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한나 아렌트 행위 개념과 시민참여교육

Title
한나 아렌트 행위 개념과 시민참여교육
Other Titles
Hannah Arendt’s Action and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Authors
신서윤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civil society in South Korea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ivic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However, still many Koreans seem to be indifferent to social participation and civic engagement. Civic education for adults that invigorates citizen’s social participation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as the solution to this situation. Although for a long time Korean educational field has focused only on civic education for youth people, fortunately, The Lifelong Education Act revised in 2007 stipulated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as one of the main practic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invigorating civic education for adults. However, fundamental details regarding what the concept and the difference of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which actually is a new term only us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re and what it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is have not been made specific until now, which is an obstacle to improve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quality. For this reason, this dissertation tried to concretize future direction of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by studying Hannah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and its main concept called ‘Action.’ The individual’s political life actualized from Arendt’s Action implies ideal citizen who fully participates in civic life and takes responsibility for the common world.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Arendt’s Action from four aspects―Action as speech which forms the Arendtian public realm,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realm and the common world, plurality and lastly revealing and initiative feature of Action. This study found out four main implications of Arendt’s Action for improving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in a way that encourages adult learners’ active civic lif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Arendt’s Action and the concept of Arendt’s public realm suggest that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should focus more on the ‘group’ level than the individual level. In this respect, ‘learning community concerning common and public issues’ turns out to be an important educational form that itself has the value as an act of social participation. Second, exploring specific form of speech that Arendt’s Action implies, this study found out that ‘debate’ in which participant can express their ‘difference’ is an activity of civic engagement. In Arendtian debate, the central point is not to know what the answer is or to reach an agreement but to make every participant express their own ‘opinion’(doxa) with an ‘explanation’ of why and how they came to this. Third, diversity is vital for a healthy democratic society and Arendt’s Action that always implies plurality gives some significant ideas that can be applied in civic educational programs that stres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Based on Arendt’s explanation of plurality,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allow learners to approach and interpret the educational contents in various ways in civic educational programs. Furthermore, according to Arendt, diversity is related to one’s life story, so trying to relate class contents to learner’s life experience can be a way to foster diversity in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Lastly, Arendt's action presupposes thinking. Arendt’s thinking means ‘self-reflective’ thinking which includes examining one's thoughts from another person's point of view. Thinking is not something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so that only a few can do, but is an ‘activity’ that everyone can do. Arendt's concept of action implies the need to encourage ‘thinking as an activity’in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Based on this four results I concluded this study giving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field. First, I suggeste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laced on forming learning community, especially on encouragi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study circles concerning public and common issues.’ Second, one way to activate the Arendtian debate in adult learning class is to use concrete subjects and topics such as controversial social issues and problems. Third, because Korean formal school education put too much concentration on memorizing subject knowledge, most of Korean adult learners are not used to participating in debate class, so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preparation courses to back up learners. Fourth, nowadays liberal arts classes are emphasized in civic education field. By combining these classes with debate activities and self-reflective activities, liberal arts classes can have more effect on fostering learners’ active citizenship. Lastly, for all these changes we need to strengthen the training course of lifelong learning educators.;시민사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현대사회가 야기하는 문제의 복잡성으로 인해 시민들의 사회적 참여와 실천이 강조되고 있다. 물론 한국 사회의 시민의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아졌으나, 공동체와 사회의 공동선을 실현하고 실천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시민들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증진하고 지원하는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며, 이는 학령기 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시민교육의 범위를 넘어 실제적인 사회의 참여 주체인 일반 성인들을 위한 시민교육의 활성화를 필요로 한다. 2007년 개정된 평생교육법이 ‘시민참여교육(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을 평생교육의 실천 영역으로 공식화함으로써, 성인학습자를 주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일반 성인을 위한 시민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나, 이러한 법적·제도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시민참여교육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그에 따른 발전 방향이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참여교육의 발전 방향을 구체화하는 이론적 작업으로서 한나 아렌트 (Hannah Arendt)의 정치철학의 핵심인 행위(Action) 개념과 행위 개념의 시민참여교육적 함의를 탐구하였다. Ⅱ장에서는 새로 만들어진 용어이자 개념인 시민참여교육을 이해하기 위해, 시민교육의 한 차원으로서 시민참여교육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에 따른 특징적인 성격으로 사회적 ‘참여’에 대한 강조점을 살펴보았고, 이를 기초로 현재 시민참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시민참여교육은 법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거의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사회 참여적인 시민적 자질을 함양하기에는 전반적으로 교육내용 및 방법상의 문제가 있었다.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시민참여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이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시민참여교육에 관한 학문적 연구 또한 매우 미진한 상태였다. 건강한 시민사회와 사회 참여적인 시민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참여 지향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시민참여교육의 이론적 기반이 마련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Ⅲ장에서는 아렌트의 정치철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기초로 행위 개념의 구체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육체적 필요를 해결하는 ‘노동(Labor)’활동과 인공물을 만들어 인간세계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작업(Work)’활동이 사적인 인간 삶의 영역과 연관되는 것이라면, ‘행위(Action)’는 사람들이 공동의 것과 관련해서 사회와 공동체에 참여하는 인간의 활동영역으로서 ‘공영역(Public realm)’과 관련되는 활동이다. 아렌트는 이러한 공영역을 정치적 공간, 행위 활동을 인간의 정치적 행위, 그리고 행위를 통해 구현되는 삶의 모습을 모든 시민이 향유하는 정치적인 삶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공동체 참여적인 행위 개념의 성격은 사회 참여적인 시민의 자질과 참여활동을 지원 및 증진해야 하는 시민참여교육의 구체적인 모습을 구상하는 데 이바지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행위 개념을 공영역을 형성하는 언어적 소통으로서 행위, 행위가 형성하는 공영역과 세계와의 관계, 행위 개념의 근간이 되는 인간의 실존조건으로서 복수성(plurality), 그리고 개별자들의 고유한 인격을 드러내며 새로운 시작으로서의 의미를 지닌 행위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행위의 본질과 특성을 근거로 해서, 한나 아렌트 행위 개념의 시민참여교육적 함의를 탐구하였다. 첫째, 행위 개념이 지니는 세계에의 참여라는 의미에 방점을 두고 살펴본 결과, 성인학습자의 사회 참여를 증진하는 교육에서 ‘집단’의 단위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집단적 학습형태에서 학습참여의 목적은 ‘공공적인 공동의 이슈’에 참여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아렌트의 행위 개념은 합리적이고 시민적 의식을 갖춘 개인들이 많다하여도 이들이 공동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건강한 시민사회가 형성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행위 개념이 지니는 참여의 의미를 통해 사회 참여의 학습 형태로서 ‘공공적 학습공동체’를 제시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활동으로서 행위 개념은 언어적 행위의 모습을 띠고 있으며 아렌트가 제시한 소크라테스의 언어적 행위의 특징을 통해 아렌트적 언어 행위가 ‘토론’의 모습으로 구체화됨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토론 활동은 ‘일상적 참여’로서 시민참여 활동의 성격을 지니며, 따라서 학습자들의 공적 토론에 주목하는 교육 현장은 그 자체로 성인학습자의 일상적인 사회 참여를 실천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아렌트의 언어적 행위가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고유성을 발현한다는 특징이 있듯이, 아렌트적 토론학습의 특징도 ‘차이의 표현’과 이를 보장하는 교육 현장에서의 ‘평등한 관계’에 있다는 점을, 그리고 특히 아렌트적 토론학습은 정답 논리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의견' 제시의 공간이며, 의견 표명은 의견이 형성된 이유와 어떻게 하여 그러한 의견이 형성되었는가를 ‘설명’하는 방식을 취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셋째, 민주적인 사회의 사회통합은 다양한 목소리가 유지되고 존중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하는데, 아렌트의 철학은 인간 사회의 공동성이 다원성을 전제로 할 때에만 실현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어, 아렌트 행위 개념이 전제하는 다원성을 기초로 시민참여교육에 적용되어야 하는 ‘다원성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다원적인 관점이 중요한 공영역의 보장 요소임을 고려하면 다원성을 주요한 원리로 하는 시민참여교육이란 교육내용과 수업 주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다양한 접근과 해석을 허용’하는 교육의 성격을 지녀야 함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렌트의 다원성이 인간의 고유한 삶의 이야기와 연계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삶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인 활용을 통한 다원적인 접근을 강조한다면 교육 현장에서 다원성의 원리가 적용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행위하는 삶을 가능하게 하는 정신활동인 사유는 자기 자신과의 내적 대화를 기초로 하며, 따라서 ‘자기 성찰적’ 성격을 지님을 보았다. 아렌트의 사유 활동은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점검하여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수정해나가는 사고의 확장과정을 의미하였고, 따라서 사유는 소수만이 할 수 있는 인지적인 능력과 무관한 자기 점검적인 사고 ‘활동’에 해당하였다. 아렌트의 이러한 사유 개념은 사회에 참여하는 시민을 위한 교육에서 인지적 능력이 아니라 ‘활동으로서 사유’, 즉 자기 점검적이고 성찰적인 사고 활동을 독려할 필요성을 제시해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민참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염두에 두고 시민참여교육 현장의 발전 과제를 몇 가지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공동체로서 학습동아리에 대한 관심과 운영상의 지원이 더욱 요구되며, 특히 공공적인 성격을 가진 학습동아리의 활성화를 위해 학습조직의 운영과 관리를 지원하는 컨설턴트로서 교육전문가들이 필요하다. 둘째, 토론학습이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면에서 추상적인 지식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와 현안 같은 구체적인 사례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사회적 쟁점을 다루는 교육내용 역시 토론학습의 주제로 활용되어야 한다. 셋째, 토론학습의 경험이 부족한 성인학습자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토론학습에 참여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학습지원 또한 확보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토론학습을 능숙하게 이끌어갈 수 있는 교수자의 역량 강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시민참여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인문학 강좌는 학습자의 시민적 자질, 특히 공공성과 공동체성을 강화할 수 있는 형식과 내용으로 채워지고, 공적 토론학습과 학습자의 자기 성찰적 사유 활동이 연계된 학습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