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절 시제 습득 연구

Title
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절 시제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 Tense by Italian Learners of Korean
Authors
Michelon, Elisabetta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talian learners of Korean, according to their language proficiency, acquire the relative clause (kwankyeykwanhyengcel e yeonkyeycel) tense in same tense and different tense contexts with the matrix sentence.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Korean relative clause tense acquisition is because Korean, unlike Italian language, has a different way to express both the relative clause and the tenses in the relative clause, making their acquisition more difficult. Chapter I sets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this study. Moreover, since there isn’t any study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 tense, this chapter takes into considerati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Korean learners’ error analysis, textbooks analysis and teaching methods of adnominal endings. Furthermore, this chapter explain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Chapter II serves as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It examines tense in relative clauses from a morphological, syntactical and semantical point of view both in Korean and Italian, stating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both languages. Chapter III consists of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Acceptability Judgement Task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how Italian learners of Korean acquire relative clause tenses in a same tense or different tenses contexts with the matrix sentence, according to their language proficiency. A total of 66 sentences were used as experimental ite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30 Italian learners of Korean, divided in two groups, each consisting of 15 learners, and 15 Korean native speakers. Chapter IV describ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relative clause and matrix sentence have the same tense, both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showed a similar degree of acceptance for the task’s sentences. However, when relative clause and matrix sentence presented different tenses, Korean learners, unlike native speakers showed different degrees of acceptance depending on the two tenses involved in the sente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tenses between relative clause and matrix sentences do influence the learner acceptance of relative clause tense. Chapter V concl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have not been any studies about the acquisition of Korean relative clause tense in a same tense or different tenses contexts with the matrix sentence; furthermore, it is one of the first studies describing the difficulties of Italian learners in acquiring Korean, so its significance and importance are essential. Lastly, since this research topic has still not been largely discussed both in Korean textbooks and in teaching methods, I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more discussions on the topic, ranging from acquisition to teaching methods and Korean textbooks developmen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상위문과 관계관형절, 또한 상위문과 연계절의 시제가 일치‧불일치하는 맥락에 따라 이탈리아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들이 관형절 시제 형태소는 어떻게 습득해 나가는지 숙달도별로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관형절 시제 형태소에 주목한 이유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는 관형절과 이의 시제 실현이 상이하여 제2언어 학습자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문법 범주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그리고 제2언어로서의 상위문과 관형절의 시제가 일치‧불일치하는 맥락에 따라 관형절의 시제 형태소 습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다룬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제2언어로서의 관형사형 어미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및 교재 분석과 교육 방안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상위문과 관형절의 시제 일치‧불일치에 따라 한국어 모어화자와 이탈리아인 중‧고급 학습자의 관형절 시제 수용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상위문과 관계관형절의 시제 일치‧불일치에 따라 한국어 모어화자와 이탈리아인 중‧고급 학습자 간 관계관형절 시제 수용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상위문과 연계절의 시제 일치‧불일치에 따라 한국어 모어화자와 이탈리아인 중‧고급 학습자 간 연계절 시제 수용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II장에서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관형절 시제 형태소와 시제 해석, 그리고 관형절 실현을 함께 비교‧대조하여 그 차이점과 형태‧통사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상위문과 관형절의 시제 일치‧불일치를 조건으로 하여 총 66개의 실험 문항이 구성된 실험 도구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 수용성 판단 과제가 활용되었다. 모어화자 15명과 이탈리아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IV장에서는 실험을 통해 연구 문제별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실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1은 관형절 시제 형태소 습득에 주목한 것으로 그 중에서 연구 문제 1-1은 상위문과 관계관형절의 시제가 일치‧불일치하는 맥락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이탈리아인 중‧고급 학습자의 관형절 시제 인식은 숙달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함이다. 시제가 일치하는 경우에 예상한 바와 같이 학습자들의 관형절 시제 인식은 한국어 모어화자와 유사하였다. 한편, 시제가 불일치하는 경우에 세 집단의 수용성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우선, 시제가 불일치하는 문장에서 학습자들의 수용성은 시제 일치 문장 수용성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위문이 현재, 관계관형절이 과거였을 때와 상위문이 미래, 관계관형절이 과거였을 때 고급 학습자와 모어화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상위문이 과거, 관계관형절이 현재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위문이 현재, 관계관형절이 미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숙달도와 무관하게 학습자들이 모어화자만큼 습득하지 못하였다는 결과를 보였다. 연구 문제 1-2는 상위문과 연계절의 시제가 일치‧불일치하는 맥락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이탈리아인 중‧고급 학습자의 관형절 시제 인식은 숙달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함이다. 시제가 일치하는 맥락 가운데 상위문과 연계절의 시제가 미래인 문장에서 고급 학습자와 모어화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현저하였다. 한편, 시제가 불일치하는 맥락 가운데 상위문이 현재, 연계절이 과거였을 때와 상위문이 미래, 연계절이 과거였을 때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그리고 중급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화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는 중급 학습자가 나머지 두 집단과 다른 사용 양상을 보여 숙달도에 따른 편차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상위문과 관형절의 시제가 일치‧불일치하는 맥락에 관형절 시제 형태소 습득에 대해 주목한 연구로 선행 연구에서 제2언어로서의 관형사형 어미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및 교재 분석과 교육 방안에 한정되어 있던 것은 시제 형태소의 언어맥락적 변인을 조건으로 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맥락에 관형절 시제 형태소의 교재 제시와 교육이 아직 미미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하면 관형절 시제 형태소에 관한 효과적인 교수가 이루어지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L1 이탈리아어 화자 대상의 제2언어 습득 연구는 매우 미미하여 본 연구 대상에 관한 의연을 넓히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