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Other Titles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on Group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이수빈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현상실습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집중하고 그 경험을 생생히 밝혀 그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ASD를 진단받은 아동이 참여하는 집단미술치료 실습을 준비하는 석사과정생들과 기관 관계자들에게 실습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준비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ASD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갖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 단계에서 ASD가 있는 아동이 참여한 집단미술치료 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8명을 일대일로 심층 면담하였으며, 이는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이후 경우에 따라 추가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7개의 본질적 주제와 18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7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세상에 다가가지 못하고 어찌할 바를 모름>, <아동 각 개인의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해봄>, <경험이 아니면 몰랐을 나의 편견과 실수를 마주치게 됨>, <아동의 마음과 소통하는 실마리를 찾음>, <함께 발맞추어가며 느껴지는 아동과 나의 변화가 놀랍고 즐거움>, <집단 속 아동들의 소통을 촉진하는 다리가 되어줌>, <미술치료를 통해 나와 아동이 지금 여기에서 만난 것, 그 자체가 의미로 다가옴>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양한 현상학적 자료들을 통합하여 내린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ASD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공부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ASD가 있는 아동을 집단미술치료라는 환경에서 만나며 대상에 대한 이해와 경험에 부족함을 느끼고 당황스러워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집단치료지만 치료사가 각자 한 아동을 일대일로 맡는 환경에서 치료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의문을 갖고 미술치료에 대한 혼란을 겪지만, 아동 각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자신과 다른 아동들을 알아가기 위해 더 깊은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각 아동에게 맞는 소통법을 발견한다. 넷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실습 전부터 막연히 갖고 있던 자신의 선입견을 실습 과정에서 뚜렷하게 느끼고 부끄러움과 미안함 같은 감정을 마주하게 되며, 소통과 미술치료에 대해 좁았던 시선이 확장되는 경험을 한다. 다섯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대상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변화를 크게 놀라워하고 발전하는 아동에게 더 큰 보람을 느낀다. 여섯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집단의 촉진자로서 자신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게 되고, 지속적으로 소통을 촉진하던 중 아동이 집단 속 타인에게 먼저 소통을 시도하는 것을 보고 감격스러워한다. 일곱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ASD가 있는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실습 경험을 돌아보면서 서로 낯선 존재였던 아동과 자신이 미술치료를 통해 지금 여기에서 만난 것 자체가 의미임을 깨닫는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ASD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 본질과 의미를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ASD가 있는 아동을 접하는 석사과정생들에게 실천적 정보를 제공하여 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by focusing on how they experience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improving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for field practice for graduate students, institution officials, and people related to group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ASD.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the file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 through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it?“ For collecting research data, the in-depth one-on-one interviews of 8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d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practice for children with ASD were conducted from July 2019 to September 2019. Thereafter,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until they reached a saturation poi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as 7 essential themes and 18 sub-themes. The 7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Struggling and confused by not being able to approach the world of children, Trying various things to understand the world of each child as an individual, Facing my prejudice and mistakes that I would not know if not experienced, Finding clues to communicate with children’s minds, Amazed and joyful by sensing changes of children and me with keeping pace with them, Becoming a bridge to promote communication for children in a group, The fact that I and children have met here now through art therapy comes to us in a meaningful way. Based on those themes, the existential survey of experiences and writ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in this study that aim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n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meets children with ASD in the context of group art therapy feel embarrassed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about the subject. Seco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confused about art therapy, questioning their identity as therapists in an environment of group therapy where each therapist takes care of one child, but try to understand each child as an individual. Thir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feel the necessity of deeper study to get to know children who are different from themselves. And in the process of doing so, they find a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each child. Four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feel their preconceptions clearly in the process of practice and face emotions such as shame and sorriness, and experience an expanding view of communication and art therapy. Fif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greatly surprised by the changes resulting from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feel more rewarded to the children who are developing. Six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learn that their role as a facilitator of a group is important, and while constantly promoting communication, they are thrilled to see children trying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group first. Seven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realize that it is meaningful that the children and themselves, who have been strangers to each other, have met here now through art therapy while looking back on their experiences in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is academically meaningful and contributable in that it is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lso, it help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ield practice and reducing trial and error for graduate students who meet children with ASD through group art therapy in the field by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