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하-
dc.contributor.author정미진-
dc.creator정미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3:17Z-
dc.date.available2019-08-13T16:33:1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7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75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1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삼분법적 효능감(자기효능감, 관계추론 자기효능감, 타인효능감)이 심리적 변인인 노력, 기대수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예술 고등학교 중 3곳을 선정하여 총 165명의 무용과 소속 재학생을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학기 시작과 동시에 자기효능감, 앞으로 수업에 대한 노력, 앞으로 수업에 대한 기대수준을 측정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삼분법적 효능감, 실기고사 전까지 수업에 대한 노력, 실기고사 전까지 수업에 대한 기대수준, 일주일 뒤에 있을 실기고사에 대한 기대수준을 측정하였다. 3차 설문조사는 실기고사에 대한 무용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2,3차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하지 못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대상자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1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자기효능감(1,2차)은 노력, 기대수준,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관계추론 자기효능감은 노력, 기대수준,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타인효능감은 노력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대수준,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자기효능감과 관계추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노력, 기대수준, 만족도가 모두 높아지며, 타인효능감이 높을수록 노력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타인효능감은 기대수준과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용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필수불가결한 실기분야이기 때문에 교사 및 동료와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무용전공자의 자기효능감 기전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환경적 요소를 모두 이해하고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며, 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교수전략 및 방법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삼분법적 효능감이 노력, 기대수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무용교육의 현장적용적인 측면에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eal how the tripartite efficacy (self-efficacy,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other-efficacy) of dance majors affects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effort, expectation level and satisfaction. The study selected three of the nation's art high schools and surveyed a total of 165 dance students three times. The first survey measured self-efficacy, effort for future classes, and expectations for future class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 second survey measured the tripartite efficacy, the effort for the class before the actual test, the level of expectation for the class before the actual test, and the level of expectation for the actual test after a week. The third survey measured the satisfaction level of dancers with the results. A total of 152 data were analyzed, excluding data from those who failed to participat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rveys or who responded insincerel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linear correc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correc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self-efficacy of a dance major has a positive effect on effort, expectation level and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of dance majors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ort, expectation level and satisfaction. Third, the other-efficacy of a dance major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effort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xpected levels or satisfaction. As a result, it has been judge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are, the higher the effort, the expected level and satisfaction become and that the higher the other-efficacy is, the higher the degree of effort becomes. On the other hand, other-efficacy was judged to have no effect on expected levels and satisfaction. Teacher and co-worker relationships are a very important variable because dancing is an essential practical area of interaction with others.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and reflect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explain the self-efficacy of dance majors, and teachers should develop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tripartite efficacy of dance majors on effect, expectation level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believed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변인 5 D. 연구가설 6 E.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A. 삼분법적 효능감 8 1. 삼분법적 효능감의 개념 8 2. 삼분법적 효능감 선행연구 10 B. 노력 11 C. 기대 12 1. 기대의 개념 12 2. 기대-가치 이론 13 D. 만족도 13 1. 만족도의 개념 13 2. 무용수행 만족도 14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B. 조사도구 17 1. 삼분법적 효능감 측정 18 2. 노력 측정 18 3. 기대수준 측정 18 4. 무용수행 만족도 측정 18 C.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19 1. 조사도구의 타당도 19 2. 조사도구의 신뢰도 21 D. 연구절차 22 E. 자료처리 23 Ⅳ. 연구결과 24 A. 기술통계 24 B. 상관관계 분석 26 C. 회귀분석 27 1. 자기효능감이 노력, 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 27 2. 삼분법적 효능감이 노력, 기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8 가. 삼분법적 효능감이 노력에 미치는 영향 28 나. 삼분법적 효능감이 수업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29 다. 삼분법적 효능감이 실기고사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30 라. 삼분법적 효능감이 무용수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1 Ⅴ. 논의 33 Ⅵ. 결론 및 제언 36 A. 결론 36 B. 제언 37 참고문헌 38 부록 1. 1차 설문지 42 부록 2. 2차 설문지 46 부록 3. 3차 설문지 53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06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전공자의 삼분법적 효능감이 노력, 기대수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Dancer’s Tripartite Efficacy on Effort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dc.creator.othernameJeong, Mijin-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