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Title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PPAT depended on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uthors
전윤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rimination of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PPAT) as a supplemental tool for test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e depression level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PPAT test results.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suggest that PPAT is useful as a basic diagnostic tool that can support to identify depression in olde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ake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s. From April 18 to August 22, 2019, the institution’s pre-approval process for gathering objects was gone through. From Aug. 26 to Oct. 12, 2019, depression level measurement and PPAT test were conducted on 132 elderly people register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t a total of 14 institutions such as Dementia Safety Center,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Day Care Center and Geriatric Nursing Hospital Which are located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buk-do, Jeollanam-do and Gangwon-do. A total of 117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materials, except for 15 of the retrieved data because of the inappropriateness of drawing or lack of responses to the survey. To identify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PAT depended on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base score was taken as 14 points which is suggested in the Korean Senior Citizenship Scale for the Elderly. In the sample group, 14 or more were categorized as depressed and less than 14 as non-depress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sub-area of the type indicators of FEATS and the contents scale was analyzed. The SPSS Ver 23.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indicators. In addi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PAT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cross-analysis of the type scale FEATS of PPAT depended on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olde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areas of ‘Prominence of color', ‘Implied energy', ‘Space', 'Realism', ‘Integration', ‘Development Level’ ‘Details of Objects and Environment’, ‘Line Quality' and ‘Perseveration’. In the Contents Scal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following items: The direction of the picture, the number of colors used in the whole picture, the number of colors used in the person, the age of the person, the number of apples, the sky in the background description area (color, line). Secon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survey between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type scale FEATS of PPAT have shown that sub-items of FEATS and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significantly related. The 14 sub-categories of FEATS that showed moderate correlation are ‘Prominence of Color’, ‘Space’ and ‘Details of Objects and Environmen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more likely the FEATS's area is to have a lower score. In this study, it h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responses of each sub-area indicator of PPAT differed depending on the depression of the older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rough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sub-index of FEAT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respect of that PPAT can be utilized for predi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it has a potential use as a test tool to measure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differences. As such, in the clinical trial of depression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disabilities, it is expected that applying PPAT to existing depression screening test, which is conducted in the way of self-reporting, will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discriminating rate of depression diagnosis among the older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increase and in clarifying the direction of early mediation in preventive intervention.;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우울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함에 따라 PPAT 그림검사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을 측정하는 보완적 검사 도구로서 변별력이 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PPAT 그림검사가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우울을 선별하고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진단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9년 4월 18일부터 8월 22일까지 대상자 표집을 위한 기관 사전 승인 과정을 거쳤고 2019년 8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충청북도, 전라남도, 강원도에 소재한 치매안심센터, 노인종합복지관, 주간보호센터, 노인요양병원 총 14개소의 기관에서 경도인지장애로 등록된 노인 132명을 대상으로 우울 수준을 측정하고 PPAT 그림검사를 시행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그림 자료가 부적절하거나 설문의 응답이 누락된 자료 15부를 제외하고 총 117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의 반응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GDS)에서 제시된 최적절단점을 기준으로 14점 이상은 우울 집단, 14점 미만은 비우울 집단으로 구분하여 PPAT 그림검사의 지표에 따른 각 하위 영역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각 지표 간 특징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과 PPAT 그림검사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EATS)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채색 정도’, ‘함축된 에너지’, ‘공간’, ‘사실성’, ‘통합성’, ‘발달단계’, ‘대상과 환경의 세부묘사’, ‘선의 질’, ‘보속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척도(Contents Scale)에서는 ‘그림의 방향’,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상 수’, ‘사람에 사용된 색상 수’, ‘사람의 나이’, ‘사과의 표현 개수’, 배경묘사 영역의 ‘하늘(색칠, 선)’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경도인지장애 노인 표본의 우울과 PPAT 그림검사 형식척도(FEATS)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과 PPAT 형식지표 하위 항목 간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14가지의 전체 형식지표 하위 항목에서 보통 수준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은 ‘채색 정도’, ‘공간’, ‘대상과 환경에 대한 묘사’로 파악되어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형식척도(FEATS)의 영역에서 하위 수준의 점수로 측정될 확률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여부에 따라 PPAT 그림검사의 각 하위 영역별 지표에서 특징적 반응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과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에 따라 두 변인 간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이는 PPAT 그림검사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을 예측하고 인지기능 차이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에 대한 임상 평가 장면에서 자기 보고식 방법의 기존 우울 선별 검사와 함께 PPAT 그림검사를 적용함으로써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진단 변별률을 높이는 것을 확장하고 예방적 중재의 조기 개입 시점의 방향을 명확히 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