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3 Download: 0

영상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Title
영상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sing Video Advertisement on Media Literacy: Focusing on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수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미디어의 발달을 바탕으로 미디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확장됨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미디어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수단으로서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유소년기부터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익숙해진 청소년들은 미디어를 끊임없이 접하며 미디어에 의해 가치관 및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이 자신을 둘러싼 미디어 환경 속에서 미디어의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가 필요하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비판적 이해 및 미디어에 메시지를 담아 생산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데, 미술과에서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적인 접근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미술교육의 한 패러다임인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는 기존 미술의 범위를 확장하여 문화적 맥락을 지닌 모든 시각적 생산물을 다루며,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시각환경의 변화가 학습자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영상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광고를 수업의 제재로 활용하여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토의하고 영상광고에 내포된 메시지와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이해하여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력을 계발하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미디어의 내용을 기획하고 스토리보드를 제작하는 활동을 통해 미디어의 창의적 제작 경험을 포함하는 학습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이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의 신장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설계에 앞서 문헌연구를 통해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개념,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 영상광고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둘째, 2015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영상광고 수업의 설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서울시에 소재한 S고등학교 1학년 단일학급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영상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의 교수-학습내용을 설계하고 평가계획을 작성했다. 다섯째, 단일집단에 대해 미디어 리터러시 사전 검사와 6차시에 걸친 실험수업을 실시하고 미디어 리터러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Stata(Stata: Software for Statistics and Data Science) Ver 15.0을 이용하여 양적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기결과물, 학생인터뷰, 수업만족도 조사, 관찰일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절차 및 방법에 따라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일집단에 대한 미디어 리터러시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영상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을 받은 단일집단 학생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각 하위요인과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하위요인 ‘기능’과 기능의 하위요소인 ‘미디어 이용 기술’, ‘미디어 이용 통제’, ‘미디어의 도구적 활용’, 하위요인 ‘비판적 이해’와 비판적 이해의 하위요소인 ‘매스미디어에 대한 이해’, ‘시민 미디어에 대한 이해’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실기결과물과 학생인터뷰, 수업만족도 조사, 관찰일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디어에 대한 해석능력과 제작능력, 시각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실기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아 미디어의 내용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인터뷰 분석 결과 수업 전에 비해 시각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높아졌고,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제작 과정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인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수업만족도 조사에서 높은 만족을 보였으며, 관찰일지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영상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광고를 활용해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s emphasized as the communication through media is expand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media. Media has a great impact on life as an important means of living in modern society. Adolescents who are accustomed to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from early childhood are constantly exposed to media, and are greatly affected by values and thinking by the media. Therefore, media literacy is needed to critically accept and properly use media messages in the media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Media literacy is defined as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messages and the ability to produce messages in the media. In the art department, media literacy education can be practiced through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which is a paradigm of art education, it deals with all visual products with a cultural context by expanding the range of existing arts and pay attention to the effect of changes of visu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on the value of learner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nables students to develop a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by understand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mages transmitted through media and critically approach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isual arts education using video advertisements on media literacy ability. In this study, the art class was designed to develop a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by understanding video advertisements ' message and socio - cultural context by discussing the impact of media using video advertisement as a class material. In addition, learning that includes creative production experience of the media was designed through the planning of media contents and storyboard production. It is considered that such teaching and learning can enhance the ability of media literacy to understand media and creatively.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e method of using visual advertising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were explored. Second, the design of using video advertisements class in high school art educa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Third, 25 single - class students in S high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ourth,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revised art education in 2015, Based on the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teaching - learning contents of visual culture art class using video advertisements were designed and evaluation plan was created. Fifth, pre - test of media literacy were conducted for a single group, and experiment class for 6 times were conducted for single group. then, media literacy post - test was performed. Sixth, Sixth,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was carried out using Stata Ver. 15.0, and the practical results, student interviews, class satisfaction surveys and observation log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visual culture art class using video advertisements positively influenced media literacy in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alysis of pre - and post - test results of media literacy on singl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students of visual culture art class using video advertiseme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each sub-factor and sub-element of media literac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ub-factor‘function' and sub-elements‘media use technologies', ‘media use control', and‘instrumental use of media'. Also, significant results were confirmed in the sub-factor ‘critical understanding' and sub-elements ‘understanding of mass media' and ‘understanding of citizen media'. Third, through analysis of the practical results, student interviews, class satisfaction surveys, and observation logs, it was confirmed that interest in the interpretive ability, production ability, and visual culture of the media increa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results of th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plan and produce the contents of the media with the message to be delivered was improved. As a result of the student interview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est of students about visual culture was higher than that before class, and they showed high interest in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and production proces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confirmed through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class, and the analysis of the observation log revealed that they could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visual culture art class using video advertisem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media literacy in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erefore, this study has an significance in that it is meaningful to improve the media literacy by designing the class in term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sing video advertis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