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전공레슨 스트레스 속에서 성장을 경험한 음악영재 회복탄력성 탐색

Title
전공레슨 스트레스 속에서 성장을 경험한 음악영재 회복탄력성 탐색
Other Titles
Exploring Resilience of Musically Gifted Student Who Experienced Growth in Stressful Private Lesson
Authors
김효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overy process and structure of growth from stress by explo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ivate lessons in musically gifted students and resilient experiences. Based on this result, it is to develop a theory related to the resilience process from stress in private lessons of musically gifted students which can be used to predict and apply in counseling and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this study, primarily selected to musically gifted students with experience at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ifted Arts. Secondary, selected up to 5 students from 20-year-old to 30-year-old's with experience in recovery musically gifted students from stress of private lessons. Data was conducted 10 times th in-deptroug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processed using a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 through the 3 phases of analysis process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abstraction. As a result, the first 225 concepts, 47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of major themes were drawn in the open-coding step. Secondly, as the result of the axis-coding, paradigm model for process from stress in private lessons of musically gifted students was suggest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the recovery phase after their stress experiences was suggested.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paradigm model was demonstrated as the visual symptoms for painful emotions which is the painful feeling that musically gifted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lesson. Confirmed 3 categories were drawn as the following: ‘Negative emotions and physical symptoms generated by the difficult course of lesson', ‘Frustration and depressed sentiment caused by a desire to be recognized' and ‘Low self-esteem, accompanied by the confusion of the goals and beliefs'. The casual conditions which caused the central phenomena were revealed, as a cause of stress that students experienced, the negative feelings of a teacher in a lesson, the hard life as a musically gifted student, the perfectionist tendencies, and the uncertain musicality. The 4 categories were drawn as the following: ‘A cold-hearted assessment and strict behavior that results in a disincentive to emotions', ‘Without a break, repetitive major lessons', ‘A perfectionism tendency to degrade confidence', ‘Uncertainty in identity as a musically gifted student'.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e central phenomena were revealed to be due to social or personal awareness which worsens their pain were recognized the environment of competition. 4 categories was found as the following:‘the realization of one's consciousness in the fierce competition', ‘the character of an unreasonable one-on-one lesson system', ‘A culture of ranking in the music society with clear main characters and bridesmaid' and‘Lack of a system to help resolve stress'. The intervening conditions promoti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revealed to be the change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in the support of family members, friends and teachers. 3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following: ‘A friend who sincerely supports my progress', ‘A family that supports and rests together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A teacher who tries hard to improve their pupil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sponding to stress were attempted to shift recognition and act with positive thinking. Musically gifted student's attempt to act to cope turned out to lead to faster recovery than enhanced positive recognition. 4 categories were found as the following: ‘Explore and execute their own ways to improve their skills', ‘Strengthening hope and positive think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rumination and spiritual growth' and ‘A Search for self-improvement through evasive activities'. The consequences from carrying out these strategies were revealed to lead to various changes through the recovery process on areas of action, emotion, desire and acceptance. 4 categories were analyzed as the following: ‘Flow of performance and confidence-building recovery experience', ‘Strongness to overcome stress', ‘Participate in challenging activities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Resilient values formed by acceptive attitudes'. The total 5 steps demonstrated in the process analysis were identified to be,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1) Stage of pain, 2) Stage of anxiety, 3) Stage of ‘getting oneself together', 4) Stage of establishment, 5) Stage of growth. Each step leads to the next one while it draws psychological recovery in order. During the last stage of analysis ‘selective coding process' one integrated core category, the center of the whole study, was discovered to assist to better understand the core categories through this frame. ‘The resilient growth process through internal positivity and self-improvement in the stress experience of private lesson' was suggested as the final drawn stress of the private lesson recovery model of musically gifted students. Through this study, empirical evidence analyzed experienced frustration and pain as a stress. Also, the effect of contextu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in Korea on their stress experience was confirmed.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drew a theory explaining resilient recovery process based on musically gifted student's life stories through listening to their own voices who were covered behind the huge veil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music societ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supporting musically gifted students who want to grow up as musicians.;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음악영재들의 전공레슨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적 경험의 다양한 특징을 탐색하여 스트레스로부터의 회복과정과 성장의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과 교육적 지원에서 예측, 적용이 가능한 음악영재의 스트레스 회복과정에 관하여 실체 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1차적으로 ‘음악영재’로서 한국예술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2차적으로 전공레슨 스트레스로 부터 회복탄력적 성장의 경험을 가진 음악영재로 정의한 후, 만 20세~ 30세 미만의 음악영재 5명의 참여자를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택된 참여자를 대상으로 총 10회의 심층질문을 통하여 자료가 수집하였으며, 이를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단계는 총 3단계에 거쳐 진행되었으며, 분석과정에 따라 조금씩 추상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방코딩에서 최종 225개의 개념, 47개의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코딩에서 음악영재의 스트레스 회복과정의 패러다임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음악영재의 전공레슨 스트레스에서 회복하는 단계를 제시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음악영재들이 전공레슨에서 느끼는 고통의 정서와 그 고통 가운데 가시적인 증상들이었다. 도출된 3개의 범주는 ‘힘든 레슨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정적 감정과 신체화 증상’,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로 인한 좌절과 침체된 정서’, ‘자존감 저하를 동반한 목표 및 신념의 혼란’이다. 중심현상의 원인으로 인과적 조건은 음악영재들이 경험하였던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전공레슨에서 교수자에게 받는 부정적 정서, 음악영재로서의 힘든 삶, 완벽주의적 성향, 불확실한 정체성 등이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정서위축을 유발하는 냉정한 평가와 엄격한 행동’, ‘쉼 없이 반복되는 전공레슨’, ‘자신감을 저하시키는 완벽주의적 성향’, ‘음악영재라는 정체성의 불확실성’으로 확인되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은 개인적 또는 사회적 인식에서 비롯되어 나타났는데, 고통을 심화하는 것은 경쟁의 환경에서 자신이 인식하는 제도와 존재감에 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살벌한 경쟁 속에서 자각되는 현실’, ‘불합리한 사사제도의 특성’, ‘주인공과 들러리가 명확한 음악계의 서열문화’, ‘스트레스 해결을 돕는 지지체제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자극하는 중재적 조건은 가족, 친구, 교수자의 지지로 인하여 심리적, 정서적 안정의 변화로 나타났다. 도출된 3개의 범주는 ‘진심으로 나의 발전을 웅원하여 주는 친구’, ‘응원과 휴식을 통해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주는 가족’ ‘제자의 향상을 위해 물심양면 힘쓰는 교수자’으로 확인되었다. 스트레스에서 대처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긍정적 사고로 인식의 전환과 행동을 시도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음악영재의 대처하기 위한 행동의 시도는 긍정적 인식의 강화보다 더 빠른 회복으로 이끄는 결과로 드러났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실력향상을 위한 나만의 음악기법 탐색 및 실행’, ‘희망 및 긍정적 사고의 강화’, ‘반추 및 영적 성장을 통한 심리적 안정’, ‘회피적 활동을 통한 자기발전의 모색’으로 확인되었다. 전략을 수행의 결과로는 회복과정을 통해 경험, 정서, 욕구, 수용의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로 결과를 이끌었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연주몰입과 자신감 증진을 통한 회복경험’,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강인함 생성’, ‘지속적 향상을 위한 도전적 활동참여’, ‘수용적 태도를 통한 탄력적인 가치관 형성’으로 확인되었다. 과정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총 5개의 과정은 음악영재들의 전공레슨 스트레스 경험 이후 시간에 흐름에 따라 1) 고통의 단계, 2) 불안의 단계, 3) 추스름의 단계, 4) 정립의 단계, 5) 성장의 단계로 확인되었다. 과정 분석에서 각각의 과정은 그 다음 단계로 이끌어 가는 한편, 순차적으로 회복의 단계로 진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 분석 단계로 선택코딩의 과정에서는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하나의 통합적인 핵심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이후 이야기 윤곽은 도출된 핵심범주의 이해를 촉진하고자 하였다. 최종으로 도출된 음악영재의 전공레슨의 스트레스 경험 이후 회복 모형은 ‘전공레슨의 스트레스 경험에서 내면의 긍정성과 자기발전을 통한 회복탄력적 성장 과정’이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영재의 고통과 좌절의 경험을 스트레스로 해석 가능한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우리나라 음악계의 특징적인 사회적, 문화적인 맥락의 조건들이 이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영재의 경쟁적 환경이라는 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음악영재의 목소리를 통해서 그들의 경험한 생생한 이야기를 근거로 심리적 회복의 성장과정 이론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이후에 음악가로 성장하는 음악영재들에게 적용 가능한 상담 및 교육적 지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