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한국어 모어 화자와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어 모어 화자와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isagreement Speech Act Performance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French Korean Learners
Authors
김태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 실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어 모어 화자와 프랑스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비동의 화행 실현 상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를 통해 수집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 전략 실현 양상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비동의 화행이란 상대방의 진술이나 주장 등에 대하여 다른 의견을 표현하는 화행으로, 상대에게 동의하지 않음을 표현하는 것은 상대의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에 해당한다(Brown & Levinson, 1987: 66). 특히 유교의 영향으로 나이와 지위의 정도가 힘으로 작용하는 한국 사회에서는 나이가 많은 사람 또는 지위가 높은 상대 앞에서 의견을 말하거나 이의를 제기하거나 반대하는 것은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된다(Hong, 2007: 147 – 148). 반면 프랑스에서는 비동의 행위가 비난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위협의 정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요소가 나타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나타난다(Mullan, 2012: 17). 한국인은 비동의 행위를 실현하지 않거나, 실현하여도 위협의 정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여러 번 사용하는 반면 프랑스인은 한국인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이처럼 같은 화행에 대해서도 공동체의 특성에 따라 인식이 다르기 때문에 그 화행이 실현되는 양상도 달라진다. 이러한 이유로 학습자가 한국의 사회문화에 맞는 화행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화용적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 실현 전략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프랑스어 모어 화자의 비동의 화행 실현 상황을 비교 분석한 후 한국인과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 전략을 살펴보았다.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먼저 I장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밝힌 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비동의 화행 연구 진행을 위한 연구 문제, 비동의 화행 분석 틀, 연구 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내용을 참고하여 본 논문을 위한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비동의 화행에 대해 알아보고자 비동의 화행의 의미와 비동의 화행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될 비동의 화행 분석을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III장에서는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도구 등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인과 프랑스인의 설문 조사 응답 내용에 대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문제 2를 위해 본 연구의 비동의 화행 분석 틀에 따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DCT 응답 내용을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IV장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 문제 1과 연구 문제 2의 해답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프랑스어 모어 화자 집단 간 비동의 의견 표현 실현 상황에 차이가 있었으나,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이 비동의 의견을 표현하겠다고 응답한 상황을 기준으로 한국인의 비동의 화행 실현 양상과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동의 화행 실현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사한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V장에는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sagreement speech act performance of French Korean learners (FKL) and Korean native speakers (KNS) and French native speakers (F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en asked whether he or she would express their opinion in disagreement situations, will there be any difference in results of KNSs and FNSs? How would it differ according to the social variables of non-personal or personal situations, intimacy and social status? (2) In disagreement situations that KNSs chose to express their opinion, how do KNSs and FKLs vary in their use of disagreement speech act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Data was collected from 15 KNSs, 15 FNSs, 15 FKLs through surveys and DCTs. In the questionnaire, 24 disagreement scenarios were presented: with three kinds of social variables, 12 disagreement situations were categorized, two scenarios were set in each situation. To analyze the data, Chi-square tests were utilized for research question 1,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used for the research question 2. The data revealed that from FNS data analysis, relevant situations of which the rate of respondents who chose to express their opinion in disagreement situations surpasses 70 percentage resulted in 9 out of 12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KNS data showed that only 4 situations would surpass the 70 percent. Moreover, when each scenario was analyzed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in a situation where the intimacy of interlocuters was low. In other words, in situations where intimacy of interlocuters was low, FNSs showed higher tendency to express their disagreeing opinion, whereas KNSs showed lower tendency to do so.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mostly used disagreement strategies by KNSs and FKLs were of the same, ‘opposition claim’ strategy and ‘different opinion expression’ strategy. However, strategies that were rarely used or never used by KNSs appeared in FKLs responses, which are ‘affirmation’ and ‘reproach’ strategies. This shows that FKLs also use strategies that KNSs would avoid or would not use when expressing their disagreement. Throughout this research, when asked to choose whether he or she would express their opinion in disagreement situ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KNSs and FNSs could be observ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Korean disagreement expressions of KNSs and FKLs. This implies that further study on disagreement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used by FKLs and KNSs is necessary in order to be able to provide learners with knowledge of disagreement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that is appropriate for conversations in Korea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