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무용 수행능력 및 수행기대에 대한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의 효과

Title
무용 수행능력 및 수행기대에 대한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의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Expectation
Authors
설자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피드백 유형(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 일반적 자기통제 피드백)이 무용수행능력과 수행기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효율적인 무용동작학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실험은 한국무용 사전경험이 없는 초보자들로 여중생 30명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피드백 유형에 따라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 집단,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 동반집단, 일반적 자기통제 피드백집단으로 세 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학습과제는 한국무용으로 설정하였고 실험절차는 습득단계와 지연파지단계 총 2번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그 목적에 따라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습득단계에서 분단과 피드백 형태에 따른 주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연파지단계에서도 분단과 피드백 형태의 주효과 그리고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집단이 모든 단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습득단계와 지연파지단계에서 연결성, 표현성, 리듬감, 정확성 모든 평가요소들의 점수에서 분단의 주효과는 유의하게 차이가 일어났으며, 분단과 피드백 형태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평가요소들 마다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통제 피드백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기대에서는 유능감 기대, 학습기대, 미래기대 요인 중 학습기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기대에서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집단과 자기통제 피드백집단은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였으나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 동반집단은 수치가 감소하였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초보자들의 무용동작 수행능력들이 습득단계와 지연파지단계 모두 각 집단의 향상이 있었으나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의 유형이 학습을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이에 비해 자기통제 피드백은 그 지속효과가 미미하였다. 초보자들에게는 피드백의 빈도만 규정하고 피드백을 받는 시기는 학습자들 스스로가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 초반 단계에서 학습능력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type of feedback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eneral self-control feedback) affects a dance ability of performance and expectation, and to provide a stepping stone for efficient dance practice learning. In this experiment, 30 female middle-school students who have no prior experienc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re involved as subjects. According to the type of feedback, each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yoked group, and general self-control feedback group. The study assignment was set as Korean dance and test was divided into acquisition stage and natural retention stage after one week. For data analysis purposes,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and for their purposes, a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First, the main effect of the division in the acquisition stage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ciprocal effect related to the division and the types of feedback. Furthermor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vision, the main effect of the types of feedback and reciprocal in natural retention stage, and a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 in all stages. Second, the main effect of the division differed significantly in scores of all factors in the assessment of connectivity, expressiveness, rhythm and accuracy in the acquisition stage and natural retention stage, and showed differences in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division and the types of feedback. The assessment factors showed a high degree of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self-control feedback group. Third, among the factors expected to be functional, learning, and future expectat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expectation only. In learning expectations, the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 and self-control feedback group increased later than in the dictionary, but the figures of the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yoked group decreased. In shor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showed that untrained dancers ' abilities to perform their dance moves were improved in each group, the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learning, whereas the self-control feedback was not sustainable. For beginners, the frequency of feedback was defined only and the timing of receiving feedback was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that learners themselves could control. This suggests that it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promote learning skills in the early stages of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