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7 Download: 0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이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기술의 교수 우선순위 연구

Title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이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기술의 교수 우선순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iorities of Korean Speaking Skills for Academic Purposes : Using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Locus for Focus Model
Authors
소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기술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파악하고 교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그들에 관한 많은 이론적 논의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업 과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한국어 교육 학계의 연구는 쓰기에 치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실제 교수 내용이 되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세부 기술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학문 목적 학습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어떤 세부 기술에 학습 요구를 가졌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비판과 제안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공통으로 교수되고 있는 말하기 세부 기술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세부 기술 목록을 구축했다.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재와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공통으로 교수되고 있는 학문 목적 말하기 세부 기술은 총 19개로 확인되었다. 19개의 기술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뿐만 아니라 교재 개발, 교육 과정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기술 목록을 이용해서 학습자들의 학습 요구를 확인하고 학습자들의 학습 요구도에 따라 교수 우선순위를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결과를 얻기 위해 t-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 Locus for Focus 모형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분석했다. 그 후, Borich 요구도 공식과 Locus for Focus 모형으로 파악한 교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최종으로 교수 최우선 순위와 차순위를 결정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 학계에서 사용되지 않은 요구 분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요구 분석 연구의 한계에 해결책을 제시했다. 요구 분석의 결과로 밝힌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기술 교수 최우선 순위는 ‘요약하기’, ‘추가 설명 요청하기’, ‘근거 말하기’, ‘설명하기’이며 차순위는 ‘비판하기’, ‘질문하기’이다. 본 연구는 교육의 시공간적 한계 때문에 모든 내용을 가르칠 수 없는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우선순위를 제시했다. 이는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이나 교수 요목 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arning needs in regards to speaking skills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and to set educational priorities accordingly. Despite many theoretical discussions and a high interest in this topic, KAP learners often face difficulties when taking courses which are conducted in Korean. Although students feel that speaking is the most difficult skill, most educational programs focus on writing. In addition, studies about micro skills of speaking for KAP are very rare. To alleviate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are facing,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the micro skills of speaking in which the learners have the most learning needs. This could be an important resource for learners to solve the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Based on this criticism and suggestions, the study seeks to identify micro skills of speaking currently being taught in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programs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stablishes a list of micro skills of speaking for KAP based on teaching materials and prior research. An analysis of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19 micro skills of speaking that are commonly being taught. These are skills that have been analyzed and extracted from a variety of different data source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In addition, the 19 micro skills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courses, as well as their assessment. By applying the 19 micro skills, the learners’ learning needs are checked and educational priorities are set. In order to achieve reliable results in this process, t-tests,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Locus for Focus model are used to analyze the learners’ learning needs. Then, the educational priorities of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finally clustered into highest- and second priorities. This study presents solutions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needs analysis studies by using needs analysis methods that have not been used in the academic community concerned with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until now. As a result, the highest priorities of micro skills of speaking for KAP are “summarizing”, “requesting further explanation”, “giving reasons” and “explaining something” while the second priorities were “criticizing” and “asking ques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prior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actual teaching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teach all of the micro skills due to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of education. The findings offer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courses and for designing the syllabuses for KA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