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4 Download: 0

TMD환자에서 초음파영상진단을 통해 측정된 교근 두께와 턱관절 통증과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TMD환자에서 초음파영상진단을 통해 측정된 교근 두께와 턱관절 통증과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eter Thickness measured through Ultrasonography and Muscle Pain in TMD patients
Authors
이서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종
Abstract
최근에는 초음파와 MRI를 이용하여 교근의 두께(masseter width)를 측정하고, 교근의 단면, 상태 등을 연구하기도 한다. 교근에 염증이 있을 때 초음파영상진단을 통하여 측두하악장애 진단에 도움이 되며 약물이나 장치 등을 통하여 안면 비대칭을 치료하는데 있어서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도 계속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음파 영상 진단을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TMD)와 관련된 통증이 저작근과 연관될 수 있는 인자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턱관절 주변 근육의 통증이 교근의 두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지를 분석하고, 교근의 두께와 통증의 정도, 최대 개구량, 통증의 지속기간, 관절음 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6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하여 턱관절 질환에 대한 임상 검사와 함께 초음파 영상으로 교근의 두께를 측정한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근의 두께를 측정한 37명 중 선정 및 제외기준을 적용하여, 총 26명의 환자로 양측으로 통증이 있는 환자 6명, 편측으로 통증이 있는 환자 18명, 양측으로 통증이 없는 환자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26명의 턱관절은 양측으로 모두 52개이며 통증이 있는 군 30개, 통증이 없는 군 22개로 구성되었다. 통증이 있는 군의 평균 교근의 두께는 13.04±2.47mm이며, 통증이 없는 군은 14.17±2.20mm으로 통증이 없는 환자에서 교근의 두께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각 개인에게 존재하는 해부학적 변이의 가능성을 염두 하여 편측관절에만 통증이 있는 18명의 환자에서 통증이 있는 군의 평균 교근의 두께는 13.83±2.63mm이며, 통증이 없는 군은 13.84±2.01mm로 측정되었고, 통증이 없는 환자에서 교근의 두께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교근 두께와 통증의 정도와 관련하여 통증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통증의 수치가 심한 수준에서 교근의 두께와 높은 관계를 보였으며, 통증의 정도가 보통인 수준에서 교근의 두께와 낮은 관계를 보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교근 두께와 통증의 유, 무, 최대개구량의 관계에서 통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 모두에서 양의 상관관계의 결과가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근 두께와 통증의 지속기간에서 통증 지속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가 6개월 미만인 경우 보다 교근 두께가 높았다. 또한, 통증이 있는 군보다 통증이 없는 군에서 교근 두께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교근 두께와 관절음, 통증의 유, 무의 관계에서 관절음이 없고, 통증이 있을 때 교근의 두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 턱관절 주변 근육의 통증 유무에 따른 교근의 두께와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턱관절 진단에서 저작근과 연관될 수 있는 인자들의 연관성 및 턱관절 초음파 영상에 대한 사용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Ultra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re used in re-searches to measure the thickness of masseter muscles and study the cross section and condition of masseter in recently. Ultrasonography helps diagnos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when inflammation occurs in masseter muscles.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within factors that can associate TMD-related pains with masseter muscles through ultrasonography,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pain surrounding temporomandibular joint (TMJ) muscle is related to the increase in masseter thickness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within masseter thickness, pain score, maximum mouth opening, pain duration and TMJ sound to be of help in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 patients with TMD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Mokdong Hospital of Ewha Womans University between June 1, 2017 and August 31, 2019 and measured masseter thickness through ultrasonic imaging. After applying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among the 37 pa-tients, total 26 patients selected. Among those were 6 patients with bilat-eral pain, 18 patients with unilateral pain and 2 painless patients. The number of TMJ of the 26 patients was total 52 which were divided to 30 TMJs with pain and 22 TMJs without pain. The average masseter thickness of the group with pain was 13.04±2.47mm and that of the group without pain was 14.17±2.20mm. Among 18 patients with pain on-ly in unilateral joint, the average masseter thickness of the group with pain was 13.83±2.63mm and that of the group without pain was 13.84±2.01mm. While the average masseter thickness was larger in the patients without pai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asseter thickness and the Maximum mouth open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ain and pain-less groups. But thi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urtherm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eter thickness and pain score, except for the case where pain score was the group of patients without pain, at a severe level of pain score, the thickness of the masse-ter was high. At a level where the pain level was moderate, the thickness of the masseter showed a lowest level.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sseter thickness was higher in the case where the pain duration was longer than 6 months than in the case where the pain duration was less than 6 months,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asseter thickness was higher in the TMJs without TMJ sound com-pared to the TMJs with TMJ sound. And among the TMJs without TMJ sound, the masseter thickness was higher in the TMJs with pain com-pared to the TMJs without pain. Her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it was found that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TMJ sound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dition in which there is pain but no TMJ sound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masseter thickness.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pain in the muscles surrounding TMJ and masseter thickness was con-firmed. Hopefully, such result will be of help in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the factor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masseter muscles in TMJ diagnosis using ultrasonic imaging and in setting up guidelines regarding the use of ultrasonic imaging for TMJ.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