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reat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3:16Z-
dc.date.available2019-08-13T16:33:16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4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4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142-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김혜란 작곡 <시간미>의 산조가야금 선율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에 앞서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작곡가와의 대담을 통하여 작곡가 김혜란의 예술세계를 알아보고 <시간미>의 악곡구조와 조현법 및 연주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시간미>의 선율을 부분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미>는 총 225마디로, 작곡가가 제시한 리허설 마크(Rehearsal Mark)에 따라 A부터 F까지 총 6개의 부분으로 구분된 소규모 다악장 형태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선율 진행과 리듬 구조에 따라서 A·B부분은 A단락, C부분은 연결구, D·E부분은 B단락, F부분은 A′단락+Coda로 3개의 단락으로 구분하였다. 각 부분을 선율 흐름에 따라 세부적으로 악구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단락의 A부분은 도입부로, 제1마디부터 제35마디까지 총 35마디이다. A부분에서는 세 개의 주제 선율이 A부분의 전반에 걸쳐 변화·발전되어 나타나며, 헤미올라 리듬과 첫 번째 박에 쉼표를 사용함으로써 강박과 약박이 바뀌어 선율에 생동감을 준다. 둘째, B부분은 제36마디부터 제53마디까지 총 18마디이다. B부분에서는 급박한 도약과 지속음을 사용하여 긴장과 이완을 나타낸다. 제41-44마디에서 e음, a음, b음의 동음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때 주법에 차이를 두어 음색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B부분에서는 C부분의 특징적 리듬형인 셋잇단음표를 제시함으로써 C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연결시킨다. 셋째, 연결구인 C부분은 제54마디부터 제76마디까지 총 23마디이다. C부분에서는 셋잇단음표의 동일한 리듬형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순차적 선율과 도약적 선율의 대비를 통해 극적인 느낌을 표현한다. 또한, 제63마디부터 accel.을 활용하여 템포가 느리고 리듬의 싯가가 길었던 B부분에서 템포가 빠른 D부분으로 넘어가는 간주 역할을 한다. 넷째, B단락의 D부분은 제77마디부터 제139마디까지 총 63마디이다. D부분은 동일한 선율과 리듬을 반복하여 연주함으로써 타악기적 요소를 보여준다. D부분의 전반에서는 b음을 주요음으로 사용한 선율이 반복되며, 제81-84마디에서 E부분과 F부분에 사용되는 주요 선율을 미리 제시하고 이 선율은 다른 리듬으로 모방되거나 동형진행을 하여 선율을 발전시킨다. 또한, 불협화음과 협화음 사용을 통해 선율의 단조로움을 탈피한다. 다섯째, E부분은 제140마디부터 제187마디까지 총 48마디이다. E부분은 <시간미>의 Climax 부분으로 16분음표의 연속적 사용과 반음진행이 두드러지며, 쉼표의 위치를 불규칙하게 주어 강세의 위치를 바꾸었다. E부분에서는 양손주법을 활용하여 동일한 리듬형과 화음을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선율에 안정감을 준다. 모방 선율과 더불어 동형진행으로 선율이 진행하여 E부분 전반에 통일감을 주었고, 템포의 변화를 통해 긴장과 이완을 표현한다. 여섯째, A′단락+Coda의 F부분은 제188마디부터 제225마디까지 총 38마디이다. 제188마디부터 제198마디까지는 A부분의 재현부인 A′단락으로 앞서 나온 선율을 모방하고, A부분의 주제 선율②와 주제 선율③을 반복하여 재현한다. 제199마디부터 제225마디까지는 곡을 마무리 짓는 Coda로써, E부분에 출현하였던 선율을 반복하고 모방하며 재현한다. 가야금 독주곡 <시간미>는 산조가야금의 전통음계와 전통주법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보아 전통적 창작곡이라 볼 수 있다. 필자는 현재 25현 가야금 창작음악이 연주곡으로써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서 산조가야금을 위한 창작음악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하며, 창작국악 발전을 위해 보다 많은 작품활동 및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시간미>는 산조가야금의 특징을 살린 작품으로 현대 창작음악으로써의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으며 추후 이와 관련된 산조가야금의 작곡 및 작품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시간미>를 연주하는 가야금 연주자들에게 작품이해와 연주에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This dissertation is an analysis of the Sanjo Gayageum melody found in <Beauty in Time> composed by Kim Hyeran. Prior to the analysis, it makes use of personal interviews to explore the composer’s artistic philosophy, and examines the musical structure, tuning method, and playing techniques found in <Beauty in Time>. Based o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iece, it analyses the melody found in <Beauty in Time> by parts. <Beauty in Time> is a short multi-movement piece comprised of a total of 225 measures, which can be divided into 6 parts, A to F, based on rehearsal marks presented by the composer. This dissertation, however, categorizes the piece into 3 movements according to its melodic progression and rhythmic form: parts A and B as movement A, part C and the transition, part D and E as movement B, and part F as movement A′ + Coda. Part A in movement A is the introduction of the piece and lasts for a total of 35 measures from measures 1 to 35. Three main melodies change and develop in part A. The use of hemiola rhythm and pauses on the first beat alternate the accent of the melody which conveys a sense of liveliness. Part B lasts for a total of 18 measures from measures 36 to 53. Part B uses sudden disjunct progression and long notes to express tension and relief. In measures 41 to 44, notes e, a, and b are used repeatedly but with varied playing techniques to express a diverse tone. The triplet rhythm, the characteristic rhythm of part C, is used in part B to allow for a more fluid transition into part C. Part C is the transition that lasts for a total of 23 measures from measures 54 to 76. In part C, the same triplet rhythm is used repeatedly and conjunct and disjunct melodies are contrasted to give dramatic effect. Part C also serves as the bridge by using accel., starting from measure 63, to transition the piece from the slow and long rhythm used in part B to the much faster tempo used in part D. Part D of movement B lasts for a total of 63 measures from measures 77 to 139. Part D repeats the same melody and rhythm to highlight the percussion instrumentals. Throughout part D the melody, which uses the b note at its main note, is repeated, and in measures 81 to 84 the main melody of parts D and E is foreshadowed. This melody is then developed through imitation into a different melody or sequencing. Also, dissonant chords and consonant chords are used to avoid a monotonous melody. Part E lasts for a total of 48 measures from measures 140 to 187. Part E is the climax phase of <Beauty in Time>, it is characterized by the repeated use of the sixteenth note and chromatic progression and also makes use of irregular pauses to vary accent points. Moreover, this part of the piece adopts a two-handed playing technique to maintain a consistent rhythm and chord, providing a sense of stability to the melody. Both imitated melodies and sequences are used to establish an overall unison across part E and the tempo is varied to express tension and relief. Finally, part F of movement A′ + Coda lasts for a total of 38 measures from measures 188 to 225. As a recapitulation of part A, movement A′ which consists of measures 188 to 198, imitates former melodies and repeats/ reproduces the main melodies 2 and 3 from part A The Coda, measures 199 to 225, as the closure to the piece, repeats and reproduces through imitation the melody from part E. Judging by the fact that it uses mainly traditional scale and traditional playing methods, the Gayageum solo piece, <Beauty in Time> can be seen as a traditional composition. In light of the modern circumstance where mainstream performance pieces are predominantly 25-string Gayageum compositions,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foothold for Sanjo Gayageum creative music compositions. More acts of composition and performance and greater numbers of systematic studies are needed in order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to develop. As a piece that well upholds the characteristics of Sanjo Gayageum, <Beauty in Time> is valuable modern composition. It is hoped that related studies into Sanjo Gayageum compositions are continued in the future. Lastly, this dissertation concludes with the hope that this study may aid the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of <Beauty in Time> for prospective Gayageum perform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 Ⅱ. 본론 6 A. 시간미 작품개관 6 1. 김혜란 예술세계 및 작품해설 6 2. 악곡구조 9 3. 조현법 및 연주법 고찰 11 B. 시간미 선율 및 리듬분석 연구 17 1. A 부분 17 2. B 부분 24 3. C 부분 29 4. D 부분 34 5. E 부분 42 6. F 부분 51 Ⅲ. 결론 59 참고문헌 62 부록 64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497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김혜란 작곡 <시간미>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Study of <Beauty in Time> by Kim Hyeran-
dc.creator.othernameLee, Sujin-
dc.format.pagev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