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익중-
dc.contributor.author안영미-
dc.creator안영미-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2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2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20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797-
dc.description.abstractIn modern Korean society, level of education and academical cliquism a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For this reason, the area that should be charged on public education has been passed on to individual households, leading to an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This system of education maintained by private education leaves educational opportunities distributed in competition among social strata, creating a serious educational gap and, in turn, reproducing the structure of inequality in current society. Also, dur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years, the family background of a student has been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as it affect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more, it influences inheritance of poverty and social polarization. But reading not only offsets this phenomenon but also acts as a powerful tool which is accessible to everyon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ading time and private education time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effectiveness of learning habits, which are a parameter in the proces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cases of 2,378 persons in the early 3rd, 5th, and 7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Panel Survey (KCYPS) in its analysis.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Hayes (2013), was used, and the effects of the technique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th reading and private lessons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effect in private education time was higher than in reading time, but the mediated effect of studying habit was higher even when private education time was controlled. Second,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n academical achievement through reading time was not meaningful, while only the private education hours had static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mediated effect through studying habits showed that reading time has a higher impact just as in the elementary school days. Third, the direct effect of reading time on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as not as significant, but private education time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As for the mediated effect, reading ti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medium of learning habits even when private education time was controlled, and private education time showed a partial mediated effect.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reading tim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private education time even when the private education time was controlled. It has been revealed that reading time is important in that all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owed indirect effects that can not be ignored. Since reading time has been shown to have a higher impact on improving learning habits than private education time,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inequality and its social cost by expanding the education budget for reading time which helps to relieve the educational gap. In addition, if low-income students improve their academic performance with supporting reading materials that are easily accessible to anyone, rather than expensive private education, this will help improve those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social inequality depending on the income level of their families. Second, given that mediated effect of reading time via learning habits is higher than that of private education time even until the highschool days, reading is important not on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lso for highschool students. Plus, it is essential to not neglect the importance of reading due to the education biased towar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Reading time can b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form the basis of learning habits, so students should have easy access to read and borrow books in school to create a reading culture. Third, the government should integrate education into the public domai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mong social classes. To this end, a measure would be needed to take advantage of the reading time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everyone and to encourage teachers or school social workers to work on such a role of settling reading time properly. The educational needs should be met within public education by securing sufficient reading time which is currently being addressed through private education. Fourth,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be focused in such a way that reading time plays an important role, rather than emphasizing private education time. Also,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gap in private education costs due to income groups and thus restriction in the mobility of the inter-generation economy, it is necessary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s on the whole. Not only that, it should be a crucial goal of policy to secur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low-income families through designing and providing additional educational activities available at low cost. For example, in terms of social welfare policy, school social workers can contribute to tackling the problem of reproduction of social inequality by supplying reading programs to low-income children, which can help to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s can be done through finding local resources and working in tandem with local children’s center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seek solutions to inequality in education by expanding social welfare programs and introducing an expanded social welfare system, along with innovative expansion of public education investments. ;현대한국사회는 학력사회라고 불릴 만큼 학력과 학벌이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공교육이 담당해야할 영역이 개별 가정에 맡겨져 사교육비 증가현상을 가져왔다. 이렇듯 사교육에 의해 유지되는 교육체제는 교육기회의 배분을 계층 간 경쟁에 그대로 방치하여 심각한 교육격차를 낳고 나아가 기존 사회의 불평등구조를 재생산하고 있다. 또한 초중고생시기에 학생의 가정배경은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빈곤의 대물림과 사회 양극화를 촉진시키므로 주된 논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하지만 독서는 이를 상쇄시킬 뿐만 아니라 계층에 관계없이 누구나 접근하기 쉬운 강력한 도구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중고생의 독서시간과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매개변수인 학습습관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4패널 3차년도, 5차년도, 7차년도 자료 2,378명의 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Hayes(2013)가 개발하고 보급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독서시간과 사교육시간 모두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효과는 독서시간보다 사교육시간이 높았으나 학습습관을 통한 매개효과는 사교육시간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독서시간이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분석결과 독서시간의 학업성취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사교육시간의 경우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학습습관을 통해 살펴본 매개효과는 초등학교 시기와 마찬가지로 독서시간이 더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고등학생은 중학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독서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사교육시간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경우 독서시간은 사교육시간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학습습관의 매개를 통해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간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교육시간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시간의 경우 사교육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결과에서도 사교육시간보다 학업성취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초중고생 모두 독서시간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간접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독서시간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교육시간보다 독서시간이 학습습관 향상에 더 높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교육격차의 해소를 위해 독서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재정의 확대를 통해 불평등 완화 및 사교육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평등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저소득층 학생들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드는 사교육보다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독서자료의 지원 등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제고한다면 학습 관련 자질향상에 도움이 되며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회적 불평등 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고등학교시기에도 여전히 사교육시간보다 독서시간이 학습습관을 통한 매개효과가 더 크다는 점을 볼 때 초등학교시기 뿐만 아니라 고등학교시기까지도 독서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입시에 치우진 교육으로 인해 독서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습관의 기초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독서시간이 중요할 수 있으므로 독서문화의 조성을 위해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책을 쉽게 보거나 빌릴 수 있는 접근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정부는 계층 간 교육기회의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해 교육을 공공 영역으로 포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독서시간을 활용하고, 올바른 독서시간의 정착을 위해 적극적으로는 담당 교사 또는 학교사회복지사 등이 독서시간을 적절하게 정착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 사교육을 통해 해결하고 있는 학업향상 욕구를 공교육 내에서 독서시간의 확보를 통해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독서시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교육시간을 강조하기보다 독서시간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사회복지정책의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또한 소득계층에 따른 사교육비 격차와 이에 따라 발생하는 세대 간 경제계급 이동성 제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사교육비 규모의 축소만이 아니라 낮은 비용으로 참여할 수 있는 추가교육활동의 설계와 제공 등에 의한 저소득층의 교육기회 확보 또한 중요한 정책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사회복지정책차원에서 학교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자원을 발굴하고 지역아동센터와 연계를 통해 저소득층 아이들에게 독서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면 사회불평등의 재생산 문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력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공교육의 획기적인 투자확대와 함께 사회복지프로그램의 확충 및 사회복지제도의 확대도입을 통한 해결책을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C. 연구문제 6 Ⅱ. 선행연구 고찰 6 A. 독서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6 B.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8 C. 독서시간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서 학습습관의 매개효과 10 D. 사교육시간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서 학습습관의 매개효과 13 E.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요인 15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모형 18 B. 연구대상 19 C. 변수정의 및 측정 20 1. 독립변수 20 2. 종속변수 21 3. 매개변수 22 4. 통제변수 24 Ⅳ. 연구결과 25 A. 기초통계 26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6 2. 연구대상자의 주요 변수 특성 29 3. 주요 변수 간 상관분석 30 B. 초중고생의 독서시간과 사교육시간의 학업성취 간 관계에서 학습습관의 매개효과 32 1. 초등학생 32 2. 중학생 37 3. 고등학생 42 Ⅴ. 결론 45 A. 연구결과 요약 45 B. 연구의 함의 49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3 참고문헌 55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73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중고생의 독서시간과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학습습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Reading Time and Private Education Time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learning habits-
dc.creator.othernameAn, Young Mi-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