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8 Download: 0

소비자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Title
소비자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Consumer Education
Authors
박진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희
Abstract
소비자교육의 범주는 대상별(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유형별(가정, 학교안, 학교밖), 주제별(경제교육, 환경교육, 윤리교육, 안전교육 등)로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해 그동안 소비자교육의 효과 측정은 단편적일 수밖에 없었고, 서로 다른 척도와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교육의 효과크기를 비교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소비자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이면서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최근 5년간 발표된 국내 소비자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R 프로그램을 사용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소비자교육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역량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역량 중 지식, 태도, 기능에 미치는 각각의 효과는 어떠한지, 주제별 소비자교육의 효과크기는 어떠한지 측정하였다. 또한 소비자교육의 효과크기가 조절변수(대상별, 학교급별)에 따라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체계적 선별단계를 통해 98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소비자교육 연구동향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중 18편의 연구에서 추출된 121개의 사례를 메타분석에 사용하였다. 소비자교육 연구동향 분석 결과, 주제별로 금융교육 38편(경제교육, 신용교육, 재무교육, 재무금융교육, 투자교육 등 포함), 윤리교육 19편(윤리적 소비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협력적 소비교육 등 포함), 소비생활교육 9편, 환경교육 5편, 안전교육 1편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교육 또는 소비교육을 연구주제로 한 포괄적인 소비자교육 연구는 26편이었다. 소비자교육의 연구유형은 양적연구 46편, 질적연구 45편, 통합연구 7편으로 나타났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는 통합연구도 상당 부분 나타나 다양한 분석 방법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비자교육 효과를 측정한 연구에서 독립변수는 소비자교육 경험으로, 주제별로는 금융교육, 환경교육, 윤리적 소비교육, 소비생활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교육의 목표가 소비자역량 강화에 있는 만큼 대부분의 연구에서 소비자역량을 종속변수로 다루고 있었다. 소비자교육의 연구대상은 유아부터 노인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소비자교육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메타분석 결과, 전체평균효과 크기는 0.38로 중간을 약간 넘는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역량의 하위변인인 지식, 태도, 행동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지식(0.33), 기능(0.30), 태도(0.22) 순으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소비자교육이 지식 전달과 행동 변화에는 중간 이상의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향후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보다는 교육을 통한 실제적인 행동 변화를 중점으로 다양한 교육방법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태도에 대한 교육의 효과가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것을 통해 한번 형성된 태도는 변하기 어렵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교육의 주제별로 평균 효과크기를 측정한 결과, 친환경교육(0.56), 윤리교육(0.39), 금융교육(0.29), 소비자교육(0.19) 순으로 나타났다. 메타ANOVA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나(Q=34.03, df=3, p<0.0001) 소비자교육 주제별로 효과성이 구분되었다. 친환경교육, 윤리교육, 금융교육 등 소비자교육의 주제를 세분화하여 실시하는 것이 소비자역량 강화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주제를 광범위하게 하기 보다는 세분화하여 특정 주제별로 집중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교육효과를 강화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자교육의 효과크기가 대상자들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절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유아(0.56), 초등학생(0.56), 청소년(0.19), 대학생(0.17), 성인(0.15)으로 나타났다. 대상에 따른 효과성이 집단별로 구분되었다. 특히 소비자교육은 연령이 낮을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만큼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대상별로 차이는 있으나 생애주기 전반에 소비자교육의 효과크기가 나타난 만큼 전 생애에 걸친 소비자교육 기회 제공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소비자교육을 실시하는 학교급별로 평균 효과크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유치원(0.56), 초등학교(0.54), 중학교(0.15), 고등학교(0.24), 대학교(0.1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소비자교육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소비자교육 효과는 낮게 나타났고, 대학교의 소비자교육은 0.1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교육의 효과가 검증된 만큼, 소비자교육의 지속적인 시행과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지식전달 위주 교육보다는 기능변화를 목표로 다양한 교육방법과 프로그램들이 시행되어야 하며, 근본적으로 태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비자교육은 연령이 낮을수록 효과가 큰 것을 나타나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교육방법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급이 낮아질수록 소비자교육 효과가 높게 나타나 유치원, 초등학교 때 조기 소비자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한 만큼, 소비자교육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이 시기에 보다 집중적인 소비자교육을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소비자교육의 주제를 광범위하게 하기보다는 친환경교육, 윤리교육, 금융교육 등으로 세분화하여 주제별로 집중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친환경교육은 큰 효과크기(Ez=0.5)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친환경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적극적인 친환경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전연령에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이 큰 노인,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에 대한 소비생활 정보 제공 및 교육 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새롭게 대두되는 안전교육, 디지털 시민성 강화를 위한 소비자교육 등으로 주제를 확대하여 급변하는 소비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교육에 대한 효과크기를 측정하고, 대상별, 학급별로 소비자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소비자교육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Consumer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by subject (infant, child, adolescent, adult, elderly, vulnerable class), type (home, in school, out of school), and subject (economic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ethics education, safety education, etc.). Because of this extensive diversity, measuring of consumer education has been fragmented, and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using different scales and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consumer education data through meta-analysis. The trends of past studies on consumer education published over the last five years were identified,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 program to calculate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Specifically, the overall averag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on consumer competency was calculated. Additionally, we measured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based on knowledge, attitudes, the skills among consumer competency, and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by subje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object and school grad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guidelines, 98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consumer education research trends. Among these, 121 cases were extracted from 18 studies and used for the final meta-analysis. As the analysis result of consumer education research trends, 26 papers on the topic of comprehensive consumer education were found. There were 38 financial education studies (including economic education, credit education, investment education, etc.), 19 ethics education studies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ollaborative consumption education, etc.), 5 environmental education studies, and 1 safety education study. In the research types, consumer education were 46 quantitative studies (47%), 45 qualitative studies (46%), and 7 integrated studies (7%).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similar, and 7% of integrated studies, bot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showed that various analytical methods were attempted. In particular,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measuring consumer education impact were consumer education experience, financi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ethics education, consumer life education, and so on. Due to the fact that the goal of consumer education is to strengthen consumer competency, most studies dealt with consumer competency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consumer education ranged in various age groups, from infants to the elderly. As a result of meta-analysis to measure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0.38, slightly over the midd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knowledge, attitude, and skill, which are sub-variables of consumer competency, it showed that the impact was in order of knowledge (0.33), skill (0.30), and attitude (0.22). This means that current consumer education has a moderate impact on knowledge transfer and behavioral change. In the future,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focusing on actual behavior change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knowledge-oriented education. The impact of education on attitudes showed that attitudes once formed were difficult to change. As a result of testing for the average effect size by subjects of consumer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0.56), ethics education (0.39), financial education (0.29), and comprehensive consumer education (0.19) were found. Meta-ANOV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Q = 34.03, df = 3, p <0.0001). It can be understood that subdividing the subject of consumer education into environmental education, ethics educ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is effective in terms of strengthening consumer competency. Resulting in the tests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consum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it was settled that infants (0.56), children (0.56), adolescents (0.19), college students (0.17), and adults (0.15). The impact of each subject was divided by group. Consumer education, in particular, proved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as it appeared to have a greater impact at younger ages. Although it varies according to the subje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consumer educa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as the effect size of consumer education is shown throughout the life cyc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effect size in the order of kindergarten (0.56), elementary school (0.54), middle school (0.15), high school (0.24) and university (0.18). In particular,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or infants and children was great.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have been verified,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consumer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specific programs are required. In particular,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aim changing functions rather than knowledge transfer edu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rrange for the implementation of consumer education that can fundamentally induce attitude changes. Second, consumer education showed a greater effect at younger ages, proving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consumer educa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it is necessary to try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effective consumer education for adults. Third, the lower the school level, the greater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early consumer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has been confirmed. Fourth, intensive education by subject can be enhanced by subdividing into environmental education, ethics educ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rather than broadening the subject of consumer education. In particular, environmental education is likely to exceed the effect size (Ez = 0.5), which is expected to induce eco-friendly consumption through active eco-friendly education. Fifth, policy support is needed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ag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vision of consumer life information and education support for the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multicultural families. Sixth, the topic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safety education and consumer education to strengthen digital citizenship. This study measured the impact on consumer education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onsumer education by subject and class.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has established ground level to make direction to increase meaningful consumer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