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Analysis of Gender and Power Structure in Rohingya Refugee Camps

Title
Analysis of Gender and Power Structure in Rohingya Refugee Camps
Authors
Gulshan, Jahan E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Jennifer S.Oh
Abstract
The goals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barriers of implementing gender mainstreaming in Rohingya refugee camps in Bangladesh for humanitarian agencies. So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was to find how the measures of international agencies failed to implement gender mainstreaming effectively in the Rohingya refugee camps? It also argues that without understanding the gendered cultural and structural inequality and prospects in refugee camps, the international efforts for gender mainstreaming become a failure. The research has selected three Rohingya camps for collecting prim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of the Rohingya women and service providers. Moreover Focus Group Discussions(FGD) and an in-depth interview with four key people was conducted. Academic articles and reports & documents from international agencies including UNHCR were taken as secondary sources of data. This study has detected some barriers which slow down the effectiveness of promoting women empowerment such as women‘s participation in family and community-level decision making, gender role of women, Sexual and Gender based Violence (SGBV) in camps. By analyzing data and from focus group discussion I conclude, the humanitarian agencies failed to address the ingrained inequalities and gendered culture of the Rohingya community that impedes gender mainstreaming in camps. They focused more on the protection of gender-based violence rather than prevention. They have no effective measures for transformative change of the gender role at the Rohingya camps. Although the situation at the camps has opened up windows for the women of the female-headed family to break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Rohingya community, the agencies have no special efforts in place for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주의 단체들이 운영하고 있는 방글라데시 로힝야 난민캠프에서 성 주류화를 시행하는 데 있어 생기는 장애물을 찾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국제기구들이 왜 로힝야 난민캠프에서 성 주류화를 효과적으로 시행하는 것에 실패하는가?”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답으로 난민 수용소의 문화적 성 역할과 구조적 불평등, 전망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성 주류화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은 실패로 돌아간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3개의 로힝야 난민캠프를 선정하여 해당 난민캠프에 속한 로힝야족 여성들과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1차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또한 포커스 토론 그룹(Focus Group Discussions, FGD)과 핵심 인물 4인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에 더하여 UNHCR을 포함한 국제 기관의 학술 기사와 보고서 및 문서들이 2차 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과 지역사회 차원의 의사결정에 있어 여성의 참여도, 여성의 성 역할, 캠프 내에서의 성/젠더기반폭력 등이 여권 신장의 장애물로 작용했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데이터 분석과 포커스 토론 그룹 I (FGD)로부터 인도주의 단체들이 성 주류화 시행에 방해가 되는 로힝야 지역사회 고유의 불평등한 성 문화를 다루는 데에 실패했다는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인도주의 단체들은 젠더기반폭력의 예방보다는 보호에 더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로힝야 캠프 내 성 역할의 전환적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보여주지 못했다. 비록 캠프 내에서는 로힝야 지역사회에 만연한 가부장적 문화 대신 여성 중심의 가족 체계가 발생하고 있지만 인도주의 단체들은 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