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6 Download: 0

집단 창의성 발현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징

Title
집단 창의성 발현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징
Other Titles
A Study on How Group Creativity Occurred in Socio-Scientific Issues Lessons : Focusing on Students’Role and Interaction
Authors
김지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선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창의성은 4차 산업 혁명에서 필수적인 능력으로 떠올랐으며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것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점점 다원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사회에서 학생들은 개인적인 창의성을 발휘하기보다 한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다른 사람과 함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해야 할 가능성이 커지며 집단 창의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집단 창의성은 개인 창의성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창의성이 곧바로 집단 창의성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집단 창의성은 집단 내 상호작용을 통한 사고의 공유가 이루어지는 과정 또는 그 결과를 의미한다. 집단 창의성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갖추어져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된 상태이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집단 창의성이 어떤 형태로 발현되었는지를 살펴본 연구들은 많지 않다. 특히, 초등 과학 분야에서 집단 창의성의 발현 양상을 질적으로 살펴 본 연구는 매우 드물다. 하지만 집단 창의성은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며 효과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학습되며 점차적으로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초등학생 때부터 학생들의 집단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양미경, 2011).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해 재구성한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 단원은 어떠한가? 둘째, 상호작용과 집단 내 구성원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본 집단 창의성 발현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서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W초등학교 4학년 1개 반 학생 2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창의성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SSI를 활용하여 4학년 2학기 과학 5단원 ‘물의 여행’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SSI 주제는 비구조화된 문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방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에 따른 해결 방안들을 다루게 된다. 이는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는 이상적 환경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의 여행’단원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그 속에서 집단 창의성 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수업 장면과 학생들의 담화를 녹화 및 녹음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지, 수업자 노트를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녹화 및 녹음한 자료를 전사하고 집단 창의성이 발현된 장면들을 포함하는 에피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집단 창의성 발현 과정 에피소드 속에서 학생들에게 나타난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았으며 집단 내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집단 창의성의 발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창의성의 발현을 위한 SSI 단원을 구성할 수 있었다. 해당 단원의 수업 속에서 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발현을 살펴보았을 때 모든 모둠에서 상호보완적, 갈등 기반, 메타인지적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호작용의 유형이나 빈도수는 모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관찰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집단 창의성 발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유형을 세분화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갈등 기반 상호작용 중 메타인지적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 창의성 발현 과정에서 집단 구성원들의 역할은 사고제시, 과업 갈등유발, 관계 갈등유발, 사고종합, 사고종결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집단 구성원들의 역할을 크게 집단 창의성을 촉진하는 역할과 저해하는 역할로 구분할 수 있었다. 5가지의 역할 수행은 모둠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구성원들은 집단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여러 역할을 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집단 창의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group creativity is presented in science lessons dealing with socio-scientific issues(SSI), focusing on students’ interaction and their roles in groups. In modern society,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abilities students should have dur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Given the situation that most of work is done in groups, not alone, group creativity is the most crucial competence that our students need to have. However, group creativity does not appear suddenly. This should be taught and implemented gradually based o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is study, one class fro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as selected. Unit 5 of 4th grade science was reorganized the unit using SSI to develop group creativ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udio and video recordings of 3 lessons taught by one teacher. Each episode that involves group creativity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is study found five student roles in the process of group creativity. This could be divided into two, one is the role that promote group creativity and the other is the role that interrupts group creativity. The data showed that five roles were played differently in the group and each member was playing various roles in the process of group creativity. The study also found that group creativity was appeared in the reorganized lessons using SSI. We also found the several type of interactions while group creativity was being appeared. In this study, complementary, conflict-based, metacognitive interaction were observed in all groups. The type or frequency of the intera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group.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types of interactions could be refined, and the types of conflict-based interaction that leads to metacognitive interactions could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how to promote group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as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