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수준에 따른 Draw A Story 검사 반응특성

Title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수준에 따른 Draw A Story 검사 반응특성
Other Titles
Draw A Story(DAS)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Adolescents
Authors
손우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수준에 따른 이야기 그림 검사(DAS)의반응특성 차이와 상관을 분석하고, DAS가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를 이해하고 평가 하는데 활용 가능한 도구인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1개의 중학교, 1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1,2,3학년과 고등학생 1,2,3학년, 총 14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와 DAS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검사 내용을 불성실하게 응답한 1부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적으로 146부를 연구 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 26.0 Ver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내재화 수준에 따른 집단의 분류는 오경자 ,홍강의, 이혜련, 하은혜(2007)가 제안한 60T(85%tile)을 절단점으로 사용하여 내재화 총점의 점수가 60T(85%tile)이상을 상위집단으로 그 미만을 하위집단 분류하여, 집단 간 DAS반응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내재화문제의 총점 및 내재화 하위 척도인 불안/우울, 위축, 신체증상과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했으며, DAS 자극 그림 선택에 따른 내재화 문제 및 내재화 문제 하위 척도 와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 내용과 같다. 첫 번째,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수준에 따라 분류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사이에 DAS 정서내용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DAS의 자아상은 남학생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고등학생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 DAS의 정서내용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을 뿐, 중학생의 DAS의 정서내용과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자아상은 상위집단 및 하위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내재화 문제 총점과 DAS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내재화 문제의 하위 척도인 불안/우울, 위축 또한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체증상은 DAS 정서내용 및 자아상과 상관이 없었다. 셋째, DAS 자극 그림 선택에 따른 내재화 문제 및 내재화 문제 하위 척도와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고양이, 뱀, 공룡, 칼을 선택한 집단은 비 선택 집단보다 더 부정적인 정서내용을 보였으며, 화산의 경우 선택 집단이 비 선택 집단보다 더 부정적인 정서내용과 자아상을 나타냈다. 면사포 쓴 여인 및 중성적 아이를 선택했던 집단은 선택하지 않은 집단과 비교해 더욱 긍정적인 정서내용 및 자아상을 보였으며, 나무를 선택한 집단이 비 선택 집단과 비교해 더 긍정적인 정서내용을 나타냈으며, 더 높은 위축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DAS가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를 반영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고, 투사적 그림검사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나아가 DAS가 청소년의 숨겨진 내재화 문제의 조기 발견하고 청소년의 심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가능성을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in the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in the Draw A Story (DA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internalization of adolescents, and to verify if DAS is a viable tool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internalization problems of adolescents. In order to do so, DAS and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147 students from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ird grade of high school, who attend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Excluding one copy that did not provide sincere response, 146 copi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for the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26.0 Ver statistics program. Referencing the study of Oh et al (2007), 60T (85%tile) was set as a cut-off point for the classification of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and the adolescents above the cut-off point were classified into a ‘high’ subgroup and vice versa.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were performed. In addi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internalization score, the subfactors of internalization, such as anxious/depressed, withdrawn, and somatic complaints, and th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The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otional contents and the self-image in DAS in relation to the subfactors of the internalization and selection of DAS stimulus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problem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 in the DAS emotional content between the lower group and higher group was significant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DAS self-image was only significant among the male students, but not the female student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S emotional content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s, but not in the self-image. For middle school students, neither the emotional content or the self-image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Second, the total internalization problem score and DAS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rom the subfactors of the internalization problem, anxious/depressed and withdraw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AS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On the other hand, somatic complaints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with DAS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Third, the internalization problem by the choice of DAS stimulation drawings, the subfactors of the internalization problem, and DAS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xample, the group that chose cat, snake, dinosaur, and knife showed more negative emotions than the group that did not select those images. In the case of volcano, the group that selected the image of a volcano showed more negative emotions and self-image than the group that did not select the image. The group that chose woman in veil and an androgynous child showed more positive emotions and self-image compared to those did not. People that chose tree showed more positive emotions, as well as higher level of withdrawn, than those who did no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AS can reflect the internalization problem of adolescents and can be used as a projective pictorial inspection tool.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DAS will help detect internalization problems of adolescents at an early stage and provide the basic data about psychological information of 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