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조은미-
dc.creator조은미-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06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0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29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297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684-
dc.description.abstract비동의 화행은 선행된 청자의 의견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음을 드러내는 화행으로 청자가 인정받고자 하는 적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화행이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비동의 화행에 대한 연구는 미진했다. 특히 한국과 사회문화적 거리가 먼 문화권의 학생들은 비동의 화행에서 한국인과 큰 차이를 보일 것이며 이것은 의사소통의 문제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한국인과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과 전략 사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살피고 기존에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비교문화적 화용론과 비동의 화행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세 가지를 정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비동의 화행에서 느끼는 부담감은 상황의 사회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비동의 화행에서 사용하는 전략은 상황의 사회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이다. 마지막으로 [연구 문제 3]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비동의 화행에서 부담감에 따라 사용하는 전략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II장에서는 비교문화적 화용론과 비동의 화행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우선 비교문화적 화용론에 대한 정의를 살피고 한국의 집단주의와 미국의 개인주의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 후 비동의 화행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정하였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만든 본 연구의 비동의 화행 전략틀을 제시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우선 본 실험에서 쓸 비동의 상황을 만들어 한국인을 상대로 상황 개연성 조사를 하였다. 그 후 최종적으로 선정된 12개의 비동의 상황으로 본 실험지를 구성한 후 예비실험을 거쳐 한국인 30명과 중급 이상의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IV장에서는 본 실험에서 수집한 응답들을 바탕으로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제시하였다. 우선 [연구 문제 1]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비동의 상황에 대한 부담감 비교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이 더 높게 나왔다. 그리고 비동의 상황을 상황의 사회적 변인에 따라 나누어 부담감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청자의 지위가 낮았을 때를 제외하고는 모든 경우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담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 [연구 문제2]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비동의 상황에서 사용한 전체 전략의 빈도를 비교하였을 때 한국어 모어 화자는 간접 비동의 전략과 부가 전략의 사용이 제일 많았으며 비동의 미수행 전략의 사용 빈도도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직접 비동의 전략의 사용이 가장 높았다. 상황의 사회적 변인에 따른 전략 사용의 차이에서는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비동의 화행에서 직접 비동의 전략을 중심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간접 비동의 전략과 부가 전략의 다양한 사용은 한국어 모어 화자만큼 이뤄지지 못했다. [연구 문제 3]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담감에 따른 비동의 전략 사용의 차이를 보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부담감이 높고 낮음에 따라 사용하는 전략이 달랐지만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부담감이 낮을 때는 완화된 전략 사용 없이 직접 비동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장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 연구가 갖고 있는 한계와 의의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인과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 대한 부담감과 전략 사용의 차이를 한국과 미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차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인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 대한 인식과 실현을 미국 영어 모어 화자와 비교하여 해석하지 못했다. 둘째, 고급 숙달도와 중급 숙달도의 차이를 보지 못했다. 셋째, 참여자의 연령층이 20대로 한정되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넷째, 결과 해석에서 다양한 측면의 사회문화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다음은 본 연구가 갖는 의의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비동의 화행에 대한 개념과 정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부담감에 대하여 사회문화적 해석을 시도했으며 부담감에 따른 각 집단의 전략 사용의 차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동의 화행 교수를 위한 선행 연구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갖고 있다. ;Disagreement as a speech act is to dispute an interlocutor’s ideas and often threatens the listener’s face as a consequence. At this point, people could feel differently burdened and use various strategies based on their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 this way, strategies used followed by degrees of burden felt might differ depending on which societal contexts the speakers are in. To examine these ques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how much Korean native speakers and American Korean learners feel burdened to disagree in Korean and what kinds of disagreement strategies they use relative to one another.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of cross-cultural pragmatics in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regards to the speech act of disagreement. It also describes 4 research questions. The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Korean native speakers and American Korean learners,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ived burden of the speech act of disagreement?, 2. According to situational variations, is there a difference in disagreement strategie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American Korean learners? 3. According to the degree of burden felt, is there a difference in disagreement strategie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American Korean learners? Chapter II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cross-cultural pragmatics and the speech act of disagreement. Firstly, it describes the definition of cross-cultural pragmatics and the concept of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which is the main cultural difference used in this paper to distinguish between Korea and the U.S. Then, it defines what the speech act of disagreement is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range of its usage.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disagreement strategies in Korean outlined by former research.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dures, experiment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tools, and analysis method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respectively. Chapter IV presents a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based on the responses collec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1] are as follows: the group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t of the American learner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verage feeling of burden in disagreeing, Korean native speakers feel more burdened than American learners do. The differences in feeling burdened were then compared by dividing the situation into the status of the listener, the social variable of the situatio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and the public/private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the burden of Korean speakers and American learners in all cases, except when the listener's status was low,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process, we are able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mood between Korean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in the U.S.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 speech act is the same, the feeling of burden that comes with it can be different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The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2] are as follows: In most situations, American Korean learners used the strategy of disagreeing directly in the course of disagreeing, compared with the Korean speaker. However, the diverse usage of indirect disagreement strategies and additional strategies did not take place as much as with the Korean native speakers. It indicates that American Korean learners may need to be taught them in the course of their Korean education, reflected in textbooks and classes. [Research question 3]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disagreement strategie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burdens felt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American Korean learners in disagreeing. For Korean native speak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rategies they u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ssure they felt. Mean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asymmetrical strategies relative to the burden of American Korean learners, the difference in frequency and proportion in overall strategic differences was similar to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detailed strategies showed limited use over Korean native speakers. More speakers of the Korean language used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on high and low pressure, but Americ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showed that they directly disagreed with each other without a device that relieves them when the pressure was low. Such direct use of the strategy can cause communication problems in a situation with Koreans, where more strategic communication is expected, and therefore, may warrant these strategies being taught to American learners. Chapter V summarizes this study and outlines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research has sh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urden of disagreeing between Korean and American learners. It also confirmed the need for Korean disagreeing strategie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to be taught to American Korean learn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 English native speakers did not participate in the main experiment. Second, the age group of participants is limited to those in their 20s,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ird, differences between high-quality proficiency and mid-grade proficiency were not observed. Fourth, the result isn’t analyzed with various sociocultural differences between U.S. and Korea except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isagreement as a speech act in Korea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the cross-cultural interpretation of psychological burden and its relation to the usage of disagreeing strategies. It also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will be a fundamental study that can be a resource when it comes to America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large by providing insight into cross-cultural pragmatics on differences of disagreeing in Kore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3 1. 비교문화적 화용론에 대한 연구 3 2. 비동의 화행에 대한 연구 7 C. 연구 문제 12 II. 이론적 배경 15 A. 비교문화적 화용론 15 1.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정의 15 2. 미국과 한국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17 B. 비동의 화행 20 1. 화행과 비동의 화행의 개념 20 2. 비동의 화행의 전략 24 III. 연구방법 33 A. 연구 절차 33 B. 실험 참여자 34 1. 상황 개연성 조사 35 2. 예비 실험 35 3. 본 실험 36 C. 자료 수집 방법 38 1. 상황 개연성 조사 38 2. 예비 실험 41 3. 본 실험 44 D. 분석 방법 47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9 A. 한국인과 미국인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서 느끼는 부담감의 차이 49 1. 집단 간 심리적 부담감의 차이 50 2. 사회적 변인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의 차이 53 B. 한국인과 미국인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서 전략 사용의 양상 57 1. 집단 간 전략 사용의 양상 57 2. 사회적 변인에 따른 전략 사용의 양상 61 C. 한국인과 미국인 학습자의 부담감에 따른 전략 사용의 양상 86 1. 한국인의 부담감에 따른 전략 사용 양상 86 2. 미국인 학습자의 부담감에 따른 전략 사용 양상 91 D. 소결론 95 V. 결론 98 참고문헌 102 부록 1. 한국인의 비동의 상황 개연성 설문지 107 부록 2. 본 실험지 예시 (한국어 모어 화자용) 109 부록 3. 본 실험지 예시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용) 111 ABSTRACT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37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peech Act of Disagreement by American Korean Learners from a Perspective of Cross- cultural Pragmatics-
dc.creator.othernameCho, Eunmi-
dc.format.pagevi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