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통합예술교육 참여 유무에 따른 창의성, 행복감, 사회성의 차이

Title
통합예술교육 참여 유무에 따른 창의성, 행복감, 사회성의 차이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on Children's Creativity, Happiness, and Sociality : Focusing on Yesulo Plus Class for the Thi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임효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교육 참여(예술로 플러스수업) 유무에 따라 아동의 창의성·행복감·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예술로 플러스수업을 참여하고 있는 2개의 초등학교와 참여경험이 없는 1개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총 3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40부의 자료 중 불성실하게 기입된 8부는 제외하고 총 33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술교육 참여경험을 한 집단은 창의성과 행복감이 높고, 사회성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통합예술교육을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 남학생은 창의성과 행복감이 높고 여학생은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통합예술교육 참여 시간에 따른 창의성, 행복감, 사회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통합예술교육을 경험한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의 창의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수요가 확산되고 학교의 공교육에서의 예술교육정책이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예술로 플러스수업처럼 정규교과에 예술교육을 연계하여 아이들이 모두 동등하게 다양한 예술 장르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가 제공된다면 아이들의 창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학교 정규교과와 통합예술교육이 연계된 현장적용의 사례로서 차후 연구에서는 통합예술교육 효과성에 관한 의미 있는 자료로 기여 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experiences (Yesulo Plus Class) on children's creativity, happiness and soci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40 students atten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wo schools provided Yesulo Plus Class and one school did not provide the Class. Of 340 colle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33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8 cases with unsatisfactory responses.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23.0 and Amos 18.0 statistical programs were performed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p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higher creativity and happines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ciality. Second, when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by gender, male student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creativity and happiness, while female student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creativity.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reativity, happiness, and socialit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participation. Taken together,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art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hancing creativity in that the students with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creativity. However,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ncluding short duration of study participation and the study subjects restricted to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utur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various subjects is expected to benefit students of different ages who involve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in regular school hou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