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느슨한 풍경을 통한 ‘안과 밖’ 의 사유

Title
느슨한 풍경을 통한 ‘안과 밖’ 의 사유
Other Titles
Contemplation on ‘Inside and Out’ through relaxed landscapes : Focused on the works of Hyeonju Seo
Authors
서현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순옥
Abstract
본인은 외면(밖)의 세계를 바라보며 서서히 공간을 지각하게 되는 것을 작업으로 이어갔으며 그 과정에서 내면(안)까지도 성찰하게 되었다. 즉 지각된 공간에서 나아가 확장된 내면세계의 사유를 회화로 탐구한 것이 본인의 작업의 핵심이며 그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것이 본 논문이다. 느슨한 풍경이란 본인은 대상을 바라볼 때 ‘머무름’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데 그러한 본인의 태도를 함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술사와 철학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본인 작품의 형식적인 부분과 내용적인 면을 고찰하고 있다. 본론의 첫 번째 장 ‘응축된 시간’에서는 여유 없이 살아가는 우리를 반추하며 충만한 시간을 되찾기 위해 ‘안과 밖’이라는 응축된 시공간에 대한 경험이 중요함을 밝힌다. ‘안과 밖’에 대한 사유는 일상에서 자주 접한 펜스 내·외부, 차고 실내·외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탄생했다. 내적으로 충만한 시간이 가지는 현대적 의미와 이를 성취하기 위해 ‘연속성’과 ‘지속’을 강조한 하이데거를 참고하였다. 현상학자 메를로-퐁티의 ‘지각’ 개념을 참고하여 본인이 바라본 공간이 고정적인 닫힌 공간이 아니라, 본인과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응축된 공간일 수 있음을 심화시켜 이해시킬 수 있었다. 본인은 안과 밖이 회화적으로 풀어야 할 주제가 된 후에 이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고민했다. 이에 근원적인 것을 포착하려고 했던 세잔과 반복적 그리기를 통하여 ‘무한’개념을 제시한 이우환에게서 화가로서 지녀야 하는 덕목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다. 그들은 현상보다는 본질을 탐구하고자 스스로에게 단호하고 냉철해지기를 요구하였고 끊임없는 반복이라는 수행을 촉구했다. 이러한 실천적 태도는 ‘안과 밖’이라는 사유에서 무한한 내면을 찾는 데 본인의 기초였다고 할 수 있다. 본론의 두 번째 장 ‘내면의 공간’에는 본인의 작업이 외부에서 시작하여 내면으로 향한다는 본인의 작품관이 담겨있다. 내면으로 향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서 ‘지속의 시간’에 대해 서술하였다. 지속의 힘을 환기한 프루스트에서 공감각적 체험을 바탕으로 작업한 본인과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었다. 이렇게 체험된 공감각적 체험은 내면의 공간에서 마주할 수 있는 궁극의 경험이자 ‘숭고’란 미적 개념·체험으로 이어졌다. 말레비치가 주장했던 순수 감성으로서의 정신성을 고찰하며 본인의 회화에서도 감상자를 내면으로 유도하는 힘이 있길 바랐다. 이와 관련하여 리오타르가 말하는 ‘숭고’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며 본인이 작업에 담으려 하는 초월적인 내면세계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탐색한다. 더불어 어떠한 숭고함의 울림을 지닌 작가 애드 라인하르트의 ‘검은색 회화’를 살펴본다. 그의 작품에서 검은 색채가 가지는 가능성에는 초월적인 내면세계를 담으려는 본인의 작품 의도와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론의 세 번째 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면밀하게 분석할 것이다. 그간의 사유가 본인의 작품에서 어떻게 적용되며 실현되고 있는지 밀도있게 서술할 것이다.‘안과 밖의 사유’에서는 ‘안과 밖’이라는 것이 이분법적인 분리의 상태가 아니라, 내밀한 공간으로 끊임없이 상호 침투 할 수 있는 공간임을 드러내는데 집중한다.‘여기와 저기 사이에서’는 무한한 통로로서의 공간을 포착하여 ‘안과 밖의 사유’에 잠재된 열린 세계를‘밤’이 가지는 시공간적 정서를 활용하여 작품에 옮긴 과정을 담았다. 본인의 작업은 느린 시간의 힘을 환기하며 외면(밖)으로부터 출발하여 점차 내면(안)으로 집중해가는 흐름으로 설명할 수 있다. ;I have continued to work on gradually perceiving a space by looking at the exterior(outside) world, while simultaneously reflecting the interior(inside) world. My works focus on the thoughts from the extended inner world that goes beyond the perceived space, ‘The relaxed landscape’ or ‘staying’,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my works, refers to such aspect that requires a long period of time for perceiving an object. To explore the format and contents of my works, this study reviewed the relevant discussions from art history and philosophy. The first chapter of the study, ‘Condensed Time’, reflected our restless existence, in which I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condensed time and space of ‘Inside and Outside’. My contemplation on ‘Inside and Outside’ began with persistent observations of everyday outdoor objects such as the inside and outside of fences or garages. To explore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internally fulfilling time and the efforts to achieve them, the study reviewed the theories by Heidegger who emphasized ‘continuity’ and ‘persistence’. Also, using the idea of ‘perception’ by Merleau-Ponty, the study provided in-depth understandings of how my perceptions of space is associated with not a fixed or closed place but a condensed place where anyone can interact with their worlds. After setting the artistic theme of inside and outside, I have been pondered over how to approach them through paintings. This led me to think about the virtues required for painters, as suggested by Lee Ufan in his idea of ‘infinity’, and as presented by Cézanne who attempted to capture the essence in his repeated drawings. In attempt to explore the very essence of objects beyond mere phenomenon, they pushed themselves to be firm and rational, insisting on performance through repetitions. Such practical attitude became a foundation for finding my infinite inside regarding the contemplations of ‘Inside and Outside’. The second chapter, ‘Inner Space’, contained my interpretations on how my works started from the outside and progressed into the inside. As a requirement in this process, ‘Persisted Time’ was discussed in the chapter. I was also able to seek the connection between myself and Proust, who highlighted the power of persistence, in terms of my works based on the synesthetic experiences. The synesthetic experiences led to ‘sublimity’, an aesthetic idea·experience as well as ultimate experience that anyone can face in their inner spaces. Pondering on spirituality as a pure sense as Malevich suggested, I hoped that my works have the power to guide viewers toward their inner worlds. I also explored the theory on transcendent inner worlds and sublimity by Lyotard . I discussed Ad Reinhadt’s ‘Black Painting’, which has a certain sublime significance as well. The potential of the black color that represents his works als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my attempts to embrace the transcendent inner worlds in my works. The last chapter of the study meticulously analyzed my works. It explained how my previous contemplations have been developed in my works. ‘Contemplations on Inside and Outside’ focused on how ‘Inside and Outside’ is not a dichotomous matter but an intimate space that can be constantly re-interpenetrated. ‘Between Here and There’ captured space as an infinite portal that showed how the spatiotemporal affection of night portrayed the hidden open world of ‘Inside and Outside’ in my works. My works shed light on the process that calls attention to the power of slow time, starting from the exterior(outside) and being gradually concentrated into the interior(insi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