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to Deal with Grief in a Female Cancer Patient with Physical Loss
Authors
안미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of experience a female cancer patient has and what the experience means to her in the art therapy process to deal with the grief of a female cancer patient who has experienced physical los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plore the meaning of what the subject experienced.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diagnosed with stage 0 cervical cancer in 2008 and underwent a hysterectomy in 2016. She was also diagnosed with stage 2 breast cancer in 2018 and underwent right breast resection in 2019. At the time she was selected as a subject, she was a 43-year-old married woman who was undergoing chemotherapy. In this case, sixteen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or three times a week (9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2 to October 28, 2019. The sessions were carried out by the researcher in person, and the subject was directly observed and recorded by the researcher during the sessions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study of the case. In addition, with the consent of the subject, the video recordings taken during each session and the word-for-word copy of the recordings were collected. To obtain in-depth and diverse data from the original data, the subject's positive and negative verbal expressions and non-verbal behaviors were observed and analyzed and a document produced during the sessions. Based on the analysis, 6 subjects and 17 sub-topics were identified. In this case of art therapy, there were several categories of experiences including , , , , and .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a female cancer patient in art therapy to deal with the grief of female cancer patient who experienced physical los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rt activities and artwork, the subject recognized and re-established the negative emotions that had been suppressed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she realized that she was experiencing many feelings of loss and could accept them. Second, through art activities, the subject classified her emotions caused by physical loss. Then, she discarded the unnecessary negative emotions, and replaced the ambivalent emotions with positive emotions, thus solving the sense of loss. Also, the emotions the subject transformed into positive emotions worked as a driving force in her life. Third, through the art activities, the subject faced her external and internal appearance as well as the reality changed as a result of the side effects of surgery and chemotherapy. As a result, she became increasingly adapted to the environment that was altered by the loss. Fourth, the subject was able to gradually shift the focus of life for herself by expressing what symbolizes her or her favorite things through artworks. She could also embrace the present situation and dreamed of a positive future of her own, and that way, she could build her new self. In summary, the female cancer patient fully expressed her feelings she felt over the loss during art therapy to address the grief of female cancer patient who had lost her breast and uterus, symbolic organs for her. In doing so, she figured out what the sophisticated sense of loss is all about. The subject faced and embraced the reality of loss as she overcame the sense of loss by addressing the unnecessary sense of loss and a necessary sense of loss while living after that loss. She also had the experience of re-defining her self to live a positive future through a sufficient grief process for the loss. Thus, art therapy for grief for female cancer patient who had experienced physical loss is helpful for the grief process exploring and expressing her emotions after loss and improving herself eventually.;본 연구는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여성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하는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08년에 자궁경부암 0기 진단 후 2016년에 자궁적출술을 받았으며, 2018년에 유방암 2기 진단 후 2019년에 우측 유방 부분절제술을 받아 사례선정 당시 항함화학요법 치료 과정 중에 있는 만 43세 기혼여성이다. 본 사례는 2019년 9월 2일부터 10월 28일까지 주 2회에서 3회, 90분간 총 16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치료사로서 본 사례를 직접 진행하며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및 연구를 위하여 회기 내 연구 참여자를 직접 관찰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동의 하에 매회기 촬영한 비디오 녹화본과 녹화본을 전사한 축어록을 원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심층적이고 다양하게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원자료를 통해 회기 내에서 연구 참여자의 긍정적, 부정적 언어표현과 비언어적 행동 관찰을 분석하여 문서로 전사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의 범주는 <암 환자인 현재 내 모습에 속상한 마음이 듦>, <오랜 시간 억압되어온 모호한 상실감과 마주할 용기가 없음>, <미술치료 안에서 막연했던 상실감의 실체를 알아차림>, <미술 작업을 통해 상실에 대한 감정을 마주하여 수용함>, <이제는 다른 사람이 아닌 나에게 초점을 맞추며, 잃어버린 내 모습들을 되찾고자 함>, <현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미래를 준비해 나갈 힘이 생김>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에서 여성이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과 작업을 통해 오랜 시간 억압되어져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웠던 부정적 감정들을 재정립함으로써 복합적인 상실의 감정들을 경험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으며, 이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을 통해 신체적 상실에 따른 감정들을 분류하였는데, 불필요한 부정적인 감정은 버리며, 양가감정이 드는 감정들은 긍정적인 감정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상실에 대한 감정을 해소할 수 있었다. 또한, 긍정적인 의미로 재구성한 감정들은 참여자가 살아가는 데 있어서 원동력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을 통해 수술 및 항암치료의 부작용으로 인해 변해 버린 자신의 외적, 내적인 모습과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실로 인해 이전과 다른 변화된 환경에 점차 적응력을 갖는 모습을 갖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작품을 통해 자신에 대한 상징물,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해 표현함으로써 점차 삶의 초점이 자신으로 옮겨졌으며, 현재의 상황을 수용하며 긍정적인 미래 모습을 꿈꾸게 되면서 새로운 자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여성암으로 인해 여성에게 상징적인 기관인 유방과 자궁의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여성암 환자는 상실 후 감정들을 충분히 표현하였으며, 신체적 상실로 인해 경험하게 되는 복합적인 상실감의 실체를 정립하였다. 또한, 상실 이후의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불필요한 상실감과 필요한 상실감을 재구성함으로써 상실감의 해소를 경험하며 상실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면하고 수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이러한 상실에 대한 충분한 애도 과정을 통해 미래를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자아를 재정립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이에 따라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는 상실 이후의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하여 자아를 개선할 수 있는 애도 과정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