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흥보가 중‘비단타령’비교 연구

Title
흥보가 중‘비단타령’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itive study of Heungbo-ga, ‘Bidan-Taryeong’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sound of Gang Doguen, Park Rokjoo, Park Dongjin and Park Chowol
Authors
전하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고에서는 <흥보가> 중 ‘비단타령’을 동편제와 서편제로 나누어 연구하였고, 비교 대상으로 삼은 동편제의 강도근, 박록주와 서편제의 박동진, 박초월의 소리를 중심으로 사설과 음악적 특징을 비교연구 하였다. 사설은 공통사설을 위주로 비교하였으며, 음악적 특징은 크게 각 명창의 음악적 특징, 시김새 특징, 동일 사설의 음악적 특징, 붙임새로 나누어 비교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을 살펴본 결과 강도근, 박록주, 박동진, 박초월의 ‘비단타령’에는 총 40개의 유형이 나타났다. 그 중, 네 창자의 공통사설은 20.0%로 총 8개 나타났다. 또한, 강도근과 박록주가 공통사설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는 동편제 창자의 공통사설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서편제 창자만의 공통사설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각 명창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비단타령’의 출현음은 박록주와 박동진에서 총 12음이 나타났으며, 음역은 박록주와 박동진에서 넓게 나타났다. 장단 구성은 박동진이 중중모리와 중모리 장단을 사용하여 가장 확장된 장단을 사용하였다. 선법은 강도근이 D청 계면조로 불렀으며, 박록주가 C청 계면조와 E♭청 우조로 불렀다. 또한, 박동진이 D청 계면조와 F청 우조로 불렀으며, 박초월이 F청 계면조와 A♭청 우조로 불러 박록주, 박동진, 박초월에서 선법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시김새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강도근, 박록주, 박동진, 박초월의 시김새는 1음절 3음부터 1음절 11음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 1음절 3음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박동진은 1음절 3음 외에 다른 시김새가 나타나지 않아 1음절 1음으로 사설을 전달하는데에 치중하였다. 또한, 1음절 다(多)음은 강도근에서 최대 8음이 1회 나타났으며, 박록주는 최대 7음이 2회 나타났다. 또한, 박초월은 최대 11음이 1회 나타나 박초월이 가장 화려한 시김새를 사용하였다. 넷째, 동일 사설의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강도근, 박록주, 박동진, 박초월이 부른 ‘비단타령’의 동일 사설의 선율은 모두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네 창자가 선율을 강조하거나 음의 폭 및 선율의 변화를 각자 다르게 표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창자 개개인의 서로 다른 음악적 표현 방식과 각 창자의 서로 다른 사설의 해석 차이로 선율을 통한 단어의 강조가 다르며 사설에서 나타나는 상황을 모두 다르게 표현했기 때문이다. 다섯째, 붙임새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비단타령’은 대마디대장단을 주로 사용하였다. 강도근과 박동진은 대마디 대장단인 3박형, 2박형, 2·3박형, 3·2박형의 모든 유형과 엇붙임을 사용하여 다양한 붙임새가 나타났다. 강도근은 3박형과 2·3박형을 주로 사용하여 긴장과 이완을 표현하였다. 박록주는 3박형 위주의 대마디대장단의 전형적인 붙임을 보였다. 박동진은 전체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붙임새를 고루 사용하여 자유롭게 사설을 배치하였다. 박초월은 3·2박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을 주로 사용하여 장단의 맺음을 사설배치를 통해 안정적인 느낌을 주었다. 본고에서는 <흥보가> 중 ‘비단타령’을 강도근, 박록주, 박동진, 박초월 명창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사설·선율·붙임새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적인 표현을 통해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강도근, 박록주, 박동진, 박초월의 ‘비단타령’이 판소리의 계승 및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In this piece of writing called Heungbo-ga, ‘Bidan-Taryeong’ were studied by dividing into Dongpyeonje and Seopyeonje and it mainly focused on the lyric and the musical feature by comparing Gang Doguen and Park Rokjoo of Dongpyeonje and Park Dongjin and Park Chowol of Seopyeonje. The lyric was mainly compared on the basis of common lyric and the musical feature was compared individually on the basis of musical feature of an each greatest Pansori singer, musical ornament, common lyric, lyric placement, and the results of musical feature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40 types are shown from Gang Doguen, Park Rokjoo, Park Dongjin, Park Chowol’s ‘Bidan-Taryeong’ in the lyric. The four singers have shared 8 common lyrics with 20 percent among the total of 40 types. Furthermore, Gang Doguen and Park Rokjoo used common lyrics most often. The common lyrics of Dongpyeonje have been represented the most number times, whilst those of Seopyeonje have not been represented. Second, observation of each greatest singer has led to the following report. The starting notes of ‘Bidan-Taryeong’ has appeared total of 12 times from lyrics of Park Rokjoo and Park Dongjin, and range has appeared to be wide. Park Dongjin has used the most expanded rhythmic cycle, by using Jungjungmori and Jungmori-Jangdan. As for the scale, Gang Doguen has sung in D tone Gyemyoun-jo, while Park Rokjoo has sung in C tone Gyemyoun-jo and E-flat tone Woo-jo. Moreover, Park Dongjin singing in D tone Gyemyoun-jo and F tone Woo-jo, Park Chowol in F tone Gyemyoun-jo and A-flat Woo-jo have led to a change in scale that has been observed from Park Rokjoo, Park Dongjin and Park Chowol. Third, characteristics of musical ornament are known as the following. Musical ornament of Gang Doguen, Park Rokjoo, Park Dongjin, and Park Chowol has appeared diversely from a range of first syllable 3rd tone to first syllable 11th tone. And of that range, first syllable third tone has been observed the most. Park Dongjin did not use tones other than first syllable 3rd tone, thus has put more weight on delivering an article using first syllable 1st tone. Also, first syllable multi-tone has appeared maximum eight tones once from Gang Doguen and seven tones twice from Park Rokjoo. Maximum 11 tones have appeared from Park Chowol. Fourth, features of common lyrics are known as the follows. It is shown that common lyrics in ‘Bidan-Taryeong’ sung by Gang Doguen, Park Rokjoo, Park Dongjin, Park Chowol have different melodies. From this, we could see that how the four greatest singers emphasized melodies or expressed the transition of melodies differently. This is because each of singer has their own different musical expressions and interpretation of the lyrics which differs from the emphasis of word through melody. Fifth,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review lyrics placement. ‘Bidan-Taryeong’ is mainly used rhythm of large syllable. Gang Doguen and Park Dongjin made using mixed type beats such as Three times, Two times, Two-three times, Three-two times and using offbeat for rhythm of syllable various variation. Gang Doguen used Three times and Two-three times for expressing the tension and relaxation. Park Rokjoo has largely used three type beats which is typical rhythm of large syllable. Park Dongjin has used different types of lyric placements, and the lyrics were freely arranged in his music. For delivering better sense of stability to her audiences in her music, Park Chowol used different types of rhythm of large syllable except three-two type beats. In this piece of writing called Heungbo-ga,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whole fl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lyrics, melodies, and lyric placements and common express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from ‘Bidan-Taryeong’ which was sung by Gang Doguen, Park Rokjoo, Park Dongjin, Park Chowol. As a result of studies, I hope that Gang Doguen, Park Rokjoo, Park Dongjin, Park Chowol’s ‘Bidan-Taryeong’ will help to contribute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Pansor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