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청소년 대상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청소년 대상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Motivation in a Career Education Program at a Art Museum : Focused on the ARCS Model
Authors
홍유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현대사회의 직업세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세분화·전문화 되어가고 있다. 청소년들이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적성과 특성에 부합하는 직업을 탐색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학교 진로교육만으로는 학생에게 실제적인 직업세계를 이해하고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체험 중심의 진로교육은 청소년들이 직업인들의 근무 현장에서 업무를 관찰 할 수 있고, 실제 업무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능동적인 관계를 맺기도 하며 직업세계에 대한 실제적 감각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학교에서 교과서를 활용한 진로 학습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미술교과에서도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진로탐색활동을 위해 학교 안팎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미술관에서 실시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예술 분야의 다양한 직업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인 학습 환경 속에서 탐구력, 창의력, 의사소통 능력 등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현재 국내 많은 미술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으며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고등학교 단체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실제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학교 집단 활동의 일환으로 의무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동기가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미술관 직업 탐색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동기유발의 방법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한편 다양한 학습동기 이론 중 Keller의 ARCS 모델은 동기문제에 대해 가장 짜임새 있게 다룬 대표적인 모형으로 소개되고 있다(Dwyer, 1997 재인용; Keller, 송상호, 1999). 다른 동기 이론들이 특정 동기 요소만을 다루고 있는 점에 반해 ARCS 모델은 동기를 전체적으로 다루고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통합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가장 타당한 모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기업 관공서와 사회단체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Keller, 송상호, 1999).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Keller의 ARCS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관 진로교육과 학습동기, Keller의 ARCS 모델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서 ARCS모델 도입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그 다음 국내외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학습동기 측면에서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미술관 진로교육에 요구되는 학자들의 교육원리와 교수·학습법을 종합하여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계하고, Keller와 송상호(1999)가 제시한 동기설계 10단계 모형을 반영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동기를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서울 소재의 A미술관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고등학교 38명 학생들을 설정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ARCS 모델을 적용한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설계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학습동기 측정도구를 제작하여 연구 대상에게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학습동기 서술문항, 만족도 설문, 참여자 대상 집단 면담과 인솔교사 대상 면담을 토대로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RCS 모델을 적용한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 향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습동기가 0.36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학습동기 하위영역 중‘자신감’영역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드러났다. 둘째, 미술관 내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여 학습 환경의 변화를 주는 것이 학습동기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실에서 학습한 정보를 전시 공간 속에서 직접 발견해 보는 활동이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탐구적 과정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학습동기 하위영역 중 ‘주의집중’영역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가 미술관 진로교육의 내용에 대해 자신과의 관련성을 발견하도록 하는 직업 선택 활동이 학습동기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 체험시 미술관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각 직업별 필요한 역량과 어울리는 성격 등 을 제시해 줌으로써 자신의 개인적 성향과 부합하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관련성’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사전·사후 검사에서‘관련성’영역이 0.29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협동학습이 중심이 된 모의 체험 활동이 학습 동기유발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동기 서술문항 응답과 집단 면담 내용을 분석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협동학습 중 친구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친 밀감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가 해당 직업을 몸소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여 탐구적 각성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학습동기를 자극하는데 효과적인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미술관 직업 체험이 낯선 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해 에듀케이터와 보조강사의 지속적인 격려와 긍정적 피드백이 학습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 집단 면담 응답과 교사 면담 응답을 종합해 본 결과 표현활동 과정에서 에듀케이터와 보조강사의 의견 존중과 칭찬 등의 태도가 학생들이 성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습동기 사전·사후 검사에서‘자신감’영역이 0.86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학생들에게 충분한 탐구 및 표현시간이 제공되는 것이 학습동기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동기의 하위영역별 사후 검사 결과에서 5개 하위 영역 중 유일하게‘만족감’영역에서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한 원인을 학생 서술문항 응답과 면담 내용, 교사 심층면담 응답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전시 관람과 표현활동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유발 및 지속되기 위해서는 탐구와 표현에 대한 충분한 시간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RCS 모델을 적용한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동기를 유발 및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가 국내의 많은 미술관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여 미술관에 방문하는 모든 학습자들이 즐거운 진로 탐색 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 미술관 교육의 범위의 확장과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The modern working paradigm has developed rapidly as it became subdivided and professionalized. In order to correspond with the changing paradigm, teenagers need more opportunity to search for the right career, which matches their interest and aptitude. However, youth career education at school has limited opportunities to support students with information on the actual working paradigm. Also, experience-oriented career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extbook-oriented career education at school; the former allows teenagers to observe professionals, dive into active relationship as part of the working experience, and absorb the atmosphere of the working space. Therefore, creative career education became more popular in and out of school, so that even many art museums in Korea are also expanding the range of education into various forms of career education. Especially, the museum career education program offers the opportunity to collect information on different art professions and develop various abilities that the modern society emphasizes such as researching skills,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Due to these advantages of art museum education, particip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constantly increasing. However, some of the teenagers, who participate in the museum’s career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their required school work, show lack of motiv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that trigger the teenag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areer education program at art museums with interest. Keller’s ARCS model is a representative of motivational design in learning theories. While other learning motivation theories focus on selective motivational elements, ARCS model is known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because it encompasses overall motivational elements and integrates various scholars’ theories. The model is also used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and high schools, universities, corporates, and social organizations for a long time. For this reas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offer encouragement and motivation, this research applies Keller’s ARCS model to career education program at a selected art museum. The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utlined below. First, the study derived the need of applying Keller’s ARCS model to museum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museum career education, academic motivation, and Keller’s ARCS model. Then it listed the crucial ideas to consider when plann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at a art museum based on the motivation strategies adopted in other museum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se theoretical researches provide the insight to consider scholars’ educational theories and teaching-and-learning strategies when planning the outline of the program. Also, Keller’s model and Song Sang-ho’s 10 steps strategy to creating a motivational classroom was applied as well. 3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to take part in the designed career education program at the art museum situated in Seoul, Korea. In order to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survey to measur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was produced for pre and post-examination. The result of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s was examin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tatistical program ver. 21.0. Along with the statistics, descriptive questions, level of satisfaction, in-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ting students and school teachers were collected to deriv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useum career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ARCS model showed positive results increasing student’s motivation. As the pre and post-surveys presented,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0.36 points which is a notable change. Especially ‘Confidence’ section increased relatively high. Second, changing the learning environment worked as a positive motivation factor. Exploring the exhibition space based on what they learned in the education room stimulated their interest and led them to focus on the program. Such activity certainly affected the ‘Concentration’ section. Third, activity to search the profession that connects one’s own interest also increase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required qualities of each profession and helping students to select one based on their interest helped them connect with the career. It led the ‘Relevance’ section to rise 0.29 points which influenced student’s motivation. Fourth, group activity also led to a valuable result. Analyzing the student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group activity created intimacy between participating students as they shared ideas experiencing the career. Such experience stimulated their inquiry skills and motivation. Fifth, constant encouragement and cheerful feedback from the educator and assisting teachers influenced the students’ motivation as well. Ba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students and school teachers, compliments and respecting attitudes of educators and assisting teachers helped the students feel successful. As a statistical result, ‘Confidence’ section increased higher than other sections. Sixth, providing enough time to think and express is also related to the increase of learning motivation. The only statistically low section was ‘Satisfaction’ because of the lack of time to complete their work which was mentioned in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herefore, time is also a critical element to prompt and maintain student’s interest. The study concludes that museum’s career education program applying ARCS model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lso, the study derived strategies to trigger and maintain learning motivation in the program.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other art museums so that all students can have the opportunity enjoy researching their future paths, and also support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in gener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