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형중-
dc.contributor.author이아현-
dc.creator이아현-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27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2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0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0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78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quitting dance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field of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reduc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dance maj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es of quitting dance while fi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ntions and causes of quitting dan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auses of quitting dance had an effect on the retry into dance and the intentions of continuing dance in college admiss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300 students, comprised of 27 males and 273 females, who entered the department of dance in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gave up dance. 300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except 3 questionnaires excluded from a total of 303 questionnaires distributed. For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BMI SPSS Statistics 21 program. This study compared the intentions of quitting dance and the causes of quitting da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table from Hee-jin Kim (2016).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tentions of quitting dance and the causes of quitting dance, because the two studies did not coincide with gender, dance majors and dance careers, except for gend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es of quitting dance, the obviously salient factors among the eight sub-factors were future anxiety, excessive training, loss of confidence, and loss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causes of quitting dance, the majority in the group without the reentry intentions gave up dance for reasons of loss of interest, negative friendships, future anxiety, injustice hierarchy, loss of confidence, and study barri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quitting dance by the willingness to dance in college admissions, the group which did not have a willingness to dance in college admission mostly gave up on dance because of excessive training, loss of interest, and future anxiety. In regards to the impacts of quitting dance on dance retry intentions, in cases of quitting dance due to future anxiety, injustice hierarchy, loss of interes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dance retry intention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these is injustice hierarchy.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ntions to quitting dance and its causes. By identifying the general causes of quitting dance and the individual causes of quitting dance, the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necessity of the dance environment improvement.;본 연구는 무용 중도 포기 원인을 규명하며 무용계 환경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 무용전공자들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줄이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고 연구하게 되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서 무용 중도 포기 원인이 무용 재시도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있는 대학에서 무용학과를 입학하고 현재는 무용을 중도 포기하여 다른 직업을 가지고 있는 30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총 303명의 설문지 중 제외된 3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남자 27명, 여자 273명 최종적으로 300명의 설문지를 자료 처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MI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 t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경적 특성에 따른 무용 중도 포기 원인을 무용 중도 포기 의도 선행연구 표와 비교하였다. 성별, 무용전공, 무용 경력 중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제외한 나머지는 일치하지 않아 무용 중도 포기 의도와 무용 중도 포기 원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중도 포기 원인을 조사한 결과 주된 무용 중도 포기 원인은 장래 불안, 과도훈련, 자신감 상실, 흥미 상실요인들로 밝혀졌다. 재시도의사에 따른 무용 중도 포기 원인 차이 분석결과 재시도의사가 없는 집단은 흥미 상실, 부정적 교우관계, 장래 불안, 부당위계, 자신감 상실, 학업 퇴보의 이유로 무용을 중도 포기한 경우가 많았다. 대학입학 시 무용 지속 의사에 따른 중도 포기 원인 차이에서는 무용 지속 의사가 없었던 집단은 과도한 훈련, 흥미 상실, 장래 불안의 이유로 무용을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높았다. 무용 중도 포기 원인이 무용 재시도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무용 재시도 의사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장래 불안, 부당한 위계구조, 흥미 상실 요인으로 이고, 아새 요인이 높을수록 무용 재시도의사는 낮게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부당한 위계구조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 중도 포기 의도와 원인 간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제 중도포기자들의 주된 무용 중도 포기 원인을 밝힘으로써 무용계 환경개선 방안의 방향을 제시하고 그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가설 4 D. 연구의 제한점 5 E.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무용 8 B. 중도포기 10 C. 의도와 실제 원인 간의 관계 13 D. 무용 지속 14 E. 스트레스 16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조사도구 21 C. 조사절차 26 D. 자료분석 27 Ⅳ. 연구결과 28 A. 배경적 특성에 따른 무용 중도 원인 비교 28 B. 무용 중도 포기 원인 차이 31 C. 무용 재시도의사에 따른 무용중도포기 원인 차이 32 D. 대학 입학시 무용 지속 의사에 따른 무용중도포기 원인 차이 33 E. 무용 중도포기 원인이 무용 재시도의사에 미치는 영향 35 Ⅴ. 논의 36 Ⅵ. 결론 및 제언 39 A. 결론 39 B. 제언 41 참고문헌 42 부록 설문지 48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9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전공자들의 무용 중도 포기 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ause of Dance Major Students quitting dance-
dc.creator.othernameLee, A Hyun-
dc.format.pageⅤ,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