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습득 연구

Title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Perfect Aspect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uthors
이예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완료상을 의미·형태적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일본어 완료상 형태와 대조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완료상 습득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국어 완료상 습득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 완료상 형태 중 보조 용언 완료상 형태에 집중하거나 ‘-었-’의 의미 기능을 검토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마저도 대조 연구가 주를 이루며, 완료상 습득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태성 완료상을 제외한 세 가지의 무표적 완료상 형태 ‘-었-’, ‘-고 있-’, ‘-어 있-’을 대상으로 습득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완료상의 의미 기능과 형태적 특징을 상세히 고찰하고 일본인 학습자들이 동작류별로 한국어 완료상을 어떻게 습득하고 있는지 관찰하여 모국어가 목표어에 끼치는 영향을 시상가설과 난이도 위계 가설을 토대로 습득 양상을 살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완료상 습득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완료상을 의미·형태적으로 고찰하고 대조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제2언어 습득에 있어서 모국어 전이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Prator(1967)의 난이도 위계 가설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 및 연구 도구를 보고하였다. 본실험은 ‘중급 학습자, 고급 학습자, 모어화자’의 세 집단으로 진행되었으며 집단별 20명을 표집하였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을 관찰하기 위하여 짧은 영상을 보고 빈칸에 알맞은 말을 고르는 준생산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는 총 18개의 문항으로 혼란 문항까지 포함하여 총 36개의 문항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의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여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한국어 완료상 ‘-었-’, ‘-고 있-’, ‘-어 있-’ 습득에 있어 모어 화자와 같은 사용 양상을 보이는가?”를 큰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하위 연구 문제로 두 가지를 설정하였는데 ‘연구 문제 1-1’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동작류에 따라 한국어 완료상 ‘-었-’, ‘-고 있-’, ‘-어 있-’의 습득을 달리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를 용언의 타동성 및 결과성을 토대로 동작류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동사와 완료상의 결합을 조건으로 한 문항들에서 ‘완성동사’ 부류는 숙달도에 관계없이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달성동사’ 부류에서는 고급 학습자의 완료상 사용이 모어화자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어화자 수준의 습득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인 학습자는 자동사와 완료상 결합 조건에서 완료상을 습득하는 데 있어 동작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시상가설(AH)에서 주장하는 것과는 다른 결과였다. 둘째로 타동사와 완료상의 결합을 조건으로 한 문항에서 학습자들의 완료상 표지 선택을 분석하였다. 타동사 중 비결과성 용언의 경우, 다른 용언 부류에서보다 학습자의 평균 점수가 대체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 타동사 중 비결과성 용언과 완료상의 결합에서는 ‘완성동사’와 ‘달성동사’ 모두 고급 학습자 집단은 모어화자 수준의 습득을 보였으며, 중급 학습자 집단은 모어화자 수준의 습득까지는 아니었으나 다른 용언 부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학습자들의 형태적 주목을 기반으로 한 ‘-었-’이 가지는 분포상의 무표성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실험의 조건들 중 유일하게 타동사 중 비결과성 용언에서 동작류가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석 결과, 학습자 집단은 ‘완성동사’를 먼저 습득하고 ‘달성동사’로 이행하는 양상을 보여 시상가설(AH)의 예측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타동사 중 결과성 달성동사 및 완성동사의 조건에서는 중급 학습자 집단, 고급 학습자 집단 모두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동사 중 결과성 용언 또한 자동사에서처럼 동작류에 따라 습득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시상가설(AH)의 예측과는 다른 결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습득에 있어서 대체로 시상가설에서 예측한 동작류 순서대로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모어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일본어 ‘-ている(teiru)’는 결합하는 동작류의 상적 속성보다는 개별 어휘의 의미나 문맥에 따라 상적 의미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일본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완료상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 동작류의 상적 속성이나 의미적 속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구 문제 1-2’의 결과 확인을 통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완료상 ‘-었-’, ‘-고 있-’, ‘-어 있-’ 습득에 있어 한국어와 일본어의 완료상 형태 대응 유형별로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학습자들의 완료상 선택 빈도를 통하여 보았을 때,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의미·형태·통사적으로 분포상 가장 무표적인 한국어 완료상 형태 ‘-었-’을 가장 먼저 습득하고 그 다음으로 –고 있-’, ‘-어 있-’의 습득 순서를 보였다. 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모어에 대한 전이를 바탕으로 일어날 수 있는 제2언어 습득상의 난이도 위계보다는 형태적, 의미적으로 무표적인 완료상 형태를 선호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 완료상 형태 ‘-었-’, ‘-고 있-’, ‘-어 있-’의 습득에 대하여 주목한 연구이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습득에 있어서 동작류별 습득 양상, 형태별 습득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양태적 의미를 가지지 않는 완료상 형태, 즉 ‘-었-’, ‘-고 있-’, ‘-어 있-’로 논의를 펼쳐 학습자들의 본격적인 습득 양상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quisition of Korean perfect aspect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y comparing Korean perfect aspect with that of Japanese through grammatical morpheme and semantic function. The majority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Korean perfect aspect focused on one of various perfect aspect morpheme in Korean or discussed auxiliary prescriptive of Korean prescriptive aspect. This paper, therefore, included three morphemes: ‘eoss-', ‘-ko iss-', and ‘-a iss-' except for a modal perfect aspect to study the acquisition of Korean perfect aspect. This study further discussed semantic function as well as form and syntactic characteristic of perfect aspect. The study explored the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perfect aspect and the effect of L1 on L2 and discussed the findings based on aspect hypothesis and Prator’s difficulty hierarchy hypothesis. Chapter I presented the ne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discussed some previous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perfect aspect. Chapter II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irst, the study compared and analysed the semantic and syntactic differences of Perfect Tense in Korean and Japanese.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L1 transfer in the view of Prator’s difficulty hierarchy hypothesis. Chapter III reported the research methods and tools. The experiment f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1) Intermediate learners, 2) Advanced learners, and 3) Korean native speakers. Each group consisted of a total of 20 participants. For the study, a sentence completion task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Korean perfect aspect.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right answer for the blank space after watching short videos. A total of 18 experiment items and another 18 distractors made up a total of 36 items for the experiment. Chapter IV reported the findings of experiment. The chapter looked at these findings in relation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was "Do Japanese learners of Korean show differences in their acquisition of Korean perfect aspect ‘-eoss-’, ‘-ko iss-’, and ‘-a iss-’ as their proficiency increases?" This question was then further divided into two questions. The research question I-I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acquisition of ‘-eoss-’, ‘-ko iss-’ and ‘-a iss-’ by the Japanese L2 learners based on lexical aspect. The study analyzes the experiment data based on transitivity and result which was further categorized by lexical aspect. Contrary to the prediction of Aspect hypothesis, the findings show that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do not acquire the Korean perfect aspect in the expected order of lexical aspect. The research question 1-2 explores the acquisition of Korean prefect aspect by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ased on perfect aspect in Korean and Japanese. The findings show that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first acquire ‘-eoss-’ which is the most unmarked perfect aspect in Korean followed by the acquisition of ‘-ko iss-’ and ‘-a is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Japanese L2 learners of Korean depend on the unmarked form of perfect aspect more than the difficulty hierarchy hypothesis. As mentioned earlier, this study focused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Perfect Aspect ‘-eoss-’, ‘-ko iss-’ and ‘-a iss-’ by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is study, unlike most of previous studies explored, addressed the acquisition of three perfect aspect morphemes: ‘-eoss-’, ‘-ko iss-’, and ‘-a iss-’.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continuing the result state’ in Korean perfect aspect. More studies can follow to include other meanings of Korean perfect aspect which is the ‘completion of an action’. More research can be done to compare the use of perfect aspect labels by the native speakers and the learners of Korean for the above mean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