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Hugo Wolf의 <>에 관한 연구

Title
Hugo Wolf의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ugo Wolf’s <>
Authors
조영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은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후기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가곡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많은 가곡 작품을 남긴 휴고 볼프(Hugo Wolf, 1860~1903)와 그의 <>에 관한 연구이다. ‘Heiss mich nicht reden’, ‘Nur wer die Sehnsucht kennt’, ‘So lasst mich scheinen’, 에 나타난 시와 음악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화자인 미뇽의 심리가 음악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볼프는 전통적인 음악 형식을 고수하는 것보다 가사의 음악적 표현과 전달을 우선으로 생각하여 시가 직관적으로 이해되도록 작곡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는 시와 음악의 긴밀성을 위해 언어가 지니고 있는 액센트와 독일 시의 각운이 음악에 드러나는 낭창법(Declamation)을 사용했다. 또한 곡의 모티브를 적절히 반복 사용하여 독일어의 운율을 표현하고, 모티브의 변형, 확대, 축소를 통해 곡에 통일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볼프의 가곡은 성악성부와 반주부가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어 시와 음악이 밀접하게 융화되고 표현된다. 가사에 맞게 선율과 리듬을 적절히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당김음 리듬이나 반음계적 화성, 구체적인 지시어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예술 가곡에 있어서 피아노의 역할은 볼프에 이르러 더욱 확대되었다. 성악성부에서는 시의 내용을, 피아노는 그에 따른 화성적 기능을 담당했던 예전의 가곡과 다르게 개량된 피아노의 음색과 음량을 최대한으로 사용해 극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그 범위를 넓혔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Hugo Wolf’s(1860-1903) <>. Wolf is one of the most famous composers of late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His <> consists of four volumes: ‘Heiss mich nicht reden’, ‘Nur wer die Sehnsucht kennt’, ‘So lasst mich scheinen’, and . Through this stud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it can be seen that Wolf has focused on expression for the transmission of the lyrics rather than using the traditional layout of form. The use of the declamation with German rhymes and accents in his songs makes intuitive understanding of poetry. In addition, the rhythm of the German language is expressed using the motivic elements appropriately, and the unity throughout the work is given by the transformation of the motifs. Because Wolf’s song is preoccupied with poetry, the melody and rhythm were appropriately used for the lyrics. Frequent use of modulation and altered harmony bring a dramatic atmosphere to his songs. In addition, Wolf's song is proceeded with the voice and the piano independently in contrapuntal texture. The role of the piano in these songs was further extended. In order to express the contents of the poem the piano is responsible for the harmonic fun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