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색의 중첩을 통한 기억의 희석

Title
색의 중첩을 통한 기억의 희석
Other Titles
Overlaying Colors to Visualize Dilution of Memories
Authors
류지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영
Abstract
This thesis describes development processes for representation techniques, in an attempt to vis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and memories. In detail, it explains how diluted memories can be depicted by disassembling the figure through the overlay of color. People store photographs in albums to preserve their memories permanently, but the photographs bring about somewhat different feelings whenever they are found again after a while. This study was triggered by the fact that, while the figures in a photograph never change, the memories related to the figures in the photograph cannot be preserved as they were at the time. Although people believe that photography is a powerful medium that helps them store a moment of the past forever in a simple way, what a photograph can preserve is only a superficial figure, not the memory itself. A figure can act as a medium to recall a certain event or arouse specific feelings, but it does not possess any meaning as itself. Based on the thought that memory is not fixed but is constantly changing,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visualizing how memories are diluted gradually. In order to describe figures being disassembled due to external factors including other memories, this thesis explores in-depth studies on painting materials and techniques of overlaying colors. Henri Bergson, a French philosopher, said, “Visual perception has become impotent, and this very impotence is unconsciousness… the brain appears to us to be an instrument of analysis in regard to the movement received, and an instrument of selection in regard to the movement executed.“ In line with his saying,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ains how memories, which are diluted and preserved in the form of unconsciousness, make themselves perceived differently every time they are recalled in the perspective of a painter. ;본 논문은 형상과 기억의 상관관계를 시각화하기 위한 표현기법적 연구 과정을 담고 있다. 이는 색의 중첩을 통해 형상을 와해 시킴으로써 이미지가 담고 있는 기억이 희석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이다. 연구자는 회화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사진 앨범 속에서 찾아보는 과정에서, 과거의 기억을 보존하고자 기록해 놓은 장면들을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마주했을 때는 매번 다른 감정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사진 속에 형상이 저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억은 당시의 상태 그대로 보존되어 있지 못한다는 점에 흥미를 느껴 형상과 기억의 상관관계에 관해 연구하게 되었다.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우리는 간편한 방식으로 과거의 한순간을 영원히 저장할 수 있다고 믿지만, 사진이 보존할 수 있는 것은 표피적인 외형일 뿐이고 결코 과거의 기억을 현재라는 시간 안에 박제할 수 없다. 사진 속 과거는 보존되어 있는 듯하지만, 기억은 결코 그 형상 안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연구자의 작업에 있어서 형상은 어떠한 사건을 떠올리거나 특정한 감정 상태를 유발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뿐 그 자체만으로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이처럼 기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회상하는 자가 위치한 지점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희석되는 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된 후로는 기억 희석 과정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집중한다. 하나의 장면 위에 여러 외부적인 요소들이 축적되어 화면 속 형상을 와해하는 화면을 효과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재료 연구와 더불어 색을 반복적으로 중첩해 형상이 희석된 화면을 구축하려는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자의 작품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기억은 무의식 속에 저장되어 있으며 현재의 의식은 뇌의 운동 기제에 의해 행동에 필요한 기억만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라는 베르그손의 말처럼, 기억은 우리가 의식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 무의식의 영역 안에서 희석된 상태로 존재하며 매 순간 다른 형태로 발현되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시각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방식을 심도있게 고민한 것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