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혜경 | - |
dc.contributor.author | 김경옥 | - |
dc.creator | 김경옥 | - |
dc.date.accessioned | 2020-02-03T16:31:39Z | - |
dc.date.available | 2020-02-03T16:31:39Z | - |
dc.date.issued | 2020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64121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121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43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업장 특성, 직무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규명함으로써 안전·보건관리자에 대한 환경 및 처우 개선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함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자 총 194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기술통계량(빈도분석, 산술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하부요인 업무만족도와 직장만족도를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보건관리자의 업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의 모형1에서는 연령대, 고용형태, 근무시간, 승진기회가 업무만족도에 영향요인이 되었다. 한편 이 연구의 핵심적 독립변인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이 추가적으로 투입된 모형2에서는 ‘직무자율’과 ‘보상부적절’ 두 변인이 업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이하게도 모형1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던 것은 사라졌다. 이것은 그 영향력이 흡수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한 일반적 특성이 결국 특정 형태의 직무 스트레스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며, 그렇게 연계적으로 발생된 직무 스트레스가 결정적으로 업무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둘째, 직장만족도의 경우에는 업무만족도와는 다르게 일반적 특성 중 주당평균 근무시간과 소득수준 또한 직장만족도에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와 동시에 직무 불안정 및 조직체계와 관련한 직무 스트레스 또한 직장만족도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자율성’과 ‘보상’과 관련된 것이지만, 자신이 속해 있는 직장 자체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짓는 것은 자신이 맡고 있는 직무와 관련된 고용의 안정성과 조직 전체가 갖고 있는 분위기나 체계 등이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직무만족도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시도에 있어서도 또한 이 두 가지 변인을 구분하여 정확히 어떠한 분야의 만족도를 높일 것인지를 특정하여야 그 제도적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안전․보건 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업무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working in the workpl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related function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inducing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afety and health manager's job stress-related factors and analyzed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job stress recognition level by dividing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lower factors. The degree of job stres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factors out of 4 points was found to be 2.340 points and experienced normal job stress.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as a lower area of job satisfaction of 5 points 3.264 points, workplace satisfaction 2.931 points. The main results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age group", "employment type",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and "promotion opportun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model 2, where the cor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dded to the job stress factors were added, it was found that the two variations of "job autonomy" and "compensation inappropriat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Model 1 was confirmed. This can be seen as absorbing its influence. Such a general characteristic will eventually inform that it is associated with a certain form of job stress, that the job stress generated in such a link is a factor that decisively reduces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work satisfaction, the average working hours and income level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work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exert a high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job stress related to job instability and organizational system was also found to be the main factor in determining work satisfaction. Increasing work satisfaction is related to 'autonomy' and 'compensation', but determining the satisfaction of the workplace itself in which you belong is because it is the stability of the employment that the person is in charge of the job and the atmosphere or system of the organization as a whole, in an attempt to institutionally increase job satisfaction, also in an attemp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stitutionally, you must also distinguish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o ensure the exact satisfaction of any field that can be guaranteed. it is that there is.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used as a basis for reducing the job stres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effective work and job satisfactio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D. 윤리적 고려 7 E.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9 A. 직무스트레스 9 B. 직무만족도 12 C. 안전⦁보건관리자 13 D. 사업장 14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8 C. 연구도구 19 D. 자료 분석방법 22 Ⅳ. 연구결과 23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 사업장관련특성. 직무관련특성 23 B.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특성 28 C.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 특성 29 D.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의한 직무만족도 30 E. 연구대상자의 사업장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34 F. 연구대상자의 직무관련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35 G.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39 H. 연구대상자의 사업장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41 I. 연구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42 J.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4 Ⅴ. 고찰 50 Ⅵ.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58 부록1. 설문지 62 ABSTRACT 69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137203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 |
dc.subject.ddc | 362 | - |
dc.title |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Workplace Safety and Health Managers | - |
dc.format.page | Ⅵ.70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임상보건융합대학원 보건정책학전공 | - |
dc.date.awarded | 2020.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