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5 Download: 0

한국 쇼핑 아케이드 건축 유형의 통시적 분석

Title
한국 쇼핑 아케이드 건축 유형의 통시적 분석
Other Titles
A Diachronic Study of the Shopping Arcade Buildings : Focused on the Jongno-gu, Jung-gu, Seoul
Authors
성소오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윤희
Abstract
본 연구는 건축물의 한 유형(Building type)인 아케이드(Arcade)에 대한 것으로 특히 쇼핑 아케이드(Shopping Arcade)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 쇼핑 아케이드 건축 유형이 현재 상황에 이르기까지를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건축의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 문제점 및 한계를 도출하는 것에 있다. 한국의 근대건축 시기에 해외로부터 받아들여진 건축 유형의 경우, 외래 양식의 무분별한 수용이란 평가를 받기 쉽다. 하지만 일방적인 수용이 아닌, 동서양의 역사적 흐름에 따라 다중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당시 시대적 상황과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조건 등에 맞게 변형된 부분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쇼핑 아케이드라는 건축 유형에 대한 평가는 국내외의 시대적 흐름을 따라 통시적 방식을 선택해야 하며, 나아가 외래의 건축 유형이 한국의 근대 건축물에 어떻게 유입되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해외 쇼핑 아케이드 사례는 서양의 쇼핑 아케이드 건물과 동양의 이슬람 건축 바자(Bazaar), 일본의 아케이드(アーケード, 有蓋街路)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 쇼핑 아케이드의 건축 유형은 근대건축 시기에 서울 도심부의 중심 상업 지구에 해당하는 중구, 종로구 일대를 중심으로 조사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건축 유형이 나타나게 된 역사와 정의를 기본적으로 예비 고찰을 진행한다. 시대적으로는 1786년 팔레 루에얄(Palais Royal)을 중심으로 초기 아케이드와 쇼핑 아케이드의 시기를 구분한다. 쇼핑 아케이드 3요소 1) 유리 지붕(Glass roof)를 가지는지 2) 대면벽(Symmetric flanking walls)의 구조를 이루는지 3) 보행자 중심의 보행공간(Exclusive pedestrian walkway)이 형성되었는지 3가지 요소의 구성에 따라 쇼핑 아케이드를 구분한다. 또한, 종교적 공간으로의 초기 아케이드 사례들과 함께 트라야누스 시장(Trajan’s market)의 사례를 분석하여 도시 계획적인 가치가 있는 쇼핑 아케이드의 원형을 통해 구성 요건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둘째, 해외 쇼핑 아케이드 건물의 통시적인 분석을 한다. 첫 번째 사례로는 최초 쇼핑 아케이드인 팔레 루에얄 건물의 시대별 변화를 본다. 공연을 위한 서커스관과 목조 구조체인 갤러리 드 보이스(Galeries de bois)가 1786년부터 1790년까지의 궁전 리모델링과 함께 건설된다. 이후 1787년도 경에 갤러리 드 보이스는 갤러리 드 오를레앙(Galerie d’Orleans)으로 바뀌며 석조 구조체로 변경되었고, 1900년도에 현재의 유리 지붕을 철거한 형태의 광장으로 조성된다. 이를 시작으로 쇼핑 아케이드는 본격적인 아케이드 시대(l'Ère des passages couverts)로 성행하게 된다. 성행의 이유는 1) 인구 집중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열악한 가로 환경 2) 기계화로 인해 도시인구와 공업생산량의 급증 3) 새로운 생산 방식에 따른 근대화된 판매 공간의 욕구, 공공 공간의 필요성이 있었다. 쇼핑 아케이드는 동양의 바자와 일본의 아케이드와 비교를 통해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두 번째 사례인 이슬람국가의 바자는 종교적 목적이 강한 도시 구조상에서 주민들 간의 물물 교환을 위한 상업적 공간으로서 발전된 건축 유형이란 점에서 귀족층의 사치품을 고정 가격제를 통해 사려는 방식의 유럽 쇼핑 아케이드 형태와 차이가 있다. 세 번째 사례인 일본의 아케이드는 도시민들의 지역공동체의 상업 활동의 장으로서의 발전을 했던 공간이라는 것에서의 차이가 있다. 또한, 양옆의 본래의 건물들 상부에 유리 구조체를 설치한 서양의 쇼핑 아케이드와 다르게 벽과 벽 사이의 독립된 아케이드 구조체를 가지고 있다. 세 가지 사례들에서 기후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 보행 환경이 조성된다는 장점에 의해 상업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종교적, 정치적, 상업적 요인에 의해 건축 유형이 변화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서울 아케이드 건물의 통시적인 분석을 한다. 쇼핑 아케이드 건물은 외래로부터 유입된 공설시장의 형태였으나, 한국 전쟁 이후 1960년대에 서울 도심의 근대 상권이 생성되면서 쇼핑 아케이드가 성행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는 독립상가형 아케이드 건물의 형태뿐만 아니라 서울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여 만들어진 주상복합형, 지하형 아케이드가 존재했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할 수 있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아케이드 건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고찰한다. 쇼핑 아케이드의 비활성화 원인과 쇠퇴화의 이유를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근거들을 찾아본다. 나아가 쇼핑 아케이드와 도시 보행자 체계의 적극적인 연계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건축공간의 대표적인 유형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방안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쇼핑 아케이드가 공공 보행 공간으로서 도시의 공공성을 회복할 수 있는 건축 계획 및 디자인에 모티프 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 또한, 연구 방법론으로서 통시적 분석은 문화 변용을 겪은 한국 건축의 근대적 가치를 고찰하는 방식으로서 적절한 방식이며, 다른 건축 유형에도 적용되길 기대한다.;This research focuses on specific architectural type, arcade, especially shopping arcade of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shopping arcade architecture of Seoul,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value of Korean architecture as a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point out its problems and limitation. Architectural type brought from abroad in the period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is often judged to be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However, it was not unilateral acceptance. It was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trend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was modified to suit Korea’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the era.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study how the foreign architectural type, arcade is applied in Korean modern architecture. In this research, case study of arcade from abroad includes Western shopping arcade architecture, Islamic Bazaar and Japanese arcade. Shopping arcades in Korea are focused on the ones located in Jongno-gu and Jung-gu, the center of commercial district of Seoul in modern architecture period. Firstly, preliminary examination on the history and definition of the architectural type is taken. Shopping arcade is distinguished from the early arcade by Palais Royal built in 1786. It has 3 elements; glass roof, symmetric flanking walls, and exclusive pedestrian walkway. These components ar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on Trajan’s market and the early arcades used as religious place, which are the prototype of shopping arcades with urban value. Secondly, foreign shopping arcade architectures from the West and the East are diachronically analyzed. Palais Royal, the first shopping arcade changed its shape from the time it was built in 1786. In 1900, glass roof was removed and has its present appearance, starting the era of arcade. (l'Ère des passages couverts)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e prevalence of shopping arcade; poor street environment because of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rapid urbanization, rapid increase in urban population and industrial production due to mechanization, and the need for modernized sales place and public space according to new production methods. While aristocratic luxury items are bought at a fixed price in European shopping arcade, the Islamic arcade, Bazaar, is an architectural type developed as a commercial space for bartering among inhabitants in a strong religious cityscape. Meanwhile, Japanese arcade was a place for commercial activities of local communities. Unlike Western shopping arcades with glass structure between the original buildings, it has an independent arcade structure between walls. Since arcades provide a pedestrian friendly environment protected from the climate and external conditions, commercial activities took place in all three examples. However, the architectural type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religious, political, and commercial factors. Finally, diachronic analysis of Seoul shopping arcade architecture follows. In the 1960s, after the Korean War, modern commercial district was created in downtown Seoul. Shopping arcade is an architectural type of public market brought in from foreign countries, but acculturated types also existed in this period such as residential arcade and underground arcade. In this research, shopping arcades in Seoul are classified and the remaining arcade buildings are investigated to figure out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reasons for the deactivation and their decline. Furthermore, active linkage between shopping arcades and urban pedestrian system is suggested as a type of sustainable urban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is study I hope the shopping arcade becomes the motif of architectural design as a public pedestrian walkway to restore the publicness of the city. In addition, diachronic analysis is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ology to examine the modern architectural value of accultura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architec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