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28 Download: 0

간호실무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Title
간호실무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Readiness Scale for new graduate nurse
Authors
김정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실무준비도(Practice readiness)는 신입직원이 성공적으로 업무 현장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태도와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정도로 정의되며, 간호실무준비도는 신입간호사가 실무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일할 수 있는 태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간호실무준비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신규간호사의 실무준비와 관련된 선행 문헌을 고찰하였고, 신규간호사, 신규간호사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사, 간호관리자 등 총 1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질적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4점 likert 척도로 구성된 44문항의 간호실무준비도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간호대학 교수, 임상경력이 5년 이상이고 신규간호사 교육 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사, 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총 2회의 내용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 삭제하였다. 수정된 도구는 국문학자의 검토를 통해 어휘와 표현의 정확성을 점검하였으며, 39명의 당해 연도 간호대학 졸업자 및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이해도와 소요시간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도구 검증단계에서는 2019년도에 간호대학 졸업 후 입사 대기 중인 졸업생 또는 입사하여 근무 중인 신규간호사 43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개발된 간호실무준비도 측정도구 38문항에 대한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구성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검증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무작위로 추출한 215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간호실무준비도 측정도구는 ‘임상판단과 간호수행’, ‘전문직 가치와 태도’, ‘환자중심적 태도’, ‘자기조절’, ‘협력적 대인관계’의 5개 요인, 35개 문항으로 도출되었으며 도구의 설명력은 89.14%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사용한 자료를 제외한 215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간호실무준비도 측정도구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였고, 오차 간 상관을 가정한 수정모형이 기준 이상의 SRMR, RMSEA, CFI를 보여 양호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주관적 실무준비도, 주관적 학업성취도 집단에 따른 간호실무준비도 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와 간호실무준비도 측정결과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검증 결과, 주관적 실무준비도와 학업성취도가 51-75%, 76-100%인 집단이 26-50%인 집단보다 간호실무준비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간호실무준비도 점수는 신규간호사 전환충격 측정도구(김은영, 여정희, 이경임, 2017)로 측정한 점수와 음의 상관관계,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을 위한 평가도구(손인순 등, 2008)로 측정한 점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거타당도의 근거가 확보되었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기우법을 사용한 반분신뢰도는 .951이었고 전체 도구의 Cronbach’s α는 .899, 하위요인의 Cronbach’s α는 .831~.849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도구에 대하여 충분/불충분의 준거점수를 설정하였다. 도구의 준거점수는 신규간호사, 신규간호사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사, 간호관리자 등 총 9명의 준거설정자에 의하여 modified Angoff 방법과 Ebel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두 방법을 통해 도출된 충분/불충분의 준거점수는 140점 만점 중 87점이었으며, 조사대상자 430명 중 측정점수가 87점미만으로 나타나 간호실무준비도가 불충분한 대상자는 전체의 13.7%인 59명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충분/불충분의 판정결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간호실무준비도가 충분한 대상자는 입사 전 대상자 191명 중 174명(91.1%), 입사 후 대상자 239명 중 197명(82.4%)으로, 입사 후 대상자의 비율이 더 적었다(χ2=6.75, p=.009). 또한 간호실무준비도가 충분한 대상자는 근무기간이 60-119일인 경우가 75.8%로 60일 미만, 120일 이상인 집단과 비교했을 때 가장 적었다(χ2=4.79, p<.091).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실무준비도 측정도구는 신규간호사의 실무준비 정도를 평가하고 영역별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도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교육기간 연장 등의 교육적 지원을 모색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역량 향상, 환자안전 및 간호의 질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Practice readiness refers to the attitude and characteristics of new employees that would enable them to successfully adapt to the workplac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Nursing practice readiness of new graduate nurse and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scale. In order to develop the scale,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e nursing practice readiness of new graduate nurs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9 nurses, including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d nurses, and nursing manag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44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and two content validity surveys were conducted. The revised scale of 38 items was checked for the correctness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and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on 39 nursing college graduates and new nurses to confirm the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ness of the time required. For scale verification, 430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college graduates and new nurses.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5 items of five factors were derived: "Clinical judgment and nursing performance", "Professional values and attitudes", "Patient-oriented attitude", "Self-regulation", and "Cooper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variance of the five factors was 89.14%.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tness of the scale was tested, and the corrected model assuming the correlation between errors showed good SRMR, RMSEA, and CFI.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subjective work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developed scale and that of the preceding scales. The reliability test showed that the split-half reliability was .951, Cronbach's α of the whole tool was .899, and Cronbach's α of the subfactors was .831-.849. In this study, the satisfied/unsatisfied score was set up for the developed scale. The reference score was derived with the use of the modified Angoff method and the Ebel method by nine judges for new nurses, experienced nurses, and nursing managers. The score for the satisfied/unsatisfied was 87, and among the 430 survey subjects, 59(13.7%) subjects were below the scor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ursing practice readiness of new nurs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atus and duration of employment. Nursing Practice Readiness Scale in this study can evaluate the degree of practice readiness of nurses and provide evidence to identify nurses’ educational needs. Therefore, this tool can be used to seek educational support in the form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extension of the training period, which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new capacity of nurses,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