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

Title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Entrainment-Based Group Music Therapy for Promot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김지윤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 간 상호작용을 촉진을 위한 동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만 6세-10세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5명으로, 중재는 회기 당 30분씩 주 2회,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 진행 일주일 전 대상자들의 사회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판 부모용 사회 기술 평정척도(K-SSRS-P)가 실시되었다. 중재 내용은 매 회기 리드믹 큐에 맞추어 움직이는 활동, 아동이 타인의 움직임을 모방하면서 타인과 동일한 움직임을 유지하는 활동, 아동이 또래와 서로 움직임의 속도나 강도를 조율하면서 동시적 움직임을 유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측정을 위하여 중재 안에서 관찰된 공동행동 참여, 동시적 움직임, 눈맞춤 시도, 상호작용 시도 행동의 발생률과 중재 과정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음악적 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션 내 관찰행동의 변화가 외부 환경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부모용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P) 검사와 사회적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재 안에서 관찰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동기화된 움직임 및 상호작용 시도 행동에서 대상자 5명 모두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또한 그룹별 음악적 행동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또래 수용 증가, 공동행동에서의 자발성 증가 등이 나타났다. PIPPS-P 사전·사후 검사 결과 ‘놀이 상호작용’, ‘놀이 방해’ 영역에서 모든 대상자 5명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동조화 기반의 음악치료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후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기술 프로그램으로 확장 및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case study presents the effectiveness of entrainment-based group music therapy for promot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bjects were five children aged 6-10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total of 8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on a semiweekly basis, 30 minutes each. A week prior to the initiation of the intervention, K-SSRS-P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skills of the autistic individuals. Each session was composed of the three music therapy activities as follows: synchronization of body movements to rhythmic cues, an exercise to mirror a peer’s body movements, and a practice to maintain synchronous movements with that of a peer’s while controlling speed and intensity of the moveme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on the observed engagements in joint action, synchronized movements, occurrences of eye contacts, attempts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s, and meaningful change of musical behaviours during the sessions. Also, in order to verify if the above-mentioned behavioral changes are similarly observed in real-life environments, the parents of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nduct the PIPPS-P and Social Appropriateness Test. As a result of intervention, all individuals of peer group improved the rate of synchronizing peers and initiating social interactions. Moreover, analysis on the changes of musical behaviors during the interventions revealed that the ASD group displayed gradual improvements over the sessions in peer-acceptance level and autonomy during the engagement of joint actions. All participants expressed improved scores on the areas of ‘peer interaction’ and ‘peer disruption’ in post-intervention PIPPS-P. The result of this case-study presents that the entrainment-based music therapy may be an effective measure of intervention to promote the peer interactions for children with ASD, and indicates that the advantages may warrant the need for the intervention to be further developed and integrated to the exisiting social skill program for children with AS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