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여성 근로자의 자살사고 영향요인

Title
여성 근로자의 자살사고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Female Workers
Authors
최민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asures to prevent the suicide of women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dual roles of them who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whole workers in both workplaces and homes and some factors influencing difficulties derived from suicide problems and their suicide thoughts, while they suffer from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o this end, the data from the 6th main inspection (2016)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quantitative,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4.0. In order to test differences in main variables between groups, a Chi-square(χ²) test and a t-test were implemented and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control and main variables. Finall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grasp the effect of factors influencing women workers' suicide thoughts and each independent variable.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122 (2.9%) of all women workers responded that they had suicide thoughts. This figure is similar to the incidence of them a year (2.8%) reported in the 2016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cond, an analysis on differences in main variabl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 with suicide thoughts and the group without them showed that job satisfaction(t=4.069, p<.001), job stability(t=4.069, p<.001) and human relation satisfaction in workplaces (t=2.405, p<.05) were higher in the latter, while depression(t=2.002, p<.05) and stress(t=-11.574, p<.001) were higher in the former. Third, an analysis on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showed that the ratios of persons in their 40s and 50s and of those with working hours longer than 9 hour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group with suicide thoughts, compared with those in the group without them. Fourth,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to which independent variables were put, controlling control variables, to verify factors influencing women workers' suicide thoughts. Then, the findings exhibited that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uicide thoughts: when income wer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suicide thoughts was decreased 0.32 times, while the probability of them was increased 1.693 times, when stress was increased. Fro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suicide prevention measures for women workers are politically poor.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s National Action Plan for Suicide Prevention presented in January, 2018 was encouraging, in that it was a practical measur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targets, women workers were never considered in it, though they belonged to the vulnerable clas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suicide prevention measure by incorporating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customized to women workers' tasks by their life cycles, and encourage municipalities to extend awareness of the need for the suicide prevention of women workers and develop practical measur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mplement all kinds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 among those for workers' mental health, which are currently operated in Korea.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for Korean workers just include EAP,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ocial adjustment program provided by Korea Workers' compensation&Welfare Service, and job stress counseling provided by worker health centers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Health Agency, and the number of worker health centers is only 21 throughout the country. In Korea, mental health projects for workers are often performed by agencies related with Department of Labor, and therefore, most of services provided by them aim to maintain jobs. Service systems integrated with facilities for mental health should be thus established, based on the cooperation with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ird, EAP reflecting women workers' own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should involve not only mental health factors such as the enhancement of human relation satisfaction and the prevention of stress, but also contents regarding suicide prevention. Fourth, the establishment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for business owners and the linkages with rel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In the current workplaces, suicide problems caused by prejudice and stigmas are not regarded as social problems, but as individual on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life and love education and gatekeeper education, by connecting mental health wellbeing centers with suicide prevention centers, establish the mental health counseling system in workplaces, discover high-risk groups of suicide and develop the linkages with resources in local communities. Fifth, the reinforcement of social systems and wellbeing systems for women workers' work-family balance in workplaces are require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to force businesses to support the work-family balance by revising related laws, promote national certification parenting, foster housework helpers, strengthen their employment conditions and improve their treatment. Moreover, childcare time should be extended by increasing child-care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to fill well-being gap, for the mental health of women workers, by employi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therefore, providing them with psychology counseling, social psychology programs and relation recovery programs, all of which should reflect workers'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전체 근로자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여성근로자의 일・가정에서의 이중역할과 차별 및 배제 속에서 자살문제로 인한 어려움 및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통해 여성근로자들의 자살예방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의 제6차 본조사(2016년)의 데이터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한 양적분석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수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고자 카이제곱(χ²) 검정과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통제변수 및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근로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각의 독립변인이 지니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근로자의 자살사고는 전체 중 2.9%에 해당하는 122명이 자살사고가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2016년 정신질환실태역학조사 보고서에 나온 여성의 자살사고 일년 발병율 2.8%와 비슷한 수치이다. 둘째, 자살사고 유무에 따른 주요변수 특성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직업만족도는 자살사고가 없는 집단에서 자신의 직업에 대해 더 높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4.069, p<.001), 직무안정성은 자살사고가 없는 집단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238, p<.05). 또한 직장내 인간관계만족도는 자살사고가 없는 집단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t=2.405, p<.05), 우울은 자살사고가 있는 집단에서 더 높게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었다(t=2.002, p<.05). 또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가 있는 집단에서 더 높게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11.574, p<.001).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사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먼저 연령대에서 자살사고가 없는 집단에 비해 자살사고가 있는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40대와 50대의 비율이 약간 더 높았고(χ²=10.722, p<.05), 근무시간은 자살사고가 있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9시간 이상의 긴 근무시간을 가진 비율이 약간 더 높았다(χ²=6.230, p<.05). 넷째, 여성근로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통제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독립변수들을 투입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득과 스트레스가 여성근로자의 자살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아지면 자살사고 확률은 0.32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자살사고는 1.69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통해 제언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여성근로자를 위한 자살예방대책은 정책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2018년 1월 정부의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은 대상별 특성과 상황을 반영한 실질적인 대책이라는 부분에서 고무적이나, 여성근로자의 경우 취약 계층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여성근로자의 생애주기별 과제에 따른 맞춤형 자살예방 전략을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자살예방대책을 마련, 국가적 방향제시를 통해 지자체에서도 여성근로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필요성 인식 증대와 실질적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행 운영 중인 우리나라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련한 프로그램 중 각종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이하 EAP)의 대대적인 보완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근로자 대상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 현황을 살펴보면,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EAP, 심리상담, 사회적응프로그램과 안전보건공단의 근로자 건강센터에서 제공하는 직무스트레스 상담이 전부이며, 이마저도 근로자 건강센터는 현재 전국 총 21개 곳에 불과하다. 우리나라는 현재 근로자와 관련한 정신건강사업이 주로 노동부 관련 기관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부분 직업 유지를 기본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정신건강관련 시설과의 통합적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근로자들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EAP가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개입내용에는 인간관계만족도 향상 및 스트레스 예방과 같은 정신건강적 요소뿐만 아니라 자살예방에 관한 내용도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사업주에 대한 자살예방교육 및 유관 기관과의 연계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현재 근로현장에서는 편견과 낙인 등의 문제로 인해 자살문제를 사회문제가 아닌 개인의 문제로 여긴다. 이에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자살예방센터 연계를 통한 생명사랑교육과 함께 게이트키퍼교육, 직장 정신건강 상담체계 구축과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체계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여성근로자들을 위한 일・가정 양립의 사회적 제도와 직장 내 복지제도의 강화가 요구된다.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을 강제할 수 있는 개정 노력과 함께 국가 인증 육아 및 가사도우미 양성과 그들의 고용 조건 강화 및 처우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확충을 통해 보육 시간 확대가 필요하며, 끝으로 직장 내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채용함으로써 해당 직장의 근로자 특성을 반영한 심리상담, 사회심리프로그램, 관계회복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을 위한 복지적 빈틈을 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