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8 Download: 0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오류 양상 분석

Title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오류 양상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Error Pattern in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by Chinese Students
Authors
이수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assessing whether Chinese students are properly learning Korean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ir errors in pronouncing Korean language. Since the pronunciation domain is greatly affected by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there are different error patterns according to the nationality of the leaners. Although there have been extensive research studie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on the Chinese learners who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Korea, many Chinese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due to inaccurate pronunciation. Since the final consonant that corresponds to the vowel at the end of syllable in Korean language and the endings in Chinese language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many Chinese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learn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Therefore, Chinese students’ language abilities should be studied more intensively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n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in comparison to the students from countries with other native languages.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ing to examine the extent of acquisition of correct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by learning more about the phonemic environment in which errors occur and the extent of error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patterns of errors in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by Chinese students. The domain of pronunciation among the subordinate area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influenced to the greatest extent by the native language of the learners. Therefore, after having compared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with the endings in Chinese language to assess aspects that are similar and different, errors of the learners were predicted on the basis of contrast analysis theory.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learners will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pronunciations that are not in the Chinese language or are similar but still different. This study diversely divided and analyzed the phonetic environments in which the error patterns of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materialized with Chinese students as the subjects. Moreover, it examined which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s are more easily acquired as the proficiencies of the learners increase, and what kinds of errors are induced by pronunciations that are difficult to acquire. For this purpose, pronunciation outputs of the 107 Chinese students were recorded and analyzed. Error rate was deduc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each item in accordance with the phonemic environment materialized in order to achieve accurate verification. As such, the Fisher test was execu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s of proficiency. Chinese students, as anticipated, were having difficulties in the acquisition of implosive final consonants, and such errors in pronouncing implosive final consonants could be found easily in the elementary-level learners. Meanwhile, findings on the aspects related to the nasal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differed from the predictions of the contrast analysis theory. Unlike the prediction that Chinese students would be able to easily acquire nasal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s since Chinese language also has nasal endings, they displayed extensive errors in proper pronunciation. Characteristic of the errors in nasal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are that they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han in the elementary level learners. It appears to be the result of the nasal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s in Korean language that corresponds to those in the Chinese language not being completely the same, but only similar. As such, the learners are making nasal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by confusing pronunciation for /ㄴ/, /ㅁ/, and /ㅇ/. The Liquid final consonant, /ㄹ/, was the final consonant among all the final consonants that displayed the most extensive errors in pronunciation. Although there were many errors in pronouncing the implosive final consonant by deleting it altogether sinc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final consonant itself, the final consonant /ㄹ/, displayed extensive errors of manifestation of rhotacism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habit of Chinese in pronouncing /ㄹ/ in combination with a vowel by rolling up the tongue. In order to analyze the errors in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by Chinese students, this study made a detailed review of the extent of the acquisition of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by Chinese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oficiency of the learner, phonemic environment in which final consonant is materialized, and types of errors that occu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ystematic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students was made and that broadened the breadth of the research studies that had previously been focused on the errors in pronouncing initial consonants of Korean language.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를 분석하여 그 습득 여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음 영역은 모국어의 영향을 크게 받는 영역이기 때문에 국적에 따라 다른 오류 양상을 보인다. 그 중 국내 학습자 분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들에 대한 연구는 양적ㆍ질적으로 많은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많은 수의 중국인 학습자들이 부정확한 발음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어의 음절 말 자음에 해당하는 종성과 중국어의 운미(韻尾)는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많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종성 발음 습득을 어려워한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는 종성 발음 교육과 관련하여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보다 더욱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종성 발음 오류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음운 환경과 오류의 정도를 밝혀내어 종성 발음의 습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외국어 교육의 하위 분야 중 발음 영역은 학습자의 모국어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영역이다. 이에 한국어의 종성 발음을 중국어 운미(韻尾)와 비교ㆍ대조하여 어떤 부분이 비슷하고 다른지 파악한 후 대조분석이론에 근거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예측해 보았다. 학습자는 중국어에 없거나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는 발음에서 어려움을 느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종성 발음의 오류 양상을 실현되는 음운 환경을 다양하게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숙달도가 올라갈수록 어떤 종성 발음을 쉽게 습득하고, 습득이 어려운 발음은 어떠한 오류를 발생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총 107명의 중국인 학습자의 산출 발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실현되는 음운 환경에 따른 각 항목의 빈도를 분석하여 오류율을 도출해 내었고, 숙달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Fisher검증을 실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예상했던 오류와 같이 폐쇄음 종성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러한 폐쇄음 종성의 오류는 초급 학습자에게서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대조분석이론의 예상과 달랐던 점은 비음 종성과 관련된 부분인데, 중국어에도 비음 운미(韻尾)가 있으므로 쉽게 습득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많은 오류를 범하였다. 비음 종성 오류의 특징은 초급 학습자보다 중ㆍ고급 학습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는 점이었다. 이는 중국어에 대응되는 한국어 비음 종성이 완전히 같지 않고 유사하기 때문에 비음 종성 /ㄴ/, /ㅁ/, /ㅇ/를 혼동하여 발화하는 형태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종성 중 가장 많은 오류가 보인 것은 유음 종성 /ㄹ/였다. 폐쇄음 종성에서는 종성 자체를 인식하기 어려워하여 탈락시켜 발음하는 오류를 많이 보였지만, 종성 /ㄹ/는 모음과 결합하여 /ㄹ/를 발음할 때 혀를 둥글게 말아서 발음하는 중국인들의 발음 습관과 관련 있는 얼화(儿化) 현상이 나타나는 오류가 많았다. 중국인 학습자가 산출하는 한국어 종성 발음 오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숙달도, 종성이 실현되는 음운 환경, 발생시키는 오류의 종류에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에 대한 습득 정도를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분석을 했다는 점과 초성 자음의 오류에 집중되어 있었던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