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

Title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
Other Titles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fficacy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Authors
유나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art therapy has on the self-efficacy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through single case study. The research’s main questions are thu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fficacy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on the child’s self-efficacy?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fficacy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on the child’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us? Third, what are the self-efficacy responses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to th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fficacy? In order to evaluate the above questions, an eight years-old boy diagnosed with dyslexia participated in the art therapies one or two days per week, fifteen sessions in total from December 2018 to February 2019. The art therapy program’s focus was in improving the child’s self-efficacy, with systematic levels designed in accordance to Bandura’s theories on determining efficacy judgments, which embrace enactive mastery experiences, vicar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physiological and affective states. The researcher used self-efficacy scale to check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on the participant, and utilized behavioral observation standards to measure the behavioral changes in the child’s self-efficacy for every art therapy session. The researcher also used DAS test as a research tool to monitor the participant’s status of emotion and psychology, often related to self-efficacy. Moreover,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rt therapy focusing o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verbal and non-verbal, and other behavioral reactions of the child in order to interpret his meaningful reactions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The collection of the results for analysis included verbatim records, sessional journals, face-to-face talking records, written observations of the participant’s reactions, and artwork images. The in-depth analysis involved repetition of reading, organizing, and categorizing the meaningful sources within the collection of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the analytic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to improve self-efficacy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self-efficacy scale of the child with dyslexia.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participant’s status before and after the self-efficacy scale te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ree components of self-efficacy scale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ocesses of self-efficacy. Second, the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self-efficacy behaviors of the participant in every s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improved participant’s self-efficacy behaviors with three components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ocesses of self-efficacy in a continuous and positive manner. Third, the art therapy to improve self-efficacy had positive outcomes to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the child with dyslexia.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participant’s status before and after DAS te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wo components of DAS test such as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Finally, the researcher categorized meaningful reactions from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art therapy sessions conducted with three components of self-efficacy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ocesses of self-efficacy. The researcher confirmed positive responses and changes made in the child’s self-efficacy by analyzing meaningful responses in the art therapy sessions for improving self-efficacy. Consequently, the art therapy proved its value to bring positive changes toward the emotion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expressions of a dyslexic child for better self-efficacy. This research brought attention to the value of psychological approaches in art therapy for dyslexic child, and built a ground for another valuable art therapy program to help such case in the future.;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사례 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정서·심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반응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난독증을 진단받은 만 8세 남아를 대상으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주 1~2회 간격으로 총 15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목표로 두었으며, 단계별 목표는 반두라 이론에 따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네 가지 요인인 성공 경험, 대리적 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안정형성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미술치료가 연구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 척도검사를 사용하였고, 미술치료 회기별 자기효능감 행동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행동관찰 척도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관계가 있는 정서 및 심리상태를 살펴보고자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유의미한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미술치료 과정에서 보인 정서·심리,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그리고 행동의 반응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축어록, 회기별 일지, 면담 내용, 연구 참여자의 반응에 대한 관찰사항 그리고 미술작품 이미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보았으며 유의미한 내용을 정리하여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는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척도상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의 사전·사후를 비교해 본 결과,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의 세 가지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 모두를 포함한 사후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의 회기별 자기효능감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술치료 회기별 자기효능감 행동관찰 척도의 분석 결과, 미술치료의 초기에 비해 후기단계로 갈수록 연구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행동 변화가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기효능감 행동 관찰지의 세 가지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 모두에서도 지속해서 상승하는 변화 모습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는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정서 및 심리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DAS의 사전·사후를 비교해본 결과, DAS의 두 가지 하위영역인 정서 내용, 자아상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따라 유의미한 반응 내용을 범주화할 수 있었다. 유의미한 반응분석을 통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반응과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리·정서 및 행동표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적 접근의 미술치료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 단계의 포문을 열었으며, 향후 난독증이 있는 아동에게 충분히 가치 있게 적용될 수 있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기초 연구의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