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이귀숙 작곡 해금, 비올라, 소리북을 위한 <설송도(雪松圖)> 분석 연구

Title
이귀숙 작곡 해금, 비올라, 소리북을 위한 <설송도(雪松圖)>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Haegeum, Viola, Sori-buk by Lee Gui-sook
Authors
송지원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이인상의 그림 ‘설송도(雪松圖)’를 표제음악으로 서술한 이귀숙 작곡의 해금, 비올라, 소리북을 위한 <설송도(雪松圖)>를 분석한 것이다. 이인상의 그림 ‘설송도(雪松圖)’에 나타난 내용적 묘사를 음악적 방법으로 어떻게 나타내었는지 분석하고 각 단락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송도(雪松圖)> 곡의 구성을 보면 부제와 장단변화에 의해 단락이 나눠지고 연결구를 포함한 A단락부터 H단락까지 총 9단락으로 구성된다. A단락은 전통 음계를 기반으로 현대적 어법을 접목시킨 단락이다. 해금이 임종계면조 음계를 사용하고 소리북은 전통 장단형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채편의 갈라치기를 사용함으로써 전통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에 비올라가 화음으로 해금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B단락은 전통 음계를 기반으로 현대적 어법을 접목시킨 단락으로 트레몰로를 통해 황량한 바람에 나부껴서 잔가지가 흔들리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해금이 황종평조 음계를 사용하고 소리북은 늦은 굿거리장단으로 연주한다. 이에 현대적 어법으로 비올라는 트레몰로, 해금은 포르타멘토를 사용하고 있다. C단락은 전통 장단을 기반으로 현대적 어법을 접목시킨 단락으로 템포, 빠르기, 리듬 세분화를 통해 추위의 강도가 점점 높아져 냉기가 돌 틈 사이로 스며드는 정도를 표현하고 있다. 소리북의 칠채 장단을 기반으로 연주되며 해금과 비올라가 tone-cluster를 사용하여 현대화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결구는 단락을 가기위한 부분으로 빠르기♩=40으로 느려지면서 하행진행을 통해 회오리바람에 휘둘려서 나뭇가지가 다 떨어진 처절한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현대적 어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으로 비올라의 인위적 하모닉스와 소리북의 금속 징 부분을 서서히 긁어내리고 올리는 새로운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D단락은 A′단락이며 전통 음계와 장단을 기반으로 현대적 어법을 접목시킨 단락이다. 해금이 임종계면조 음계를 사용하고 소리북은 중모리장단으로 연주한다. 이에 비올라는 트릴, 트레몰로를 사용하고 있다. E단락은 전통 음계를 기반으로 현대적 어법을 접목시킨 단락으로 트레몰로를 통해 강풍이 멈추고 추위에 얼어붙은 나뭇가지의 노래를 표현하고 있다. 해금이 정악의 긴 시가와 황종평조 음계를 사용하고, 소리북은 칠채 변형 장단으로 연주한다. 이에 비올라는 화성 진행을 하고 있다. F단락은 현대적 어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단락으로 빠르기를 통해 긴장과 이완을 나타낸다. 전통적 어법은 나타나지 않고 해금과 비올라의 tone-cluster를 통해 현대적 화성을 사용하였고, 소리북 또한 전통 장단을 연주하지 않고 트레몰로를 사용하고 있다. G단락은 전통장단을 기반으로 현대적 어법을 접목시킨 단락이다. 소리북의 엇모리장단을 기반으로 해금, 비올라가 3분박, 2분박의 리듬으로 연주하고 현대적 어법으로 비올라가 증 4도 현대화성을 사용하고 있다. H단락은 전통 장단을 기반으로 하여 전통음계에 현대적 어법을 접목시킨 단락이다. 소리북의 올림채 장단을 기반으로 해금이 메나리조 선법을 사용하고 비올라가 해금과 엇갈리는 리듬 진행으로 tone-cluster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해금에서는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를 접목하여 사용하였지만 이에 반해 비올라는 현대적인 요소를 사용하고 소리북은 전통 장단을 기반으로 하지만 현대적인 요소 또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해금, 비올라, 소리북을 위한 <설송도(雪松圖)>는 전통 음계와 전통기법을 연주 소재로 사용하지만 현대적인 요소를 접목시켜 이를 엮어낸 선율은 현대적으로 풀어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해금, 비올라, 소리북을 위한 <설송도(雪松圖)>는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를 잘 어우러지게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와의 결합에 대한 연구 주제는 앞으로 작곡가들의 새로운 도전과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며, 해금과 서양악기의 중주곡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해지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Seolsongdo(雪松圖) composed by Lee Gui-Sook, which describes Lee In-sang's paint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usical features shown in each paragraph and analyzing how the contents depicted in Lee In-sang's painting are represented by musical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song is composed of nine paragraphs, including the paragraphs from the A paragraphs to the H paragraphs, changing by the subtitle and the rhythm. In the A paragraph, Haegeum expresses the state of insistence on the right path without following the flow of the painter Lee In - sang as the pine tree standing on the cold hill. As a traditional technique, Haegeum uses the ‘Imjongg yemyeonjo’ and ‘Sori-buk’ does not use the traditional style of rhythm, however, it shows a tendency to actively use the traditional factor by using the split of the chaepyeon. In this way, viola plays a modern harmonic melody and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haegeum. The paragraph B expresses the trembling of the twig by using tremolo. Traditional features of melody are that Haegeum uses the Hwangjong Pyongjo Scale, and Sori-buk is played with the slow Gutgeori rhythm. As the modern technique, Viola uses tremolo and of Haegum uses Portamento. The paragraph C expresses the extent to which coldness penetrates into the gaps of rocks, departmentalizing tempo, speed, and rhythm.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melody are played on the basis of chilchae jangjdan and modern characteristics of melody is that Haegum and Viola use tone-cluster. The connector is a part to go to the paragraph D and it slows down to ♩ = 40 and expresses a desperate situation where the branches are torn down by the whirlwind through the progress of the descent.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melody do not appear, but modern technique uses new technique to slowly scrape up and raise the artificial harmonics of viola and metal parts of Sori-buk. The paragraph D recreates the artist's firm will by repeating the motive melody in the paragraph A. Traditional features of the melody are that Haegum uses the Imjonggyemyeonjo, while Sori-buk is played as Jungmori tempo. In modern terms, Viola uses trill and tremolo. The paragraph E expresses the song of a twig with a strong wind stopped and rozen in the cold by using the tremolo. As a characteristic of melody, Haegeum uses the long ‘sigar’ and the scale of Hwangjongp yeongjo, and the Sori-buk plays modified Chilchae rhythm. In modern terms, Viola is proceeding on harmony. Paragraphs F show tensions and relaxation through speed. Traditional speech is not featu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melody, but the modern phrase appears as a paragraph tinged with modern harmony through tone-cluster of viola and viola. Sori-buk is also using a tremolo without playing traditional shorts. The paragraphs G are played in the Ochmori rhythm. The characteristic of the melody is that the traditional language is based on the rhythm of the harmony of the Sori-buk, the viola, the viola, and the rhythm of the second. Paragraphs H are played up with Olimchae rhythm. As a characteristic of the melody, the traditional method uses the melody method based on the singing, and the tone-cluster is used in the rhythm process of the viola and the melody in the modern way. Second, in Haegum, traditional elements and modern elements are used in combination, whereas Viola uses modern elements, while Sori-buk is based on traditional instrumental elements, but modern elements also appear. As a result, for Haegeum, Viola, and Sori-buk is used as a material to play traditional scales and traditional techniques, but it can be seen that the melody that has been composed by combining modern elements is modernized. In this way, for Haegeum, Viola, and Sori-buk is a work that expresses both traditional elements and modern elements. The research theme of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and modern elements will contribute to the new challenges and developments of composers in the future and hope that the study of harmonies of harps and western musical instruments will become more a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