정서적 성격을 띄는 것은 아니지만, 정서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정서함축단어(전쟁, 졸업 등)가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 정서단어 목록에도 이러한 두 종류의 단어 유형이 포함되어 있으며, 본 연구는 점화 패러다임에서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여 두 정서단어 유형의 어휘처리 양상을 확인하고자 했다. 정서가(valance), 각성가(arousal) 등의 정서 요인과 빈도(frequncy), 단어 길이(word length) 등의 언어 요인을 통제하였으며, 점화단어는 표적단어와 같은 유형의 단어를 사용했다. 정서단어의 특성 연구들은 혼재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Kazanas와 Altarriba(2015)는 영어 정서단어를 대상으로, Zhang, Wu, Meng와 Yuan(2017)는 중국어 정서단어를 대상으로 정서지시단어와 정서함축단어의 처리가 다름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Vinson, Ponari와 Vigliocco(2014), Martin과 Altarriba(2017)는 두 유형의 정서단어의 처리가 유사함을 보고하였다. 본 실험 1은 SOA가 250ms일 때 Kazanas와 Altarriba(2015)의 실험 1을 반복 검증하였다. 한국어 정서단어 목록 내 단어들을 대상으로 점화 패러다임에서 어휘판단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정서지시단어에서만 유의한 점화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 2는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유지한 채, SOA를 100ms으로 조정하여 단어의 초기 처리 단계에서 정서단어 유형에 따른 처리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정서지시단어와 정서함축단어 모두 점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서단어의 특성 연구로서 한국어 정서단어 목록에 포함된 두 단어 유형의 처리를 점화 패러다임에서 어휘판단과제를 통해 확인하였다. 100ms SOA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250ms SOA 조건에서 정서지시단어만 유의한 점화 효과를 보인 결과는 점화단어의 정서가 표적단어 반응을 촉진 시켰음을 의미하며, 정서지시단어의 정서가 정서함축단어의 정서와는 다른 성격의 것임을 시사한다. ;Emotion affects cognition and behaviors, such as attention and memory, and emotional words are the main materials used in various emotion studies. However, emotional factors are missing from the current word model, and research on emotional words has only been actively organized in various languages. The list of emotional words includes emotion label words (sorrows, joys, etc.) that refer to emotion and emotional laden words (war, graduation, etc.) that contain emotional contents, although the directive meanings do not hav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 list of Korean emotional words includes these two types of words.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lexical processing of two emotional word types by conducting a lexical decision task in the priming paradigm. Emotional factors such as valance and arousal and language factors such as frequency and word length were controlled. Priming words used the same type of words as target words.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words reports mixed results. Kazanas and Altarriba (2015) report on English emotional words and Zhang, Wu, Meng and Yuan (2017) report on chinese emotional words and both studies have reported results supporting the difference processing between emotion label words and emotional laden words. Vinson, Ponari and Vigliocco (2014), and Martin and Altarriba (2017) reported similar processing of two types of emotional words. Experiment 1 in this study repeatedly verified Experiment 1 of Kazanas and Altarriba (2015) at 250ms SOA. The lexical decis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priming paradigm for the words in the Korean emotional word list. In Experiment 2, was conducted at 100ms SOA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experiment 1 and the processing pattern according to the emotional word type was confirmed in the initial processing stage of the word. As a result, neither the emotiol label word nor the emotional laden word showed priming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ing of two word types included in the Korean emotional word list through the lexical decision task in the priming paradigm. Although it did not appear at 100ms SOA, only the emotion label words at 250ms SOA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priming effects. This means that the emotion of the priming words promoted the target word response and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label words and emotional laden words are differ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A. 정서단어의 특성 3 B. 비정서단어와 구분되는 정서단어 4 1. 단어유형(words type)과 척도:구체성, 맥락가용성, 심상화가능성 4 2. 단어유형과 기억(연상과 회상) 7 C. 정서단어의 유형; 정서지시단어와 정서함축단어 8 1. 정서 사이먼 과제(affective simon task) 9 2. 신속 순차 시각 제시법(RSVP)을 사용한 반복맹 11 3. 어휘판단과제 11 D. 연구문제 14 Ⅲ. 실험 1 16 A. 방법 16 1. 참가자 16 2. 기구 17 3. 재료 및 설계 17 4. 절차 20 B. 결과 21 1. 반응시간 21 2. 오반응률 22 C. 논의 23 Ⅳ. 실험 2 25 A. 방법 25 1. 참가자 25 2. 기구 25 3. 재료 및 설계 26 4. 절차 26 B. 결과 26 1. 반응시간 26 2. 오반응률 27 C. 논의 28 Ⅴ. 종합논의 29 참고문헌 36 부록1. 실험자극 목록 41 ABSTRACT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21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정서지시단어와 정서함축단어의 특성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Label Words and Emotional Laden Words-
dc.creator.othernameLee, Jisuk-
dc.format.pagevi,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